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친화 지능에 대한 탐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 친화 지능에 대한 탐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연친화지능이란?
2. 자연친화지능의 특징
3. 자연친화지능의 필수적 능력들-상징체계
4. 에니어그램의 제 5 유형 ‘탐구주의자’
5. 자연친화지능의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
6. 자연친화지능이 뛰어난 장애사례
7. 다중지능 이론과 학습유형이론의 통합
8. 자연친화지능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
9. 특수교육에의 활용과 함의

본문내용

다.
-개미 기르기: 시중에서 판매하는 개미기르기 집을 구하고 개미 5마리 정도를 넣어 기른다.투명한 집에 넣어두면 개미의 먹이 먹는 모습, 굴을 파는 모습 등을 관찰하기 용이하다.
(3) 자연과의 직접적인 접촉의 기회 필요 리처드 루브(Richard Louv) (2007).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김주희 역). 서울: 즐거운상상.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
저자는 야외 놀이의 결핍이 감각의 완전한 사용을 감소시킨다고 믿는다. 자연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이 아이들의 모든 감각을 동시에 자극한다. 그리고 감각의 사용은 학습에 필수적이다. 아이들을 실내로 몰아감으로써 우리는 아이들에게서 세계에 대한 완벽한 연결을 빼앗는 것이다.
저자는 학교가 생태학적 악화의 두려움을 기술하는데 쓰이는 용어인 “생태공포”를 의도하지 않았지만 확산시키고 있다고 말한다. 자연과의 직접적인 경험이 없으면 아이들은 자연을 즐거움이나 경외가 아니라 두려움과 대재앙으로 연상하기 시작한다. 비슷하게도 환경을 다루는 교과과정이 아이들을 자연계와 연결시키기 보다는 결국 아이들에게 거리감을 두게 한다.
아이들과 함께 살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이 조사자들의 연구에 대해서, 자연경험의 결핍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서 그리고 전체적으로 우리사회에 암시하는 바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
10. 참고문헌
-리처드 루브(Richard Louv) (2007). 자연에서 멀어진 아이들(김주희 역). 서울: 즐거운상상.
-문용린(2009).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북스.
-신화식, 김명희 (2006).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과정. 서울:학지사.
-최주환(2006). 사회복지 실천과 에니어그램. 서울: 양서원.
-황순희 (2009). 다중지능 학급경영. 서울: 시그마프레스.
-황희숙, 이희영, 이경화, 이정화, 신경숙, 윤경미, 강승희, 윤소정, 황순영. (2008). 아동발달과 교육. 서울: 학지 사.
-(Linda Campbell, Bruce Campbell, Dee Dickinson). (2006). 다중지능과 교수-학습(이신동, 정종진, 이화진, 이정규, 김태은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Howard Gardner). (2007). 다중지능(문용린,유경재 역).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한국교육문제연구소(1999). MI이론을 적용한 통합 교육과정 개발, p.7.
-www.sbs.co.kr: TV동물농장: 하이디와 함께한 6주간의 기록.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24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