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화계
학습목표
소화기관
1) 구조와 기능
2) 구강 (oral cavity)
1. 구조
2. 저작(mastication)
3. 연하(swallowing):
3) 식도 (esophagus)
4) 위 (stomach)
5) 작은창자 (small intestine)
1. 구조
2. 운동기능
3. 소화기능
4. 흡수기능
6) 큰창자 (large intestine)
1. 구조
2. 기능
7) 부속장기 [간(liver), 쓸개(gallbladder), 이자(pancreas)]
1. 간의 주요 기능
소화의 전 과정
건강사정과 진단적 검사
1. 건강력
2. 신체검진
1) 구강사정
2) 복부사정
3) 직장&항문사정
3. 임상진단방법
(1) 혈액과 소변검사
(2) 대변검사
(3) 내시경 검사
(4) 방사선 검사
(5) 세포학적 검사
(6) 위액분석 검사
(7) Bernstein검사
(8) 초음파 촬영술
(9) 자기공명영상검사
(10) 기타
간, 담도, 췌장의 사정
(1) 신체사정
(2) 임상 진단방법
1. 검사실 검사
2. 초음파 검사
3. 방사선 검사
4. 방사선 핵종 정밀 검사
5. 복강 천자
6. 복막경 검사
7. 간 생검
8. 문맥압 측정분석
9. 십이지장과 담도 배액의 분석
학습목표
소화기관
1) 구조와 기능
2) 구강 (oral cavity)
1. 구조
2. 저작(mastication)
3. 연하(swallowing):
3) 식도 (esophagus)
4) 위 (stomach)
5) 작은창자 (small intestine)
1. 구조
2. 운동기능
3. 소화기능
4. 흡수기능
6) 큰창자 (large intestine)
1. 구조
2. 기능
7) 부속장기 [간(liver), 쓸개(gallbladder), 이자(pancreas)]
1. 간의 주요 기능
소화의 전 과정
건강사정과 진단적 검사
1. 건강력
2. 신체검진
1) 구강사정
2) 복부사정
3) 직장&항문사정
3. 임상진단방법
(1) 혈액과 소변검사
(2) 대변검사
(3) 내시경 검사
(4) 방사선 검사
(5) 세포학적 검사
(6) 위액분석 검사
(7) Bernstein검사
(8) 초음파 촬영술
(9) 자기공명영상검사
(10) 기타
간, 담도, 췌장의 사정
(1) 신체사정
(2) 임상 진단방법
1. 검사실 검사
2. 초음파 검사
3. 방사선 검사
4. 방사선 핵종 정밀 검사
5. 복강 천자
6. 복막경 검사
7. 간 생검
8. 문맥압 측정분석
9. 십이지장과 담도 배액의 분석
본문내용
영제 : 관 혹은 혈관 검사
- 요오드나 해산물에 과민반응 확인
담낭 조영술
경피적 간담관조영술
역행성 내시경 담관췌장 조영술
ㅇ 담낭 형태, 운동상태, 담석유무 진단을 위해 사진 찍는 방법.
ㅇ 쓸개즙과 조영제로 담낭을
채운 뒤 촬영
- 검사 중 고지방 식이 섭취
- 오른위복부를 X선 촬영
(검사 전)
- 검사 10~12시간 전 조영제 먹은 후 금식
- 저지방식이, 균형식이 대상자 : ipodate sodium섭취
(검사 후)
배뇨 시 따끔거리는 느낌 : 수분섭취량 증가
(금기) 황달 환자(조영제 배출못함)
ㅇ 담도를 통해 염료를 직접
주사하여 X선 촬영
(적응증)
ㅇ 간 기능 이상, 황달이 있는 경우 가능
ㅇ 위장관 증상 관찰
ㅇ 결석의 위치 변경 시킬 때
ㅇ 담도계와 관련된 암 진단
- 금식 후 앙와위 취하기
- 주사부위: 우측늑골연 아래~쇄골 중심선 만나는곳
- 후방 45도로 중앙선에 수평을
유지지하여 삽입
- 바늘 10cm삽입 후, 50ml주사기가 부착된 플라스틱 연결관 연결
- 담즙이 보일 때 까지 서서히 흡인
- 많은 담즙 흡인 후 염료 주사, X선 관찰
- 담즙성 복막염 위험성 사정
→ 많은 염료&담즙 흡인하여 바늘 삽입통로로 새 나와 복강으로 들어감
- 검사 후 : 출혈, 복막염, 패혈증 관찰
- 예방적 항생제 투여
- 검사 후 24시간 : 조영제에 의한 알러지반응 관찰
- 배뇨 시 불편감 : 수분섭취 증가
(ERCP)
