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서론
1. 한국인 특유의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2. 우리나라 사회적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3.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Ⅱ. 서론
1. 한국인 특유의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2. 우리나라 사회적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3. 우리나라 문화적 특성이 조직이나 집단에 미치는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해선 그런 태도를 보이다가도 백인들에게는 그와는 반대로 친절하고 상냥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점이 강자에게는 잘 보이려하고 약자에게는 악한 정말 비겁한 자들이 하는 행동을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의 단점까지도 우리나라에 넘어와서 우리나라에서 거주하고 있는 유색인종들을 힘들게 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4) 외국인의 선택적 차별의 원인은 사대주의
위에서 말한 선택적 차별은 사대주의의 잔재라고 생각된다. 과거엔 중국을 떠 받들고 현대에는 서구 유럽을 떠받들지만 동남아시아나 러시아 동구유럽은 사대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외국인의 상대적 차별은 뿌리 깊은 역사에서 찾아봐야 할 것 같다.
Ⅲ. 결론
한국은 70~80년대 고도성장을 하면서 경제발전은 이룩했지만 기본적인 에티켓이나 일부 국민성은 오히려 퇴보하게 되었다. 즉 경제적으로는 중진국 수준이지만 일부 시민의식은 아직 후진국에 가깝다. 지금까지 우리는 대단한 민족이라는 말을 들으면 찬사도 받았고 부러움도 받았다. 이제는 우리 스스로 그러한 과거를 버리고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할 때이다. 스스로를 채찍질하여 단점을 인정하고 개선하려한다면 지금의 어려운 상황은 회복될 것이다. 나 역시 한국인에 대하여 부정적인 면에 대하여 말을 했지만 내 자신이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한국인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하나둘씩 단점들을 없애가고 고쳐나가자. 그리하면 반듯이 희망은 보일 것이다. 나 한사람부터 생각을 바꾸면 된다. 내가 곧 우리가 되고 우리가 한국이 되는 것이다.
이 글을 쓰면서 한국인의 부정적인 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위에 쓴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잘못된 행동을 한다. 이러한 잘못들을 알았다면 나부터라도 하나씩 고쳐나가야 할 것이고, 내 글을 읽은 개개인들이 잘못된 것들을 고쳐가 한국인의 단점을 없애 밝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고, 다른 나라에서 한국인을 볼 때, 좋은 이미지를 주어 누구나 한국인을 볼 때 웃을 수 있고 신뢰감을 받을 수 있는, 그런 민족이 되었으면 좋겠다. 99
참고문헌
강준만(2010), ‘빨리빨리’의 문화정치학, 언론과학연구
권종욱(2008), 문화가치관의 차이 분석, 국제통상연구 13-2, 한국국제통상학회
정수복(2007),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생각의 나무
최상진유승엽(1994), 한국인의 의례적 언행과 그 기능
4) 외국인의 선택적 차별의 원인은 사대주의
위에서 말한 선택적 차별은 사대주의의 잔재라고 생각된다. 과거엔 중국을 떠 받들고 현대에는 서구 유럽을 떠받들지만 동남아시아나 러시아 동구유럽은 사대의 대상이 아니었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외국인의 상대적 차별은 뿌리 깊은 역사에서 찾아봐야 할 것 같다.
Ⅲ. 결론
한국은 70~80년대 고도성장을 하면서 경제발전은 이룩했지만 기본적인 에티켓이나 일부 국민성은 오히려 퇴보하게 되었다. 즉 경제적으로는 중진국 수준이지만 일부 시민의식은 아직 후진국에 가깝다. 지금까지 우리는 대단한 민족이라는 말을 들으면 찬사도 받았고 부러움도 받았다. 이제는 우리 스스로 그러한 과거를 버리고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할 때이다. 스스로를 채찍질하여 단점을 인정하고 개선하려한다면 지금의 어려운 상황은 회복될 것이다. 나 역시 한국인에 대하여 부정적인 면에 대하여 말을 했지만 내 자신이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한국인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하나둘씩 단점들을 없애가고 고쳐나가자. 그리하면 반듯이 희망은 보일 것이다. 나 한사람부터 생각을 바꾸면 된다. 내가 곧 우리가 되고 우리가 한국이 되는 것이다.
이 글을 쓰면서 한국인의 부정적인 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위에 쓴 것처럼 행동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잘못된 행동을 한다. 이러한 잘못들을 알았다면 나부터라도 하나씩 고쳐나가야 할 것이고, 내 글을 읽은 개개인들이 잘못된 것들을 고쳐가 한국인의 단점을 없애 밝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고, 다른 나라에서 한국인을 볼 때, 좋은 이미지를 주어 누구나 한국인을 볼 때 웃을 수 있고 신뢰감을 받을 수 있는, 그런 민족이 되었으면 좋겠다. 99
참고문헌
강준만(2010), ‘빨리빨리’의 문화정치학, 언론과학연구
권종욱(2008), 문화가치관의 차이 분석, 국제통상연구 13-2, 한국국제통상학회
정수복(2007),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생각의 나무
최상진유승엽(1994), 한국인의 의례적 언행과 그 기능
추천자료
20세기 패션문화 -사회적 변천사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의 실태와 해결방안 -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다문화가정의 대책 -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다문화주의 정책
[현대사회와 인권]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인에 대한 차별과 다문화 정책에 관한 고찰
[A+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의 현황과 해결방안 [다문화가정문제점] [다문화가정대책] [다문화...
사회복지 기관방문 보고서<무지개다문화센터>
[국가조사] 인도(India : Bharat) 조사 레포트 - 인도의 사회문화와 경제 (인도의 자연환경, ...
[사회복지실천론]21세기 우리나라의 사회흐름에 필요한 사회복지 서비스가 무엇일지를 생각하...
(아동과학지도) 과학교육을 위한 인지적 기초 이론으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적 구성주...
[다문화사회복지론]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에 일본의 다문화정책을 반영하면 좋은 제도를 비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정책의 정책대상이 결혼이민자 여성 개인에 치...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사회부적응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다문화 교육
비고스키(비고츠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과학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