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및 원리
3>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2> 이론 및 원리
3>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4> 시험 방법
5> 시험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물(수돗물로 대체)
7) 삽 - 골재 채취 시 골재가 상하지 않도록 날카롭지 않고 모삽 정도 크기의 것
8) 체
9) 시 료
*시험에 사용된 철망망태와 체, 시료는 정해진 규격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해 기재하지 못하였다..
4)시험 방법
1) 시료를 채취한 후 5㎜체를 통과하는 골재는 모두 버린 후 굵은 골재를 충분히 씻어서 골재 표면의 먼지 또는 기타 부착물을 제거한다.
2) 준비된 시료를 절대건조 상태로 만든 후 24시간 정도 침수시킨다.
3) 습윤상태의 시료를 흡수성이 큰 천이나 수건 위에 굴려서 눈에 보이는 물기를 모두 닦아낸다.(큰 골재알은 하나씩 닦아준다.)
4) 표면에 수분이 없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가 준비되면 시료의 중량을 측 정한다.(시료를 3㎏ 이상을 준비한다.)
5) 철망태가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 저울을 영점으로 맞춘다.
6) 시료를 철망태에 넣고 수중 중량을 측정한다.
7) 측정이 끝난 시료를 접시에 담아 105±5℃의 건조기에서 건조를 시킨다.
8) 절대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시료의 중량을 측정한다.
* 주의사항
① 수중중량 측정시는 언제나 수조 속에 철망망태의 위치(수위)가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② 흡수량 및 밀도의 값을 보통 습윤상태의 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준으로 사용할 때에는 굵은 골재를 일정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킬 필요가 없다.
③ 시료 표면이 여전히 젖어 있는 것 같이 보이면 큰 낱알인 경우는 하나씩 닦는다. 표면건조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되도록 한다.)
5)시험결과
♣ 계산 방법
1)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밀도, 절대건조 상태의 밀도 및 흡수율은 각각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
B
B-C
절대건조상태의 비중
:
A
B-C
흡 수 율
:
(B - A) × 100
A
여기서, A = 건조기에서 건조 시킨 절대건조상태의 시료 중량(g)
B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 중량(g)
C = 시료의 수중 중량(g)
결과 수치
구분
A(g)
B(g)
C(g)
1조
3044
1954
2조
3071
1894
3조
3202
1984
4조
2940
3025
1832
5조
3000
1858
6조
3150
1942
* A값은 조마다 다른시간에 따로따로 시험을 하였기에 기재하지 못하였다..
수치 계산 걸과
구분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절대건조상태의 비중
흡수량
2.535
2.464
2.891
6)고찰
1) 굵은 골재의 비중은 보통 2.6~2.7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2.5 미만이고, 흡수량이 3%이상인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 재료용으로 부적합하다.
- 이 골재는 비중 2.535, 흡수량 2.891 이므로 콘크리트 재료용으로 적합하다.
2) 비중이 큰 것은 강도가 크고 흡수량이 적어 동결에 대한 내구성은 크다.
- 이 골재는 어느 정도의 큰 강도와 동결에 대한 내구성도 가진 것으로 보인다.
3) 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비중은 2.60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 이 골재는 비중 2.535로써 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약간 부적합하다.
*) 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되어야 할 점
오차가 생길 수 있는 포인트를 시험 전에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점이 약간 아쉬웠다 철망망태에 시료를 넣고 무게를 측정할 때 망태사이로 세어나간 시료량이 약간 있었는데 이같은 점도 오차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었고. 시험하는 조가 6조나 되다보니 기다리는 시간에서 시료의 건조상태가 더욱 커졌을 가능성도 있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있었음에도 결과값이 기준치에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은 정말 다행이었다.
그리고 이 시험은 여건상 모든 절차를 규격에 맞게는 하지 못하였지만 각종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앞으로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충분히 그 시험에 대하여 사전조사를 약간이라도 하여 보다 정확하게 시험에 임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모든 조원들이 노력해야하겠다.
7)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3)한국산업규격,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KS F 2503)”, 2002. 7.
4) 한국산업규격,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KS F 2523)”, 2002. 7.
