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 호 과 정
문제
#1조직관류변화
#2감각지각변화
#3활동의 지속성 장애
#4무력감
#5피부손상위험성
#6신체손상위험성
#7감염위험성
문제
#1조직관류변화
#2감각지각변화
#3활동의 지속성 장애
#4무력감
#5피부손상위험성
#6신체손상위험성
#7감염위험성
본문내용
BS 290mg/dl선(참고치: 70~110mg/dl)이다.
③ 소양감을 자주 호소한다.
A
전해질 불균형 및 당뇨병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P/I
goal) 피부는 깨끗하고 탄력성이 있다.
①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혈관장애와 말초신경의 손상이 잘 생기고 균에 대한 저항력이 낮으므로 발에 병변이 생기거나 상처가 생기면 혈관 및 신경이 손상된 후에야 알게 된다.)
② 목욕 후 건조한 부위에 로션을 발라준다.
③ 압력받기 쉬운 부분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④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⑤ 소양감시 긁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⑥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E
5월9일 진단검사 결과, BUN 43mg/dl, 혈청 creatinine 7.2mg/dl으로 호전되었고 Cl 90mEq/L로 수치가 더 낮아졌다. 그리고 공복 시 FBS 250mg/dl선을 유지하며 여전히 소양감을 자주 호소한다. 따라서 계속해서 환자의 피부손상위험성이 follow up 되어야 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6
신체
손상
위험성
S
none
O
DM의 합병증인 망막손상으로 오른쪽 눈이 실명돼 있고, 왼쪽 눈도 잘 보이지 않는다.
A
시력의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P/I
goal) 신체적 외상이 없다.
① 감각 및 시력장애 상태를 사정한다.
② 침상에 불필요한 물건들을 두지 않는다.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시력장애와 말초신경병증으로 지각장애가 온다.)
③ 침상 보조난간을 올려준다.
④ 피부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⑤ 시력장애가 있는 경우 움직일 때 곁에서 도와준다.
⑥ 환자 가까이에 필요한 물건을 두도록 한다.
E
환자는 충분히 시력장애를 인지하고 있고, 필요 시 침상 보조난간을 올려주는 등의 간호중재를 한 결과 신체손상은 없었다. 그러나 계속해서 신체손상위험성을 염두 해두고 간호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7
감염
위험성
S
none
O
4월30일 진단검사결과, Hb 8.5g/dl(참고치: 14~18g/dl), RBC 3.13×1012/L(참고치: 4.5~6.3×1012/L), 공복 시 FBS 297mg/dl(참고치: 70~110mg/dl)이다.
A
고혈당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P/I
goal) 감염의 증상 및 징후가 없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고혈당은 박테리아 성장의 배지가 된다.)
③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방광염, 신우신염, 치주염, 농피증, 종기 등이 올 수 있다.)
④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필요시 치과의사에게 의뢰한다.
⑤ 배뇨 시 가려움증, 작열감, 빈뇨, 탁하거나 악취 나는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E
5월 9일 진단검사결과, Hb 9.6g/dl, RBC 3.44×1012/L, 공복 시 FBS 250mg/dl으로 4월 30일과 비교해볼 때 호전양상을 보이나, 계속해서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염예방 간호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③ 소양감을 자주 호소한다.
A
전해질 불균형 및 당뇨병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P/I
goal) 피부는 깨끗하고 탄력성이 있다.
①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혈관장애와 말초신경의 손상이 잘 생기고 균에 대한 저항력이 낮으므로 발에 병변이 생기거나 상처가 생기면 혈관 및 신경이 손상된 후에야 알게 된다.)
② 목욕 후 건조한 부위에 로션을 발라준다.
③ 압력받기 쉬운 부분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④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⑤ 소양감시 긁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⑥ 외상을 입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E
5월9일 진단검사 결과, BUN 43mg/dl, 혈청 creatinine 7.2mg/dl으로 호전되었고 Cl 90mEq/L로 수치가 더 낮아졌다. 그리고 공복 시 FBS 250mg/dl선을 유지하며 여전히 소양감을 자주 호소한다. 따라서 계속해서 환자의 피부손상위험성이 follow up 되어야 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6
신체
손상
위험성
S
none
O
DM의 합병증인 망막손상으로 오른쪽 눈이 실명돼 있고, 왼쪽 눈도 잘 보이지 않는다.
A
시력의 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P/I
goal) 신체적 외상이 없다.
① 감각 및 시력장애 상태를 사정한다.
② 침상에 불필요한 물건들을 두지 않는다.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시력장애와 말초신경병증으로 지각장애가 온다.)
③ 침상 보조난간을 올려준다.
④ 피부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⑤ 시력장애가 있는 경우 움직일 때 곁에서 도와준다.
⑥ 환자 가까이에 필요한 물건을 두도록 한다.
E
환자는 충분히 시력장애를 인지하고 있고, 필요 시 침상 보조난간을 올려주는 등의 간호중재를 한 결과 신체손상은 없었다. 그러나 계속해서 신체손상위험성을 염두 해두고 간호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문제
간 호 과 정
#7
감염
위험성
S
none
O
4월30일 진단검사결과, Hb 8.5g/dl(참고치: 14~18g/dl), RBC 3.13×1012/L(참고치: 4.5~6.3×1012/L), 공복 시 FBS 297mg/dl(참고치: 70~110mg/dl)이다.
A
고혈당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P/I
goal) 감염의 증상 및 징후가 없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고혈당은 박테리아 성장의 배지가 된다.)
③ 피부, 잇몸, 회음부에 감염과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방광염, 신우신염, 치주염, 농피증, 종기 등이 올 수 있다.)
④ 구강위생을 청결히 하도록 하고 필요시 치과의사에게 의뢰한다.
⑤ 배뇨 시 가려움증, 작열감, 빈뇨, 탁하거나 악취 나는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E
5월 9일 진단검사결과, Hb 9.6g/dl, RBC 3.44×1012/L, 공복 시 FBS 250mg/dl으로 4월 30일과 비교해볼 때 호전양상을 보이나, 계속해서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염예방 간호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