- 식도 통해 광학 섬유 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통과
- 염료를 관으로 주입시켜 담관
관찰후 진단
- 담도계 구조관찰, 총담관 하부
담석 발견 가능
(검사 전)
- 시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 시술 직전에 진정제 투여
(검사 후)
- 활력징후의 변화, 감염이나 천공의 증상, 부작용, 구토 반사 회복 관찰
혈관 조영술
ㅇ 혈관 구조와 기능 이상 및 종양과 출혈 장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장 혈관을 투시하는 방법
ㅇ 간, 담낭, 췌장의 동맥 혈관의 구조와 기능 이상, 덩어리의 관찰, 췌장, 비장, 문맥계의 출혈 부위 확인, 정맥류 검사
- 대퇴동맥으로 조영제 주사
→ 복강동맥 혹은 상장간막동맥이나 간동맥으로 카테터 통과 → 조영제 주사 후 즉시 X선 촬영
(검사 전)
- 검사의 목적 설명
-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
- 출혈 유발하는 약물 복용 여부 확인 : 1주일 전 중단 → 항 응고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출혈 혹은 응고 검사 실시
- 십입 부위로부터 원위부맥박 사정: 삽입부위맥박비교
(검사 후)
- 촬영 부위의 출혈 여부 사정
- 카테터 삽입부위 아래쪽의 맥박 사정
담관 조영술
정맥 담관 조영술
ㅇ 담관에 요오드 조영제 주입 후 X선 촬영
ㅇ 담관 보기 위해 정맥으로 조영제 주사 후 X선 촬영
ㅇ 단점 : 정맥 주입 부위의 화상우려
T-튜브 담관 조영술
컴퓨터 단층 촬영술
ㅇ 담즙 배설을 목적으로 삽입한 T-tube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을 검사
ㅇ 간과 담도 및 담낭의 질병
진단 및 평가
ㅇ 밀도가 높은 구조 ; 흰색
밀도가 낮은 구조 ; 회색
공기 ; 검은색
- 검사 전 8~12시간 동안 물을
제외하고 금식
4. 방사선 핵종 정밀 검사
ㅇ 감마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정맥으로 주입하여 동위원소 탑지기를 복부에 대고 정밀검사
- 목적 : 담관의 개방성, 간, 담낭, 췌장에 종양, 농양의 존재
ㅇ cold spot(흡수저하) ; 간암, 종양
ㅇ hot spot(흡수증가) ; 신생물, 염증조직
5. 복강 천자
ㅇ복강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복강 내압 완화, 배양검사를 위한 용액 채취하기 위해 시행
- 방광 비우기 ; 방광천자 방지
- 상체 올리고 등 지지한 상태에서 발판에 다리 얹기
- 국소 마취 후 투관침을 배꼽 아래에 무균적 삽입
(합병증) - 순환 혈량감소로 인한 쇼크, 복막염, 출혈, 감염
ㅇ 시술 후 활력증상과 말초 순환 사정
6. 복막경 검사
ㅇ 종양이나 간경변증 진단
ㅇ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 90%의 정확도
- 복부를 조금 절개하여 복강경 삽입
- 복강 내부 사진 찍는 것과 생검 동시에 실시
(금기) 복강의 감염, 응고장애, 장 폐색, 협조 어려운 환자, 복수증, 비만
(검사 전) - 서약서 확인 - 약에 대한 민감성 여부 확인 - 피부 준비
- 혈액 응고수치 확인 - 검사 전 금식 상태 확인 - 바늘 삽입 시 숨을 멈추라 교육
(검사 후) - 간 생검 시행되었다면 24시간 안정
7. 간 생검
ㅇ 살아있는 간 조직의 표본을 얻는 것
*개방적 간 생검 ; 전신 마취와 복부 절개 시행
→ 장점: 변질된 조직을 식별하여 생검 표본 얻음
*폐쇄적 간 생검 ; 조직의 핵심을 침으로 흡인
→ 장점: 단순한 시술로 간질환의 원인 규명 가능
→ 단점: 침의 위치 확인 불가능
→ 금기: 혈소판 감소증, 폐기저의 국소감염, 프로트롬빈 시간의 지연, 복막염,
복수증 간외성 폐쇄성 황달
