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자음의 분류
3. 모음의 분류
4. 나오며
2. 자음의 분류
3. 모음의 분류
4. 나오며
본문내용
'환음'이나 '전이음'으로도 불리며 음성적으로는 모음에 가까우나 모음이 아니고 접근성은 자음에 가깝다. 국어의 이중모음에는 j계와 w계가 있다. 이중모음을 표로 나타내보겠다.
경구개음
연구개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고모음
i
y
u
반모음
j
w
'j'와 'w'가 국어의 주모음과 하나씩 결합하면 국어의 이중모음이 탄생하게 된다. <반모음 + 주모음>의 형태인 것은 상향이중모음이라 하고 <주모음 + 반모음>의 형태인 것은 하향이중모음이라 한다. 그렇다면 'j'와 'w'를 국어의 주모음과 결합을 시켜보자.
° 주 모 음 : ㅣ ㅟ ㅔ ㅚ ㅐ ㅏ ㅡ ㅓ ㅜ ㅗ
↓↓
° j 계 이중모음 : x, x, je, x, j, ja, (j), j, ju, jo
↓ ↓ ↓ ↓ ↓ ↓ ↓
ㅖ ㅒ ㅑ (ㅢ)ㅕ ㅠ ㅛ
° w계 이중모음 : wi, x, we, x, w, wa, x, w, x, x
↓ ↓ ↓ ↓ ↓
ㅟ ㅞ ㅙ ㅘ ㅝ
국어에는 이와 같이 j계 이중모음 7개와 w계 이중 모음 5개, 총 12개의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이중 모음 체계에서 하나 문제되는 것이 있다면 'ㅢ'에 관한 문제 인데, 'ㅢ'를 [j]로 보느냐, [i]로 보느냐의 문제이다. 전자는 비원순 중설 폐모음이며 후자는 비원순 후설 폐모음이다. 'ㅢ'를 [j]로 본다면 <주모음 + 반모음>의 형태가 되므로 하향이중모음이 되고, [i]로 본다면 <반모음 + 주모음>의 형태가 되어 상향이중모음이 된다. 상향이중모음으로 'ㅢ'를 설정했을 때 국어의 이중모음에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하는 것이 되어 이중모음체계가 단순화 될 수 있다. 하지만 ''라는 반모음을 또 설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는 'i' 앞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대로 'ㅢ'를 하향이중모음으로 보면 반모음의 체계를 j계와 w계 두 가지만으로 기술할 수 있게 된다. 사견으로는 'ㅢ'를 [j]로 보고 국어엔 상향이중모음만이 존재한다고 기술해도 좋겠지만, 'i' 앞에서만 나타나는 ''라는 반모음을 또 다시 설정하는 것이 이중모음체계를 오히려 더 복잡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반면에 'ㅢ'를 하향이중모음으로 보면 하나의 예외만 생길 뿐 간단하게 기술될 수 있기 때문에 후자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허웅, 국어음운학 - 우리말 소리의 오늘, 어제 -, 샘문화사, 1985
- 田相範, 生成音韻論, 塔出版社, 1977
-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0
경구개음
연구개음
비원순
원순
비원순
원순
고모음
i
y
u
반모음
j
w
'j'와 'w'가 국어의 주모음과 하나씩 결합하면 국어의 이중모음이 탄생하게 된다. <반모음 + 주모음>의 형태인 것은 상향이중모음이라 하고 <주모음 + 반모음>의 형태인 것은 하향이중모음이라 한다. 그렇다면 'j'와 'w'를 국어의 주모음과 결합을 시켜보자.
° 주 모 음 : ㅣ ㅟ ㅔ ㅚ ㅐ ㅏ ㅡ ㅓ ㅜ ㅗ
↓↓
° j 계 이중모음 : x, x, je, x, j, ja, (j), j, ju, jo
↓ ↓ ↓ ↓ ↓ ↓ ↓
ㅖ ㅒ ㅑ (ㅢ)ㅕ ㅠ ㅛ
° w계 이중모음 : wi, x, we, x, w, wa, x, w, x, x
↓ ↓ ↓ ↓ ↓
ㅟ ㅞ ㅙ ㅘ ㅝ
국어에는 이와 같이 j계 이중모음 7개와 w계 이중 모음 5개, 총 12개의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이중 모음 체계에서 하나 문제되는 것이 있다면 'ㅢ'에 관한 문제 인데, 'ㅢ'를 [j]로 보느냐, [i]로 보느냐의 문제이다. 전자는 비원순 중설 폐모음이며 후자는 비원순 후설 폐모음이다. 'ㅢ'를 [j]로 본다면 <주모음 + 반모음>의 형태가 되므로 하향이중모음이 되고, [i]로 본다면 <반모음 + 주모음>의 형태가 되어 상향이중모음이 된다. 상향이중모음으로 'ㅢ'를 설정했을 때 국어의 이중모음에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하는 것이 되어 이중모음체계가 단순화 될 수 있다. 하지만 ''라는 반모음을 또 설정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는 'i' 앞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반대로 'ㅢ'를 하향이중모음으로 보면 반모음의 체계를 j계와 w계 두 가지만으로 기술할 수 있게 된다. 사견으로는 'ㅢ'를 [j]로 보고 국어엔 상향이중모음만이 존재한다고 기술해도 좋겠지만, 'i' 앞에서만 나타나는 ''라는 반모음을 또 다시 설정하는 것이 이중모음체계를 오히려 더 복잡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반면에 'ㅢ'를 하향이중모음으로 보면 하나의 예외만 생길 뿐 간단하게 기술될 수 있기 때문에 후자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허웅, 국어음운학 - 우리말 소리의 오늘, 어제 -, 샘문화사, 1985
- 田相範, 生成音韻論, 塔出版社, 1977
-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0
추천자료
[국어사요약,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정리노트 - 국어사 연구방법, 알타이어 특징, 중국국...
[국어어휘][국어어휘지도][국어어휘교육][있다][통사구조][국어교육][국어지도][어휘]국어어...
[국어학]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
[국어교과평가][국어교육평가][수행평가][교수학습평가]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과정과 국어...
[국어]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국어(우리말, 한국어) 정의와 격문법이론, 국어(우리말, 한국어) 기본어휘와 로마자표기, 국...
국어(한국어, 우리말) 특징, 국어(한국어, 우리말) 명칭과 높임법, 국어(한국어, 우리말) 토...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유형,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범주, 국어 높...
국어(한국어, 우리말) 특질과 형성, 국어(한국어, 우리말) 도상성, 국어(한국어, 우리말) 두...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목적과 성격,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성격,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원리와 과정, 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
[국어 종결어미][서술어미][명사어미][의문어미]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
[국어 오류, 국어 단어 오류, 국어 문장 오류, 국어 맞춤법 오류, 국어 겹받침 오류, 국어 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