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자의 흡수, 방출 및 형광
2. 원자 흡수와 농도와의 관계(Beer-Lambert law)
3. 광원 (Light Source) - 속빈 음극등(Hollow cathode lamp, HCL)
4. 원자화 장치(Atomizer) - 불꽃형(Flame AAS, FAAS)
실험
실험결과
토 의
2. 원자 흡수와 농도와의 관계(Beer-Lambert law)
3. 광원 (Light Source) - 속빈 음극등(Hollow cathode lamp, HCL)
4. 원자화 장치(Atomizer) - 불꽃형(Flame AAS, FAAS)
실험
실험결과
토 의
본문내용
다. 이것은 부가된 구리용액의 농도는 0.20㎍/ml로 증가시킨 것이 된다. 반복해서 미지시료 10ml에 구리모액 4, 6, 8 및 10ml를 각각 가한다. 증류수로 기기의 영점을 맞추고 미지시료용액에 구리를 각각 가한 용액을 분무시켜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때 각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 후 증류수로 항상 영점을 맞춘 후 다음 측정용액을 분무시킴을 유의하라.
실험결과
1. 각 실험별로 나온 흡광도 데이터 정리.
증류수 (ppm)
흡광도
0
0
1
0.0736
2.5
0.1809
5
0.3438
10
0.6456
20% ethanol (ppm)
흡광도
0
0.002
1
0.0588
2.5
0.1369
5
0.2805
10
0.4532
미지시료
흡광도
ppm
(증류수)
0.4213
6.4
미지시료
흡광도
ppm
(20% ethanol)
0.3748
7.7
2. 1번 실험에서 용매변화에 흡광도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여라.
강한 산성 또는 강한 알칼리성 용액의 경우(특히 강한 알칼리성 용액으경우에 현저하다) 용액의 점성이 증가하거나 기타에 의하여 흡광도가 떨어진다. 20% 알코올이 증류수보다 점성이 높아서 흡광도가 떨어졌다.
.
3. 2번 실험에서 (1)과 (2)로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토 의
AAS(원자 흡수 분광법) 실험의 목적은 구리광도에 대한 기기의 매개변수인 용매의 영향을 연구하고 표준물첨가법과 보통 검량선법을 통해 비교 정량하는 것이다.
원자 흡수 분광법은 원자화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분자 결합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성 원자 구름(neutral atomic cloud)에 분석물질이 특징적으로 갖는 파장의 복사선을 쬐어주면 분석 대상 원자는 그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바닥상태에 있던 최외각의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를 일으킨다. 이때 들뜬 원자로 되면서 흡수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원자흡수 분광법이다.
AAS에서 자주 사용하는 가스는 공기-아세틸렌과 산화이질소-아세틸렌 가스인데, 중요한 것은 이들은 이용하는 Burner Head가 다르므로 올바로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전자는 대개 10cm의 버너 길이를 사용하며, 후자는 5cm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후자의 burning velocity가 전자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100mg/L Cu를 묽혀 0, 1, 2.5, 5.0mg/L용액을 준비하고 증류수와 20% 에탄올에 20ml vial을 총 10개를 만들었다.. 증류수로 기기의 영점을 맞추고 미지시료용액에 구리를 각각 가한 용액을 분무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 후 증류수로 항상 영점을 맞춘 후 다음 측정용액을 분무시키는 것을 주의 해야한다. ppm별 area로 검량선을 만든 후 미지시료의 ppm을 알아보았다. 용매 변화에 따라 흡광도는 변하는데
참고문헌http://www.cheongpa.es.kr/env/%B0%F8%C1%A4%BD%C3%C7%E8/%B4%EB%B1%E2%B0%F8%C1%A4/%BF%F8%C0%DA%C8%ED%B1%A4%B1%A4%B5%B5%B9%FD.htm
실험결과
1. 각 실험별로 나온 흡광도 데이터 정리.
증류수 (ppm)
흡광도
0
0
1
0.0736
2.5
0.1809
5
0.3438
10
0.6456
20% ethanol (ppm)
흡광도
0
0.002
1
0.0588
2.5
0.1369
5
0.2805
10
0.4532
미지시료
흡광도
ppm
(증류수)
0.4213
6.4
미지시료
흡광도
ppm
(20% ethanol)
0.3748
7.7
2. 1번 실험에서 용매변화에 흡광도 변화의 이유를 설명하여라.
강한 산성 또는 강한 알칼리성 용액의 경우(특히 강한 알칼리성 용액으경우에 현저하다) 용액의 점성이 증가하거나 기타에 의하여 흡광도가 떨어진다. 20% 알코올이 증류수보다 점성이 높아서 흡광도가 떨어졌다.
.
3. 2번 실험에서 (1)과 (2)로 차이가 나는 이유를 설명하여라.
토 의
AAS(원자 흡수 분광법) 실험의 목적은 구리광도에 대한 기기의 매개변수인 용매의 영향을 연구하고 표준물첨가법과 보통 검량선법을 통해 비교 정량하는 것이다.
원자 흡수 분광법은 원자화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분자 결합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성 원자 구름(neutral atomic cloud)에 분석물질이 특징적으로 갖는 파장의 복사선을 쬐어주면 분석 대상 원자는 그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바닥상태에 있던 최외각의 전자가 높은 에너지 준위로 전이를 일으킨다. 이때 들뜬 원자로 되면서 흡수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이 원자흡수 분광법이다.
AAS에서 자주 사용하는 가스는 공기-아세틸렌과 산화이질소-아세틸렌 가스인데, 중요한 것은 이들은 이용하는 Burner Head가 다르므로 올바로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전자는 대개 10cm의 버너 길이를 사용하며, 후자는 5cm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후자의 burning velocity가 전자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100mg/L Cu를 묽혀 0, 1, 2.5, 5.0mg/L용액을 준비하고 증류수와 20% 에탄올에 20ml vial을 총 10개를 만들었다.. 증류수로 기기의 영점을 맞추고 미지시료용액에 구리를 각각 가한 용액을 분무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 후 증류수로 항상 영점을 맞춘 후 다음 측정용액을 분무시키는 것을 주의 해야한다. ppm별 area로 검량선을 만든 후 미지시료의 ppm을 알아보았다. 용매 변화에 따라 흡광도는 변하는데
참고문헌http://www.cheongpa.es.kr/env/%B0%F8%C1%A4%BD%C3%C7%E8/%B4%EB%B1%E2%B0%F8%C1%A4/%BF%F8%C0%DA%C8%ED%B1%A4%B1%A4%B5%B5%B9%FD.htm
키워드
추천자료
전기도금(구리도금)
전기도금(구리)
[물리및실험]길이측정 A++결과레포트
lowry method & Bradford Assay
[일반화학실험] Beer의 법칙과 흡수 분광법
[공학기술]물질분석실험 설계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ertronic-PCL copolymer)
Lowry method와 Bradford Assay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정량
분석. 실험 - 0.1N NaOH의 역가, 식초의 초산 함량, 과일주스의 유기산 함량, 소금물의 소금 ...
0.1N-HCl과 0.1N-NaOH 표준용액 제조 및 표정
식품분석(강의-09)-4
실험보고서 - 열전대 결과 레포트
화학 전지 : 화합물들 사이에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전자 이동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물리실험 <길이의측정>예비+결과 A+
물리실험 <막대의영률측정> 예비+결과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