(검사 전) - 앙와위, 오른팔 윗부분 올리고 왼쪽을 아래로 누운 측위, 엎드린 자세
- 침 삽입 동안 숨 내쉰 상태에서 5~10초 숨 멈추기
- 횡격막 천자 방지
(검사 후) - 활력징후 측정 → 2시간(15분 간격)
→ 2시간(30분 간격)
→ 4시간(1시간 간격)
- 출혈 관찰 : 빈맥, 혈압저하
- 시술 부위의 드레싱, 혈종 형성 관찰
- 혈액 축적 → 오른 윗 복부 통증, 오른쪽 어깨 부위 통증
- 검사 후 24시간동안 침상 안정
-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 취하기 → 출혈과 담즙누출의 위험감소
- Vitamin K처방 - 호흡기계 상태 관찰
8. 문맥압 측정
* 간정맥 카테터를 삽입하여 문맥압을 간접 측정하여 wedged hepatic vein pressere를 재는 방법
→ 팔정맥, 대퇴정맥을 통하여 카테터삽입
* 제와정맥으로 카테터 삽입, 직접 문맥압 측정
* 비장 펄프 압력계를 사용하는 방법
9. 십이지장과 담도 배액의 분석
ㅇ 담낭 조영술이 불가피 할 시 담석증 진단
- 검사 전 8시간 동안 금식
- 당일 구멍의 비위관을 위내 삽입 → 위 내용물 흡인 → 튜브삽입(담즙 나타낼 때 까지)
→ 튜브로 마그네슘 설페이트 주입&정맥으로 세크레틴 주사 → 십이지장으로 담즙 흐름을 자극
→ 담즙 모으기 → 분석
- 요오드나 해산물에 과민반응 확인
담낭 조영술
경피적 간담관조영술
역행성 내시경 담관췌장 조영술
ㅇ 담낭 형태, 운동상태, 담석유무 진단을 위해 사진 찍는 방법.
ㅇ 쓸개즙과 조영제로 담낭을
채운 뒤 촬영
- 검사 중 고지방 식이 섭취
- 오른위복부를 X선 촬영
(검사 전)
- 검사 10~12시간 전 조영제 먹은 후 금식
- 저지방식이, 균형식이 대상자 : ipodate sodium섭취
(검사 후)
배뇨 시 따끔거리는 느낌 : 수분섭취량 증가
(금기) 황달 환자(조영제 배출못함)
ㅇ 담도를 통해 염료를 직접
주사하여 X선 촬영
(적응증)
ㅇ 간 기능 이상, 황달이 있는 경우 가능
ㅇ 위장관 증상 관찰
ㅇ 결석의 위치 변경 시킬 때
ㅇ 담도계와 관련된 암 진단
- 금식 후 앙와위 취하기
- 주사부위: 우측늑골연 아래~쇄골 중심선 만나는곳
- 후방 45도로 중앙선에 수평을
유지지하여 삽입
- 바늘 10cm삽입 후, 50ml주사기가 부착된 플라스틱 연결관 연결
- 담즙이 보일 때 까지 서서히 흡인
- 많은 담즙 흡인 후 염료 주사, X선 관찰
- 담즙성 복막염 위험성 사정
→ 많은 염료&담즙 흡인하여 바늘 삽입통로로 새 나와 복강으로 들어감
- 검사 후 : 출혈, 복막염, 패혈증 관찰
- 예방적 항생제 투여
- 검사 후 24시간 : 조영제에 의한 알러지반응 관찰
- 배뇨 시 불편감 : 수분섭취 증가
(ERCP)
- 식도 통해 광학 섬유 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통과
- 염료를 관으로 주입시켜 담관
관찰후 진단
- 담도계 구조관찰, 총담관 하부
담석 발견 가능
(검사 전)
- 시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 시술 직전에 진정제 투여
(검사 후)
- 활력징후의 변화, 감염이나 천공의 증상, 부작용, 구토 반사 회복 관찰
혈관 조영술
ㅇ 혈관 구조와 기능 이상 및 종양과 출혈 장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장 혈관을 투시하는 방법
ㅇ 간, 담낭, 췌장의 동맥 혈관의 구조와 기능 이상, 덩어리의 관찰, 췌장, 비장, 문맥계의 출혈 부위 확인, 정맥류 검사
- 대퇴동맥으로 조영제 주사
→ 복강동맥 혹은 상장간막동맥이나 간동맥으로 카테터 통과 → 조영제 주사 후 즉시 X선 촬영
(검사 전)
- 검사의 목적 설명
-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
- 출혈 유발하는 약물 복용 여부 확인 : 1주일 전 중단 → 항 응고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 출혈 혹은 응고 검사 실시
