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음성학
Ⅱ. 자음과 모음의 분류
2. 1. 자음(子音, Consonant)
2. 1. 1.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2. 1. 2. 조음 방식에 의한 분류
2. 1. 3. 또 다른 자음 분류 방식
2. 2. 모음(母音, Vowel)
2. 2. 1. 혀의 높낮이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2.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3.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4. 반모음과 이중 모음
<그림1> 음성학의 하위 분야
<그림2> 파열음의 세 단계
<그림 3> 모음도(이기문 외, 1996, 48)
<그림 4>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이익섭, 1996, 48)
<표 1>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표 2>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Ⅱ. 자음과 모음의 분류
2. 1. 자음(子音, Consonant)
2. 1. 1.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2. 1. 2. 조음 방식에 의한 분류
2. 1. 3. 또 다른 자음 분류 방식
2. 2. 모음(母音, Vowel)
2. 2. 1. 혀의 높낮이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2.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3.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2. 4. 반모음과 이중 모음
<그림1> 음성학의 하위 분야
<그림2> 파열음의 세 단계
<그림 3> 모음도(이기문 외, 1996, 48)
<그림 4>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이익섭, 1996, 48)
<표 1>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표 2>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본문내용
위치에 따른 모음의 분류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은 전설 모음과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눈다. 중설 모음은 아래 <그림 4>의 가운데 있는 삼각형 안에서 발음되는 모음이다.
<그림 4>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이익섭, 1996, 48)
전설 중설 후설
i ●
● u
e ●
● o
●
●
a ● ●
2. 2. 3.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분류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 둥글에 되는 원순 모음과 그렇지 않은 비원순 모음 즉, 평순 모음으로 나눈다.
이 세 가지 기준으로 국어의 모음을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혀의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이
앞(전설 모음)
뒤(후설 모음)
둥글지 않은 입술
모양(평순 모음)
둥근 입술 모양
(원순 모음)
둥글지 않은 입술
모양(평순 모음)
둥근 입술 모양
(원순 모음)
고모음(폐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반폐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개모음)
ㅐ
ㅏ
2. 2. 4. 반모음과 이중 모음
반모음은 모음의 성격과 비슷한 자음으로 활음(滑音), 과도음(過渡音), 전이음(轉移音)이라고도 한다. 모음 중에서 고모음과 비슷한 혀 모양을 취하지만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는 입천장에 더 가깝게 다가가므로 자음이 되어 버린다. 고모음 [i]에 경구개의 전설비원순 반모음 [j](또는 [y])와 고모음 [u]에 대한 순연구개 후설원순 반모음 [w]가 있고, 프랑스 어에는 []가 있다.
이 반모음은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단모음과 결합하여 쓰이는데, 이중 모음은 반모음이 단모음 앞뒤에 연결된 모음이다. 어떤 언어에서 반모음과 모음, 또는 모음과 반모음의 연결을 그냥 복합음으로 보느냐, 한 단위의 이중 모음으로 보느냐는 그 언어 구조에 관한 문제이다.
국어의 이중 모음에는 반모음 [j]가 결합된 상향 이중 모음인 ‘ㅑ(ja), ㅕ(j), ㅛ(jo), ㅒ(j), ㅖ(je)’가 있고, [w]가 결합한 ‘wa, w, w, we’이 있다. 상향 이중 모음은 ‘반모음+단모음’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단모음+반모음’ 구조는 하향 이중 모음이라고 하는데 국어에는 ‘ㅢ(j)’가 있다.
<참고 문헌>
허웅, 『언어학 개론』, 1985, 샘문화사
오주영박종갑, 『언어학 개론』, 1996, 경성대학교 출판부
이기문김진우이상억 공저, 『국어음운론』, 1996, 학연사
이익섭, 『국어학개설』, 1996, 학연사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은 전설 모음과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눈다. 중설 모음은 아래 <그림 4>의 가운데 있는 삼각형 안에서 발음되는 모음이다.
<그림 4>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모음(이익섭, 1996, 48)
전설 중설 후설
i ●
● u
e ●
● o
●
●
a ● ●
2. 2. 3.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의 분류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 둥글에 되는 원순 모음과 그렇지 않은 비원순 모음 즉, 평순 모음으로 나눈다.
이 세 가지 기준으로 국어의 모음을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혀의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이
앞(전설 모음)
뒤(후설 모음)
둥글지 않은 입술
모양(평순 모음)
둥근 입술 모양
(원순 모음)
둥글지 않은 입술
모양(평순 모음)
둥근 입술 모양
(원순 모음)
고모음(폐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반폐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개모음)
ㅐ
ㅏ
2. 2. 4. 반모음과 이중 모음
반모음은 모음의 성격과 비슷한 자음으로 활음(滑音), 과도음(過渡音), 전이음(轉移音)이라고도 한다. 모음 중에서 고모음과 비슷한 혀 모양을 취하지만 모음을 발음할 때보다는 입천장에 더 가깝게 다가가므로 자음이 되어 버린다. 고모음 [i]에 경구개의 전설비원순 반모음 [j](또는 [y])와 고모음 [u]에 대한 순연구개 후설원순 반모음 [w]가 있고, 프랑스 어에는 []가 있다.
이 반모음은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단모음과 결합하여 쓰이는데, 이중 모음은 반모음이 단모음 앞뒤에 연결된 모음이다. 어떤 언어에서 반모음과 모음, 또는 모음과 반모음의 연결을 그냥 복합음으로 보느냐, 한 단위의 이중 모음으로 보느냐는 그 언어 구조에 관한 문제이다.
국어의 이중 모음에는 반모음 [j]가 결합된 상향 이중 모음인 ‘ㅑ(ja), ㅕ(j), ㅛ(jo), ㅒ(j), ㅖ(je)’가 있고, [w]가 결합한 ‘wa, w, w, we’이 있다. 상향 이중 모음은 ‘반모음+단모음’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단모음+반모음’ 구조는 하향 이중 모음이라고 하는데 국어에는 ‘ㅢ(j)’가 있다.
<참고 문헌>
허웅, 『언어학 개론』, 1985, 샘문화사
오주영박종갑, 『언어학 개론』, 1996, 경성대학교 출판부
이기문김진우이상억 공저, 『국어음운론』, 1996, 학연사
이익섭, 『국어학개설』, 1996, 학연사
키워드
추천자료
2009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억양][서술문][의문문][명령문][평서문][국어][일본어]국어 억양의 정의, 국어 억양의 종류,...
국어학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2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구개음화
이기문의 국어사 개설 정리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8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