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농업-먹거리를 통해 본 북한 문화
“북한의 최근 식량 사정에 대하여”
Ⅰ. 서론 – 식인인간의 등장
Ⅱ. 본론 – 북한의 “부익부 빈익빈”
Ⅲ. 결론 – 2012, 진정한 강성대국의 의미
“북한의 최근 식량 사정에 대하여”
Ⅰ. 서론 – 식인인간의 등장
Ⅱ. 본론 – 북한의 “부익부 빈익빈”
Ⅲ. 결론 – 2012, 진정한 강성대국의 의미
본문내용
보이는 면보다 더욱더 심각한 식량난 문제가 북한에 존재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북한 자체가 워낙 국제적인 교류가 없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지 그 내면에는 더욱더, 크게 보면 사회구조적으로 작게 보면 사람들의 일상생활까지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2012년은 북한이 대외적으로 발표해서 잘 알고 있듯이, 북한이 강성대국의 발판으로 삼겠다며 지정한 해이다. 그러나 북한의 강성대국은 군사력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싶다. 매슬로(MASLOW)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나누어 정리했다. 그중 가장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는 생리적 욕구이다. 성욕, 수면욕 등과 그리고 사람이 살기위한 기본적인 식욕이다.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조차 보장하지 못하면서 강성대국을 꿈꾸는 북한의 모습. 식량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도움도 좋지만 그 전에 북한 내의 사회적 변화를 통한 해결을 모색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지금의 북한 실태에서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는다 한들, 당장 눈앞의 문제만 해결하는데 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강성대국” . 다시 한 번 그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야 할 순간이다.
*출처와 인용문은 자료 제시할 때 마다 옆에 함께 제시 했습니다.*
2012년은 북한이 대외적으로 발표해서 잘 알고 있듯이, 북한이 강성대국의 발판으로 삼겠다며 지정한 해이다. 그러나 북한의 강성대국은 군사력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싶다. 매슬로(MASLOW)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나누어 정리했다. 그중 가장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는 생리적 욕구이다. 성욕, 수면욕 등과 그리고 사람이 살기위한 기본적인 식욕이다.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조차 보장하지 못하면서 강성대국을 꿈꾸는 북한의 모습. 식량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도움도 좋지만 그 전에 북한 내의 사회적 변화를 통한 해결을 모색해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된다. 지금의 북한 실태에서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는다 한들, 당장 눈앞의 문제만 해결하는데 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강성대국” . 다시 한 번 그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야 할 순간이다.
*출처와 인용문은 자료 제시할 때 마다 옆에 함께 제시 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