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음의 분류
입술 모양에 따른 모음은 발음할 때 입술이 둥글에 되는 원순 모음과 그렇지 않은 비원순 모음 즉, 평순 모음으로 나눈다.
이 세 가지 기준으로 국어의 모음을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
혀의 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로서의 한국 발음 교육론 교안 배론 평생 교육원 2020
★ 부록 (교재 구성 이해를 위한 돕는 이미지)
<이미지- 국립국어원 세종한국어 교재 구성표>
<이미지-자모와 음절1의 모음 부분>
<이미지-자모와 음절1의 자음 부분>
<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21.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과 모음의 분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1) 자음
가) 조음위치(조음점)에 따른 자음의 분류
나)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1) 파열음
(2) 마찰음
(3) 파찰음
(4) 비음
(5) 유음
(6) 활음
2) 모음
가) 모음의 분류
(1) 혀의 높이
(2) 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허웅, 국어음운학 - 우리말 소리의 오늘, 어제 -, 샘문화사, 1985
- 田相範, 生成音韻論, 塔出版社, 1977
-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0 1. 들어가며
2. 자음의 분류
3. 모음의 분류
4. 나오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 강세에도 영향을 미친다. 모음은 음절의 중심이 되면서 언어의 리듬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가 되지만, 자음은 주로 의미 구별과 음성적 변화의 주체가 된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어의 전반적인 음성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