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누제조및 평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누제조및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목적 ……………………………··1p

2.기본이론 ……………………………··1p~7p

3.실험
(ⅰ)사용시약 및 기기 ……………·7p~8p

(ⅱ)실험 순서 ………………………8p~11p

(ⅲ)실험 결과 ………………………11p~12p

4.실험결과 및 해석고찰 ……………··13p~14p

5.실험관련 문제 ………………………15p~17p

6.참고문헌 ………………………………18p

본문내용

져있다.
비누로 손을 씻으면 거품이 잘 나며 씻어진다.
-비누의 pH(1%(w/v)) 값:
ph는 9.66
-12-
4.실험결과 및 해석 고찰
1) 진한 염산으로부터 0.5N HCl 표준용액 f fator 계산
- 진한 염산 채취량 (ml): 4.4ml
진한 염산의 노르말 (N)농도 계산
(진한 염산의 농도가 35%(w/w), 비중이 1.174인 경우)
0.5N HCl 표준용액 100ml 준비하기 위한 진한 염산의 소요량 계산
11.26 N × x ml = 0.5 N × 100ml ∴ x= 4.44ml
- 초순수로 희석후의 희석 염산 부피(ml): 100ml
염산의 F 값 계산
염산을 4.4ml를 취하였을 경우, =0.9910
2) 비누화 값 계산
= 207.041
3) 비누제조 실험
비누화값에 의한 NaOH 소요량 계산
실험치의 NaOH는 과량인가?
실험치의 NaOH와 사용된 NaOH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치의 NaOH가 과량으로
나왔다.
NaOH 필요량(mg) = = 207.041 × 0.714 =147.827mg
-13-
비누의 상태 점검
- 시판 비누와의 비교(냄새, 세척성, 단단한 정도, 상태 등)
시판 비누보다는 단단한 하지는 않았고 냄새도 빨래비누 냄새가 나서 향이나, 모양면에서 시판비누보다 질이 떨어졌다. 세척성도 시판비누는 거품이 잘 나는 한편 우리가 만든 비누는 세척력도 떨어졌다. 건조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많이 증발해서 그런지 갈라진 모양을 띠고 있다.
-비누를 풀어 보고 pH(1%(w/v))값 측정
pH는 9.66
·해석 고찰
비누를 만드는 과정이 생각보다 오래 걸리고 또한 수행되더라도 적은 양이 나오는지 이번 실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실험하는 과정에서 물중탕하는 온도가 일정했으면 비누를 얻는데 조금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고, 염산을 다루기 때문에 항상 긴장해야지 안 그러면 실험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염산으로 적정하는 과정에서 콕을 열고 닫고 하는 부분이 정교하지 않어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가장 오차가 클꺼라고 생각이 든 부분은 105℃ 24시간 건조하는 과정에서 금요일 실험을 하는 친구들과 같은 실험실을 쓰다보니까 열고 닫고 만지고 함부로 다루는 과정 때문에 정교한 값을 얻기가 힘들었고 이 부분은 생각지 못한 부분이라서 열심히 실험해서 결과값을 기다리는 우리조원들한테는 큰 허탈감을 주었다. 이 부분이 고쳐져서 다음 실험할 때에는 정확한 값을 얻어 실험에 오차가 안 났으면 좋겠다.
일상생활에서 필수로 사용되고 있는 비누가 정교하고 생각보다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탄생하는지 이 실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특히 놀랐던 부분은 소금물을 넣는 부분인데 소금물이 비누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몰랐다. 이런 부분까지 다 찾아내서 비누를 만드는 제조회사나 연구를 한 사람이 존경스럽다.
-14-
5.실험 관련 문제
1) 비누화 반응에서 에탄올을 넣는 이유는 무엇인가?
에탄올은 반응에는 참여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에탄올은 비누를 용액으로 만드는 성질이 있고 기름에 더 친화성이 있어서 물만으로 반응시킬 때에 비해서 훨씬 반응이 원활해집니다. 즉 알칼리만 반응시키면 비누가 덩어리 형태로 되면서 잘 풀리지 않아서 시간이 더 걸리는 것이 알코올이 들어가면 전체가 균일하게 반응이 잘되기 때문에 알코올을 넣어주는 것이 반응이 균일하게 되고 빨리됩니다.
2) 자신이 만든 비누로 때 묻은 천조각을 씻어보자. 때가 잘 빠지는가? 관찰사항과 관련하여 때가 빠지는 메커니즘에 대해 기술하여라.
빨래판에 많이 문질러야 때가 잘 빠진다.
●친수기: 물과 친한성질을 가지고 있는 분자
●친유기: 기름과 친한성질을 갖고있는 분자

세제가 물에 풀리고 섬유로 침투하면 친유기는 얼룩이 있는 쪽으로 친수기는 물쪽으로 향한다
-15-

세제분자의 친유기가 때를 둘러싸고 친수기는 물에 섞인다.

친유기가 때를 완전히 둘러싸고 옷으로부터 분리한다.

옷에서 분리된 때는 물에 섞이고 헹굼 과정을 통해서 옷에 남아있던 찌거기 까지 깨끗이 제거된다. 목욕을 하는 비누도 같은 원리이다.
-16-
3) 비누화 값(saponification value)에 대해서 조사하여라.
유지 1g을 비누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나트륨의 mg수.
비누화값=
a : 유지시료를 적정할때 HCl소비량 F : 0.5N-HCl의 농도계수
b : 바탕시험를 적정할때 HCl소비량
비누화값은 유지의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고급지방산을 많이 포함하는 분자량이 큰 유지는 저급지방산을 많이 포함하는 유지보다 비누화값이 작다. 또한, 불검화물(고급알코올 탄화수소 등)을 많이 포함하는 유지는 비누화값은 낮다. 이러한 원리로부터 유지의 순도나 종류(단품인가 배합유 등)를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다.
4) 합성 세제와 비누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비누는 계면활성제 가운데 지방산을 사용한 것으로 고래기름, 소기름 등 동물성 지방이나 야자기름, 쌀겨유같은 식물성 유지등 주로 천연의 유지가 원료로 사용되고, 합성세제(샴프포함)는 석탄, 석유 등의 광물로부터 복잡한 공정을 거쳐 화학적으로 합성된 계면활성제가 주된 원료이다. 합성세제는 비누보다 분해가 어렵고 거품을 일으켜 물의 자연적인 정화와 하수처리과정을 방해 할 뿐아니라, 갖가지 오염물질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 오염을 가증시킨다. 또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합성세제에 처가되는 인삼염 성문은 부영양화로 물을썩게하며 피부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동물 실험을 통해 발육장애나 기형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5) 100g의 기름과 과량의 수산화나트륨으로 비누화 반응을 시킬 때, 오일은 trilinolein(fw=879.38)로만 이루어져 있고 100% 수득량을 가정할 경우, 이론적으로 얼마만큼의 비누 (fw=302.43)가 생성될까?
100g기름×=103.17g의 비누
-17-
6.참고문헌
·일반화학 실험/자유아카데미/김희준
·분석화학 8판/자유아카데미/Skoog et al
·네이버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bluedevil24/60018613934
-18-

키워드

비누,   제조,   유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1.1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37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