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형성
2.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Piaget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의 도덕 발달 이론
3. 학습이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정신분석 이론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정신분석 이론에서의 도덕성 형성
2.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인지발달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Piaget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의 도덕 발달 이론
3. 학습이론 관점에서의 도덕성 발달 이론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본문내용
지도 않고 또한 벌이나 보상과 같은 요소들에 의 존하지도 않는다. 자기 교수에 따라 자기 자신을 통제하려고 노력한다.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도덕성 발달의 원인요소들>
①강화(Reinforcement)와 보상(Rewards)
개인이 어떤 행위를 했을 때 그에 뒤따르는 행위의 결과들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그 사람의 미래의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래 행동에 영향을 준다. 긍정적인 결과들을 약속하는 행위들은 반복되기 쉽고, 부정적인 결과들을 산출하였던 행위들은 미래에 회피되기 쉽다.
②벌(Punishment) 혹은 벌의 위협
대부분의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내면화된 도덕적 행동들을 확립하는 데 벌이 효과적이란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반듀라의 경우, 다른 사람들이 벌을 받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자제력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③모범(Modeling) 혹은 모방(Imitation)
모델을 통한 관찰학습은 많은 친사회적 행동들이나 혹은 도덕적 행동들의 습득을 설명한다.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진 강화와 벌을 관찰함으로써 강화되어지거나 혹은 금지되어 질 수 있다.
④자기 통제(Self-control) 혹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외적인 강화로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행동들을 위해 자기강화란 개념이 도입되었다.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인간으로 하여금 명백한 강화의 부재시에도 도덕적 규칙에 일치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혹은 규범을 위반하고자 하는 유혹에 저항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자기 통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은 모델링의 특수한 형식에 속한다.
○사회학습이론에서의 도덕성 발달
<도덕성 발달의 원인요소들>
①강화(Reinforcement)와 보상(Rewards)
개인이 어떤 행위를 했을 때 그에 뒤따르는 행위의 결과들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그 사람의 미래의 동기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미래 행동에 영향을 준다. 긍정적인 결과들을 약속하는 행위들은 반복되기 쉽고, 부정적인 결과들을 산출하였던 행위들은 미래에 회피되기 쉽다.
②벌(Punishment) 혹은 벌의 위협
대부분의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내면화된 도덕적 행동들을 확립하는 데 벌이 효과적이란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반듀라의 경우, 다른 사람들이 벌을 받고 있는 모습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자제력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③모범(Modeling) 혹은 모방(Imitation)
모델을 통한 관찰학습은 많은 친사회적 행동들이나 혹은 도덕적 행동들의 습득을 설명한다.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진 강화와 벌을 관찰함으로써 강화되어지거나 혹은 금지되어 질 수 있다.
④자기 통제(Self-control) 혹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외적인 강화로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행동들을 위해 자기강화란 개념이 도입되었다. 행동주의 이론가들은 인간으로 하여금 명백한 강화의 부재시에도 도덕적 규칙에 일치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혹은 규범을 위반하고자 하는 유혹에 저항하여 행동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자기 통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과정은 모델링의 특수한 형식에 속한다.
추천자료
발달심리학자에 대한 조사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아동기 사회정서발달
가정교육학과 아동발달 사회정서발달
콜버그의 도덕적 추론 이론
정의도덕성과배려의도덕성
교육 심리학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 이론이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발달이론을 참고하여 나의 아동기 사례조사
부모교육중 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 8단계를 서술하시오
2016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네가지 강화계획)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인간과교육=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