5)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
7) 삽 - 골재 채취 시 골재가 상하지 않도록 날카롭지 않고 모삽 정도 크기의 것
8) 체
9) 시 료
*시험에 사용된 철망망태와 체, 시료는 정해진 규격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해 기재하지 못하였다..
4)시험 방법
1) 시료를 채취한 후 5㎜체를 통과하는 골재는 모두 버린 후 굵은 골재를 충분히 씻어서 골재 표면의 먼지 또는 기타 부착물을 제거한다.
2) 준비된 시료를 절대건조 상태로 만든 후 24시간 정도 침수시킨다.
3) 습윤상태의 시료를 흡수성이 큰 천이나 수건 위에 굴려서 눈에 보이는 물기를 모두 닦아낸다.(큰 골재알은 하나씩 닦아준다.)
4) 표면에 수분이 없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가 준비되면 시료의 중량을 측 정한다.(시료를 3㎏ 이상을 준비한다.)
5) 철망태가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 저울을 영점으로 맞춘다.
6) 시료를 철망태에 넣고 수중 중량을 측정한다.
7) 측정이 끝난 시료를 접시에 담아 105±5℃의 건조기에서 건조를 시킨다.
8) 절대건조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시료의 중량을 측정한다.
* 주의사항
① 수중중량 측정시는 언제나 수조 속에 철망망태의 위치(수위)가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② 흡수량 및 밀도의 값을 보통 습윤상태의 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준으로 사용할 때에는 굵은 골재를 일정중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킬 필요가 없다.
③ 시료 표면이 여전히 젖어 있는 것 같이 보이면 큰 낱알인 경우는 하나씩 닦는다. 표면건조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되도록 한다.)
5)시험결과
♣ 계산 방법
1) 굵은 골재의 표면건조포화상태의 밀도, 절대건조 상태의 밀도 및 흡수율은 각각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
B
B-C
절대건조상태의 비중
:
A
B-C
흡 수 율
:
(B - A) × 100
A
여기서, A = 건조기에서 건조 시킨 절대건조상태의 시료 중량(g)
B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 중량(g)
C = 시료의 수중 중량(g)
결과 수치
구분
A(g)
B(g)
C(g)
1조
3044
1954
2조
3071
1894
3조
3202
1984
4조
2940
3025
1832
5조
3000
1858
6조
3150
1942
* A값은 조마다 다른시간에 따로따로 시험을 하였기에 기재하지 못하였다..
수치 계산 걸과
구분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절대건조상태의 비중
흡수량
2.535
2.464
2.891
6)고찰
1) 굵은 골재의 비중은 보통 2.6~2.7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비중이 2.5 미만이고, 흡수량이 3%이상인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 재료용으로 부적합하다.
- 이 골재는 비중 2.535, 흡수량 2.891 이므로 콘크리트 재료용으로 적합하다.
2) 비중이 큰 것은 강도가 크고 흡수량이 적어 동결에 대한 내구성은 크다.
- 이 골재는 어느 정도의 큰 강도와 동결에 대한 내구성도 가진 것으로 보인다.
3) 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비중은 2.60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 이 골재는 비중 2.535로써 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약간 부적합하다.
*) 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되어야 할 점
오차가 생길 수 있는 포인트를 시험 전에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점이 약간 아쉬웠다 철망망태에 시료를 넣고 무게를 측정할 때 망태사이로 세어나간 시료량이 약간 있었는데 이같은 점도 오차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었고. 시험하는 조가 6조나 되다보니 기다리는 시간에서 시료의 건조상태가 더욱 커졌을 가능성도 있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있었음에도 결과값이 기준치에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은 정말 다행이었다.
그리고 이 시험은 여건상 모든 절차를 규격에 맞게는 하지 못하였지만 각종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앞으로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충분히 그 시험에 대하여 사전조사를 약간이라도 하여 보다 정확하게 시험에 임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모든 조원들이 노력해야하겠다.
7)참고문헌
1) 정일영,한천구,정상진, “건축재료실험”, 형설출판사, 1999. 8.
2) 김무한,신현식,김문한, “건축재료학”, 문운당, 2000. 1.
3)한국산업규격,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KS F 2503)”, 2002. 7.
4) 한국산업규격, “골재에 관한 용어의 정의(KS F 2523)”, 2002. 7.
5) 한국산업규격 http://standard.ks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