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Bilirubin, direct-5.71mg/dL) 대상자가 느끼는 가려움증은 조금 덜 해 졌다고 말하였다.(점수로 10점 만점 매겼을 때 5~6점 이라고 하였다.)
12/22
*주관적 자료:
①“속도 미식거리고 잠자리가 바뀌어서 그런지 잠이 안와요”
②대상자가 피곤해 한다.
*객관적 자료:
①밤에 자다가 매일 화장실을 2~3번 간다.
②혈압을 재러 가거나 주사를 놓으려고 가면 낮에 2~3시간 누워서 설 잠에 들어 있다.
③대상자에게 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기라고 했을 때 8점이라고 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더욱 피곤하다.)
변화된 환경과 관련된 수면양상의 변화
*단기목표:
①대상자가 밤에 깨는 횟수가 줄은다.(0~1회)
②대상자가 낮에 잠을 자지 않도록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가 피곤한거 없이 깊게 편하게 잤다고 한다.
*치료적 계획:
①의사 처방에 따라 투약: stilnox 10mg 5TAB 1회 1일 - 불면증 치료
*교육적 계획:
①대상자에게 잠자기 전 밖에 나가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②배고파서 잠이 안 오면 우유를 데워서 마시도록 교육한다.
*사정, 진단적 계획:
①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긴다.(5이하 목표)
②기본적으로 V/S(정규 V/S, special V/S)과 I/O를 check 한다.
①stilnox 10mg 5TAB 1회 1일 투여
②대상자에게 잠자기 전 밖에 나가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③배고파서 잠이 안 오면 우유를 데워서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④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긴다.(4점이라고 하였다.)
⑤기본적으로 V/S(정규 V/S, special V/S)과 I/O를 check 하였다. - 위의 표 참고
대상자가 밤에 깨서 화장실 가는 일이 없었으며 깊게 자지는 못 했지만 편안하게 잤다고 말 하였다. 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으로 매겼을 때 4점 이라고 하였다.
3.결론
어느 병동보다도 소화기계 병동은 무척이나 바쁘다. 주로 수술이나 치료를 위해서 입원하기 보다는 의심 가는 질병에 대해 검사를 하기 위한 입원이 훨씬 많다. 여러 가지 검사를 받고 그 검사 때문에 쓰인 약물이나 검사 자체 때문에 환자 건강 패턴이 변할 수 있기에 그것을 체크하는 것이 대부분의 일이다. 수술이 필요할 경우 보통 외과병동으로 내려간다. 수술 전 준비와 검사가 이곳에서 계획되고 이루어진다. 그저 검사만 받고 왔을 뿐인데 간혹 그 검사에 의해 이상 증상이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그것을 확인하고 치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이곳의 일이다. 2주간 실습 하는 내내 이곳은 한가한 적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더욱 빨리 지나 간 것 같다.
(문헌고찰)
1. 손영희 외 - 기본간호학(상) - 현문사
2.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상2) - 현문사 (개정 전)
3.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하) - 현문사 (개정 후)
4. 시그마 편찬 -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5. 김기환 감수,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편찬 - MOSBY'S DICTIONARY - 현문사
12/22
*주관적 자료:
①“속도 미식거리고 잠자리가 바뀌어서 그런지 잠이 안와요”
②대상자가 피곤해 한다.
*객관적 자료:
①밤에 자다가 매일 화장실을 2~3번 간다.
②혈압을 재러 가거나 주사를 놓으려고 가면 낮에 2~3시간 누워서 설 잠에 들어 있다.
③대상자에게 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기라고 했을 때 8점이라고 하였다.(점수가 높을수록 더욱 피곤하다.)
변화된 환경과 관련된 수면양상의 변화
*단기목표:
①대상자가 밤에 깨는 횟수가 줄은다.(0~1회)
②대상자가 낮에 잠을 자지 않도록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가 피곤한거 없이 깊게 편하게 잤다고 한다.
*치료적 계획:
①의사 처방에 따라 투약: stilnox 10mg 5TAB 1회 1일 - 불면증 치료
*교육적 계획:
①대상자에게 잠자기 전 밖에 나가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②배고파서 잠이 안 오면 우유를 데워서 마시도록 교육한다.
*사정, 진단적 계획:
①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긴다.(5이하 목표)
②기본적으로 V/S(정규 V/S, special V/S)과 I/O를 check 한다.
①stilnox 10mg 5TAB 1회 1일 투여
②대상자에게 잠자기 전 밖에 나가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③배고파서 잠이 안 오면 우유를 데워서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④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 점수로 매긴다.(4점이라고 하였다.)
⑤기본적으로 V/S(정규 V/S, special V/S)과 I/O를 check 하였다. - 위의 표 참고
대상자가 밤에 깨서 화장실 가는 일이 없었으며 깊게 자지는 못 했지만 편안하게 잤다고 말 하였다. 피곤한 정도를 10점 만점으로 매겼을 때 4점 이라고 하였다.
3.결론
어느 병동보다도 소화기계 병동은 무척이나 바쁘다. 주로 수술이나 치료를 위해서 입원하기 보다는 의심 가는 질병에 대해 검사를 하기 위한 입원이 훨씬 많다. 여러 가지 검사를 받고 그 검사 때문에 쓰인 약물이나 검사 자체 때문에 환자 건강 패턴이 변할 수 있기에 그것을 체크하는 것이 대부분의 일이다. 수술이 필요할 경우 보통 외과병동으로 내려간다. 수술 전 준비와 검사가 이곳에서 계획되고 이루어진다. 그저 검사만 받고 왔을 뿐인데 간혹 그 검사에 의해 이상 증상이 보이는 사람들도 있다. 그것을 확인하고 치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이곳의 일이다. 2주간 실습 하는 내내 이곳은 한가한 적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더욱 빨리 지나 간 것 같다.
(문헌고찰)
1. 손영희 외 - 기본간호학(상) - 현문사
2.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상2) - 현문사 (개정 전)
3.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하) - 현문사 (개정 후)
4. 시그마 편찬 - 임상간호 매뉴얼 - 현문사
5. 김기환 감수,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편찬 - MOSBY'S DICTIONARY -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간호 실습 레포트>소아과 CASE STUDY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Bacterial meningitis 환자의 case study
Meningioma, Craniotomy, 신경외과 case study
아동간호 소아과(PED)case study - 급성 기관지염
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정상임부(임부간호) Case Study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간호관리학] Nursing Management Case Study - 부정적 조직 분위기
급성신우신염간호진단 케이스스터디 APN acute pyelonephritis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보고...
성인간호학 폐렴 (Pneumonia) Case study
Schizophrenia(정신분열병) - case study
심근경색 MI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MICU - asthma 천식 case study A+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