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의 정의와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론의 배경

2. 이론의 내용
2.1. 기호학의 개요.
2.1. 기호학의 흐름
2.1.1 소쉬르
2.1.2 퍼어스
2.1.3. 옐름슬레브
2.1.4. 에코
2.1.5. 장 마리 플로슈
2.1.6 롤랑 바르트

3. 이론의 비판

4. Design Language

5. 설계 사례
5.1. San Jose Plaza Park, 1989
5.2. California Scenario, 1980-82
5.3. Brion Family Cemetery, 1973
5.4. Harlequin Plaza, 1982

본문내용

반영하며, 사막의 가혹한 기후에서 살아남으려는 선인장을 통해서 강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생명력은 the Energy Fountain에서도 나타난다. 거친 질감의 정방형 돌들로 구성된 이 분천은 꼭대기에서 끊임없이 물이 솟아 나온다. 물은 생명의 원천으로서 끊임없이 솟아 나오는 물은 강한 생명력을 은유하는 공간적 기호의 역할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의 가족사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the spirit of Lima Bean은 서로 조심스럽게 중첩되어 쌓여져 있다. 그 주위로 평평한 형태의 돌 바닥 포장이 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이 어렴풋이 일본식 rock garden을 연상시킬 수도 있지만, 그것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라고 노구치 자신도 말하고 있다. 이 정원에서 노구치가 디자인상으로 이루려한 것은 명확한 의미의 구성을 통하여 조경 공간 경험에 의한 전통적인 즐거움의 창출이라기 보다는 의도적으로 구성된 모종의 불확실성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체험을 유도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beautiful' and 'disturbing' garden의 대립양상을 통하여, 실존적 고독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기호학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조경 공간에서의 의미는 공간을 설계하는 설계가에 위해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그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의미 적용행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볼 때,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 것이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겠다. 이는 또한 명확한 의미를 내리는 것에 비중을 둘 경우, 기호학적인 접근 방법에서의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5.3.Brion Family Cemetery, 1973
브리온 가족 묘지는 산업 자본가인 Giuseppe Brion으로부터 그와 그의 아내를 위한 가족 묘지를 조성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Carlo Scarpa가 설계한 묘지 정원이다. 부지는 전체적으로 L자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L자의 부지 안쪽으로 Treviso부근의 S.Vito마을의 묘지가 있다. 브리온 가족 묘지는 전형적인 이탈리아식 묘지이며, 정원터와 영묘는 중앙통로가 가로지르는 격자형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앙 통로를 따라서 cypress가 식재되어 있다. cypress는 전통적으로 죽음을 상징하는 나무이다. 브리온 묘지는 스카르파가 분명히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온갖 상징들로 가득 차 있다. 건물들과 장식적인 요소들은 11이라는 숫자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는 스카르파의 이름이 11글자인데 기인하고 있다. 또한 부지 곳곳에 걸쳐서 두 개의 원이 교차된 형태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남과 여, 태양과 달, 속된 사랑과 성스러운 사랑을 상징하며 서로 이원적이면서도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브리온과 그의 아내의 묘지의 형태에서도 나타나는데 서로 약간 기울어져 의지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곧 삶과 죽음이라는 개념으로서 조형 공간상에서 기호학적으로 같은 맥락으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즉, 수면상의 요소들, 원, 통로들은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분명한 형태가 아니다. 수면에 비친 왜곡된 형태를 통해서 바라보는 것이다. 수면의 틀을 통해 연상할 수 있는 것은 죽음의 강인, Lethe와 그 이면 너머에 있는 또 다른 세계 즉, 삶과 죽음을 물이라는 기호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무덤과 풀 사이에 있는 수로는 역설적인 구조를 띄고 있다. 세 개의 작은 드럼들은 푸울에 물을 공급하는 생명수의 근원을 암시하기도 하고, 푸울로부터 물을 차단하여, 무덤에서 사라져 버리는 형태인 것이다. 삶과 죽음이라는 두 개의 의미가 공간상에서 이원적인 대립구조를 이루면서 완결되는 형태를 띄는 것이다.
5.4. Harlequin Plaza, 1982
1982년 하그리브스가 SWA그룹에 있을 때 설계한 작품으로 덴버시 외곽에 위치한 그린우드 빌리지라는 교외 사무실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약 5,000m2의 이 광장은 3층과 4층의 반사유리로 외관이 처리된 건물들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지하 2층 주차장 위에 위치해 있어서 여러 통풍 장치들이 돌출 되어 있던 장소였다.
하그리브스는 이곳을 축제적 공간으로 만들기 위하여, 익살 광대의 복장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검고 흰 바둑판 무늬로 바닥을 포장하였다. 일반적으로 바닥 색은 배경의 중간색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인데, 이와는 정 반대로 대조되고 강한 두 색을 대비시켜 사용하였다.
돌출되어 있던 통풍장치들은 건물과 같은 반사유리로 둘러 쌓아, 조각적 요소로 바꾸어 놓았으며, 또한 이것들을 비스듬히 기울어져 놓여있게 만들었다. 반사유리로 둘러 쌓인 이 광장은 공간이 끝없이 확장되는 듯한 환영을 창조해낸다.
광장의 중심에는 붉은 색과 푸른색의 경사진 벽이 엇갈리게 놓여져 있고, 그 벽 안에는 작은 스케일의 분수들과 붉은 색의 페튜니아로 구성되어 있다. 할리퀸 광장을 특이하게 만드는 것은 이러한 독특한 구성이다. 이 공간은 색채 범주로서 흑과 백의 대립을 이루며, 형태 범주로서 정상과 비정상의 대립관계를 이루며, 위상범주로는 직각과 사각의 대립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주변의 맥락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공간에 있어서 의미해석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그러한 공간은 사회, 문화적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호나 상징이 아닌, 설계가의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상징체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그리브스는(물론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광장의 명칭을 할리퀸이라는 분명한 용어를 사용하여 의미의 성격을 규정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한계점 때문에 할리퀸 광장은 일반에게 공개 된 후 찬탄과 비난이 엇갈리기도 했다.
●인용문헌
-소두영. 1991. "기호학". 서울 : 인간사랑.
-장 마리 프로슈(박인철 역). 1994. 조형 기호학. 서울 : 한길사.
-소두영. 1995. 문화 기호학. 사회문화연구소.
-베르나르드 투쏀 著/윤학로 譯. 1997.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오늘의 시민서당 : 청하.
-김경용. 1998.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임승빈. 1991. "기호학적 접근".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155-174.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1.14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