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6. 숙제
- 시상수란 ?
2. 실험 원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고찰
6. 숙제
- 시상수란 ?
본문내용
지 못하고 지수함수적(exponential)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띠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게 되면 인가된 DC 전압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때 인가된 DC 전압의 약 63%에 도달하는 시각을 시상수라고 합니다.
실제의 회로에 있어서, 커패시터에는 어느 정도의 저항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 저항 성분은 단순히 전선의 작은 저항일 수도 있고, 테브난 전원 저항이나 물리적 저항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특성은 이러한 저항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저항은 커패시터의 충/방전에 있어서 시간이라는 요소를 갖게 합니다.
커패시터가 저항을 통해서 충전 및 방전될 때 커패시터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방전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전하가 어느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순간적으로 변화할 수 없습니다. 커패시터가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비율은 그 회로의 시상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직렬 RC 회로의 시상수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곱과 같은 시간간격입니다.
시정수의 단위는 저항이 Ω, 커패시터가 F일 때 sec로 표현되고, 기호는 τ이며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τ=RC
실제의 회로에 있어서, 커패시터에는 어느 정도의 저항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 저항 성분은 단순히 전선의 작은 저항일 수도 있고, 테브난 전원 저항이나 물리적 저항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특성은 이러한 저항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저항은 커패시터의 충/방전에 있어서 시간이라는 요소를 갖게 합니다.
커패시터가 저항을 통해서 충전 및 방전될 때 커패시터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방전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전하가 어느 점에서 다른 점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은 순간적으로 변화할 수 없습니다. 커패시터가 충전되거나 방전되는 비율은 그 회로의 시상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직렬 RC 회로의 시상수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곱과 같은 시간간격입니다.
시정수의 단위는 저항이 Ω, 커패시터가 F일 때 sec로 표현되고, 기호는 τ이며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τ=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