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_발달_이론의_다양한_해석(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형성

2.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Piaget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의 도덕 발달 이론

3. 학습이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본문내용

지도 않고 또한 벌이나 보상과 같은 요소들에 의 존하지도 않는다. 자기 교수에 따라 자기 자신을 통제하려고 노력한다.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도덕성 발달의 원인요소들>
①강화(Reinforcement)와 보상(Rewards)
개인이 어떤 행위를 했을 때 그에 뒤따르는 행위의 결과들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그 사람의 미래의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래 행동에 영향을 준다. 긍정적인 결과들을 약속하는 행위들은 반복되기 쉽고, 부정적인 결과들을 산출하였던 행위들은 미래에 회피되기 쉽다.
②벌(Punishment) 혹은 벌의 위협
대부분의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내면화된 도덕적 행동들을 확립하는 데 벌이 효과적이란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반듀라의 경우, 다른 사람들이 벌을 받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자제력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③모범(Modeling) 혹은 모방(Imitation)
모델을 통한 관찰학습은 많은 친사회적 행동들이나 혹은 도덕적 행동들의 습득을 설명한다.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진 강화와 벌을 관찰함으로써 강화되어지거나 혹은 금지되어 질 수 있다.
④자기 통제(Self-control) 혹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외적인 강화로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행동들을 위해 자기강화란 개념이 도입되었다.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인간으로 하여금 명백한 강화의 부재시에도 도덕적 규칙에 일치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혹은 규범을 위반하고자 하는 유혹에 저항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자기 통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은 모델링의 특수한 형식에 속한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1.0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