- 십입 부위로부터 원위부맥박 사정: 삽입부위맥박비교
(검사 후)
- 촬영 부위의 출혈 여부 사정
- 카테터 삽입부위 아래쪽의 맥박 사정
담관 조영술
정맥 담관 조영술
ㅇ 담관에 요오드 조영제 주입 후 X선 촬영
ㅇ 담관 보기 위해 정맥으로 조영제 주사 후 X선 촬영
ㅇ 단점 : 정맥 주입 부위의 화상우려
T-튜브 담관 조영술
컴퓨터 단층 촬영술
ㅇ 담즙 배설을 목적으로 삽입한 T-tube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관을 검사
ㅇ 간과 담도 및 담낭의 질병
진단 및 평가
ㅇ 밀도가 높은 구조 ; 흰색
밀도가 낮은 구조 ; 회색
공기 ; 검은색
- 검사 전 8~12시간 동안 물을
제외하고 금식
4. 방사선 핵종 정밀 검사
ㅇ 감마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정맥으로 주입하여 동위원소 탑지기를 복부에 대고 정밀검사
- 목적 : 담관의 개방성, 간, 담낭, 췌장에 종양, 농양의 존재
ㅇ cold spot(흡수저하) ; 간암, 종양
ㅇ hot spot(흡수증가) ; 신생물, 염증조직
5. 복강 천자
ㅇ복강내의 수분을 제거하여 복강 내압 완화, 배양검사를 위한 용액 채취하기 위해 시행
- 방광 비우기 ; 방광천자 방지
- 상체 올리고 등 지지한 상태에서 발판에 다리 얹기
- 국소 마취 후 투관침을 배꼽 아래에 무균적 삽입
(합병증) - 순환 혈량감소로 인한 쇼크, 복막염, 출혈, 감염
ㅇ 시술 후 활력증상과 말초 순환 사정
6. 복막경 검사
ㅇ 종양이나 간경변증 진단
ㅇ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 90%의 정확도
- 복부를 조금 절개하여 복강경 삽입
- 복강 내부 사진 찍는 것과 생검 동시에 실시
(금기) 복강의 감염, 응고장애, 장 폐색, 협조 어려운 환자, 복수증, 비만
(검사 전) - 서약서 확인 - 약에 대한 민감성 여부 확인 - 피부 준비
- 혈액 응고수치 확인 - 검사 전 금식 상태 확인 - 바늘 삽입 시 숨을 멈추라 교육
(검사 후) - 간 생검 시행되었다면 24시간 안정
7. 간 생검
ㅇ 살아있는 간 조직의 표본을 얻는 것
*개방적 간 생검 ; 전신 마취와 복부 절개 시행
→ 장점: 변질된 조직을 식별하여 생검 표본 얻음
*폐쇄적 간 생검 ; 조직의 핵심을 침으로 흡인
→ 장점: 단순한 시술로 간질환의 원인 규명 가능
→ 단점: 침의 위치 확인 불가능
→ 금기: 혈소판 감소증, 폐기저의 국소감염, 프로트롬빈 시간의 지연, 복막염,
복수증 간외성 폐쇄성 황달
(검사 전) - 앙와위, 오른팔 윗부분 올리고 왼쪽을 아래로 누운 측위, 엎드린 자세
- 침 삽입 동안 숨 내쉰 상태에서 5~10초 숨 멈추기
- 횡격막 천자 방지
(검사 후) - 활력징후 측정 → 2시간(15분 간격)
→ 2시간(30분 간격)
→ 4시간(1시간 간격)
- 출혈 관찰 : 빈맥, 혈압저하
- 시술 부위의 드레싱, 혈종 형성 관찰
- 혈액 축적 → 오른 윗 복부 통증, 오른쪽 어깨 부위 통증
- 검사 후 24시간동안 침상 안정
- 오른쪽으로 누운 자세 취하기 → 출혈과 담즙누출의 위험감소
- Vitamin K처방 - 호흡기계 상태 관찰
8. 문맥압 측정
* 간정맥 카테터를 삽입하여 문맥압을 간접 측정하여 wedged hepatic vein pressere를 재는 방법
→ 팔정맥, 대퇴정맥을 통하여 카테터삽입
* 제와정맥으로 카테터 삽입, 직접 문맥압 측정
* 비장 펄프 압력계를 사용하는 방법
9. 십이지장과 담도 배액의 분석
ㅇ 담낭 조영술이 불가피 할 시 담석증 진단
- 검사 전 8시간 동안 금식
- 당일 구멍의 비위관을 위내 삽입 → 위 내용물 흡인 → 튜브삽입(담즙 나타낼 때 까지)
→ 튜브로 마그네슘 설페이트 주입&정맥으로 세크레틴 주사 → 십이지장으로 담즙 흐름을 자극
→ 담즙 모으기 →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