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탄사의 개념과 특징
2. 감탄사의 유형
2. 1. 감정 감탄사
2. 2. 의지 감탄사
2. 3. 입버릇 및 더듬거림 감탄사
2. 4. 감탄사의 형성
2. 감탄사의 유형
2. 1. 감정 감탄사
2. 2. 의지 감탄사
2. 3. 입버릇 및 더듬거림 감탄사
2. 4. 감탄사의 형성
본문내용
뭐 잘 모르겠습니다.
ㄴ. 저어,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8)의 ‘뭐’와 ‘저어’는 해야 할 말이 언뜻 떠오르지 않아서 발화 준비를 위한 시간을 벌 때 사용하는 첨가어이거나 습관적으로 쓰는 군말이다. 이런 감탄사들은 음성으로 발화되기는 했지만 듣는 이의 입장에서 보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기에 잉여 표현 혹은 군더더기 표현으로 처리한다.(나찬연 2009:285)
2. 4. 감탄사의 형성
감탄사는 형성되는 방법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아이고’, ‘에구머니’ 등과 같은 고유한 감탄사이다. 둘째, ‘만세’, ‘뭐’, ‘이런/그런/저런’ 등과 같이 품사 통용을 해서 감탄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대명사(뭐), 명사(명사), 부사(허허) 등 그 경우도 다양하다. 셋째, ‘옳소’, ‘그래’ 등과 같이 용언의 활용형이 감탄사로 된 경우도 있다. 넷째, ‘천만에’와 같이 ‘체언+의’의 구성이 감탄사로 굳은 경우도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7, 탑출판사
ㄴ. 저어,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8)의 ‘뭐’와 ‘저어’는 해야 할 말이 언뜻 떠오르지 않아서 발화 준비를 위한 시간을 벌 때 사용하는 첨가어이거나 습관적으로 쓰는 군말이다. 이런 감탄사들은 음성으로 발화되기는 했지만 듣는 이의 입장에서 보면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기에 잉여 표현 혹은 군더더기 표현으로 처리한다.(나찬연 2009:285)
2. 4. 감탄사의 형성
감탄사는 형성되는 방법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아이고’, ‘에구머니’ 등과 같은 고유한 감탄사이다. 둘째, ‘만세’, ‘뭐’, ‘이런/그런/저런’ 등과 같이 품사 통용을 해서 감탄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대명사(뭐), 명사(명사), 부사(허허) 등 그 경우도 다양하다. 셋째, ‘옳소’, ‘그래’ 등과 같이 용언의 활용형이 감탄사로 된 경우도 있다. 넷째, ‘천만에’와 같이 ‘체언+의’의 구성이 감탄사로 굳은 경우도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2010,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문법 교사용 지도서』, 2010, 두산
나찬연,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 2009, 월인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1997, 탑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