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경재배
2. 다른 기타 수경재배에 관련된 내용들
3. 양액재배용 비료
4. 무기영양소
Ⅲ. 결론
◎ 참고 문헌
Ⅱ. 본론
1. 수경재배
2. 다른 기타 수경재배에 관련된 내용들
3. 양액재배용 비료
4. 무기영양소
Ⅲ.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특히 아랫잎(늙은잎)의 엽신과 엽초의 엽맥 위에 갈색반점이 나타난다. 철 결핍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8. 철(Fe)
결핍 - 전체 잎들이 희게 변색하기 시작하여 마침내 하얗게 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 철을 시용하면 그 증상이 중지되고 새로 나오는 잎만 백화현상을 보인다
과잉 - 아랫잎의 끝으로부터 아주 작은 갈색반점이 나타나서 기부 쪽으로 번져간다. 이들 반점은 엽맥사이에서 세로로 서로 합쳐지는 데 잎은 녹색을 유지한다. 심한 경우에는 전체 잎들이 자주빛이 비치는 갈색으로 보이게 된다.
9. 구 리(Cu)
결핍 - 잎은 청록색을 띄게되며, 잎 끝부분이 백화한다. 백화현상의 특징은 잎의 앞뒷면의 중륵을 따라 기부로 진행하면서 잎끝부분은 암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새로 나오는 잎은 잎의 전체 또는 절반 정도가 바늘모양으로 말리지만 잎 기부는 정상적으로 쳐지는 특징을 보인다.
과잉 - 뿌리의 신장이 멎는다.
10. 아 연(Zn)
결핍 - 어린잎의 기부 쪽의 중륵이 백화한다. 아랫잎에서는 갈색 얼룩과 줄무늬가 나타난 다음 생장이 왜소해지지만 가지치기는 계속된다. 엽신의 크기가 줄어드나 엽초는 정상적인 크기를 유지한다. 포장에서는 생육이 불균일하고 성숙이 늦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아연이 부족한 벼잎 증상을 북새병이라고도 한다.
과잉 - 갈색의 반점이 생긴다.
11. 규 소(Si)
결핍 - 잎이 부드러워 아래로 쳐진다
12. 붕 소(B)
결핍 - 초장이 짧아지고 새로 나오는 잎의 끝이 칼슘 결핍증처럼 희게 변하면서 말린다. 심한 경우에는 생장점이 죽지만 가지치기는 계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과잉 - 특히 아랫잎의 잎끝 가장자리를 따라 백화현상이 일어나는데 그 때 커다란 암갈색의 타원형 반점이 나타난다. 잎들은 마침내 갈색으로 변하고 마른다.
Ⅲ. 결론
- 위에서 본 듯 무기영양은 광합성 식물에 없어서는 안 될 영양분과 여러 가지 그에 따른 증상을 알아보았다. 이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 하면서 식물의 필수 원소를 보고 꼭 필요한 원소들 이었지만 이것이 과잉 되었을 때 식물에 뿐 아니라 토양이나 환경에 오염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크게 보면 토양의 비료 오염으로 인한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무기염류를 필요로 하는 식물로 인하여 식물은 동물 노폐물을 재순환시키는 전통적인 수단이며, 독성노폐물 처리장에서 유해한 무기염류들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고서에는 넣지 않았지만 근균과의 관계를 가지고 필수원소를 고정하는 등의 식물은 무기염류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참고 문헌
http://www.nces.go.kr/R_Study/Rice/main.htm
http://www.yonchon.or.kr/diseas/diseas-main.htm
http://ns.knrda.go.kr/tech/cgi-bin/BKX2X5.htm
농업과학기술원. 1998. 원색도감 농작물 환경오염 피해해석
8. 철(Fe)
결핍 - 전체 잎들이 희게 변색하기 시작하여 마침내 하얗게 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때 철을 시용하면 그 증상이 중지되고 새로 나오는 잎만 백화현상을 보인다
과잉 - 아랫잎의 끝으로부터 아주 작은 갈색반점이 나타나서 기부 쪽으로 번져간다. 이들 반점은 엽맥사이에서 세로로 서로 합쳐지는 데 잎은 녹색을 유지한다. 심한 경우에는 전체 잎들이 자주빛이 비치는 갈색으로 보이게 된다.
9. 구 리(Cu)
결핍 - 잎은 청록색을 띄게되며, 잎 끝부분이 백화한다. 백화현상의 특징은 잎의 앞뒷면의 중륵을 따라 기부로 진행하면서 잎끝부분은 암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새로 나오는 잎은 잎의 전체 또는 절반 정도가 바늘모양으로 말리지만 잎 기부는 정상적으로 쳐지는 특징을 보인다.
과잉 - 뿌리의 신장이 멎는다.
10. 아 연(Zn)
결핍 - 어린잎의 기부 쪽의 중륵이 백화한다. 아랫잎에서는 갈색 얼룩과 줄무늬가 나타난 다음 생장이 왜소해지지만 가지치기는 계속된다. 엽신의 크기가 줄어드나 엽초는 정상적인 크기를 유지한다. 포장에서는 생육이 불균일하고 성숙이 늦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아연이 부족한 벼잎 증상을 북새병이라고도 한다.
과잉 - 갈색의 반점이 생긴다.
11. 규 소(Si)
결핍 - 잎이 부드러워 아래로 쳐진다
12. 붕 소(B)
결핍 - 초장이 짧아지고 새로 나오는 잎의 끝이 칼슘 결핍증처럼 희게 변하면서 말린다. 심한 경우에는 생장점이 죽지만 가지치기는 계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과잉 - 특히 아랫잎의 잎끝 가장자리를 따라 백화현상이 일어나는데 그 때 커다란 암갈색의 타원형 반점이 나타난다. 잎들은 마침내 갈색으로 변하고 마른다.
Ⅲ. 결론
- 위에서 본 듯 무기영양은 광합성 식물에 없어서는 안 될 영양분과 여러 가지 그에 따른 증상을 알아보았다. 이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 하면서 식물의 필수 원소를 보고 꼭 필요한 원소들 이었지만 이것이 과잉 되었을 때 식물에 뿐 아니라 토양이나 환경에 오염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크게 보면 토양의 비료 오염으로 인한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무기염류를 필요로 하는 식물로 인하여 식물은 동물 노폐물을 재순환시키는 전통적인 수단이며, 독성노폐물 처리장에서 유해한 무기염류들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보고서에는 넣지 않았지만 근균과의 관계를 가지고 필수원소를 고정하는 등의 식물은 무기염류를 고정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참고 문헌
http://www.nces.go.kr/R_Study/Rice/main.htm
http://www.yonchon.or.kr/diseas/diseas-main.htm
http://ns.knrda.go.kr/tech/cgi-bin/BKX2X5.htm
농업과학기술원. 1998. 원색도감 농작물 환경오염 피해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