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두 입장
2.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의 입장
3.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의 비판과 한계점
4.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의 입장
5.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의 비판과 한계점
6.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공통된 관점
2.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의 입장
3.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능이론의 비판과 한계점
4.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의 입장
5. 교육을 통한 사회평등 실현가능성에 대한 갈등이론의 비판과 한계점
6.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공통된 관점
본문내용
종속변수로 인식하고 있는 점에서 두 이론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이 두 이론은 교육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모두 교육의 본직이 아닌 외적 기능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거시적 접근방법을 택하고 있다. 두 이론이 다른 점은 교육이 봉사하는 대상에 관한 설명일 뿐이고, 교육이 기존 사회구조와 문화를 반영한다는 주장은 같다. 그리고 두 이론 모두 인간을 외부의 자극 특히 사회의 요구나 필요에 따라 단순히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갈등이론이 말하는 사회의 최종단계는 기능이론이 상정한 사회세계와 같이 체제 통합적이고, 사회평등화를 지향하고 있다. 즉 갈등이론의 최종적인 사회는 사회구성원 누구나 만족하는 이상적인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갈등이론은 비록 학교교육의 모순적 구조에 대해서는 비판하지만 학교교육이 본래의 모습을 찾길 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점에서 보면 기능론적 교육관과 비슷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송병순,(1987) <교육사회학>, 문음사, 1987
윤정일강무섭 역,(1990) <교육과 사회발전>, 대영문화사.
손준종(2001). 교육사회학. 서울: 문음사.
김병성(2002). 교육사회학 이론신강. 서울: 학지사.
참고문헌
송병순,(1987) <교육사회학>, 문음사, 1987
윤정일강무섭 역,(1990) <교육과 사회발전>, 대영문화사.
손준종(2001). 교육사회학. 서울: 문음사.
김병성(2002). 교육사회학 이론신강. 서울: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