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시민 사회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Ⅱ. 한국사회는 시민사회인가
1. 한국시민사회의 기원
2. 한국시민사회의 성장과 변화
3. 한국시민사회의 특징과 과제
-한국시민사회는 제국주의나 권위주

Ⅲ. 시민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 한국시민교육의 현주소
2. 한국시민교육의 미래


제 3장 한국사회의 시민교육
-한국 시민교육에 대한 사적 고착-
Ⅰ. 한국 시민교육의 변천과정
1. 미군정기와 정부 수립 초기의 시민교육
2. 1950년대의 한국 시민교육

본문내용

여 전시 생활을 지도
⑵전쟁 이후
-교육과정의 생활화와 과학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을 개편, 교육을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를 과학화하는 수단으로 학생들이 지능·적성·취미·관심들에 대한 이해를 근거로 학습과 생활지도를 하고, 과외활동을 통한 전인교육을 실시하고자 함
-이때 제정된 '제 1차 교육과정'은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아 지식 중심의 교육을 지양, 학생의 경험과 생활을 존중하는 교육과정 지향
-아동의 경험을 토대로 하는 단원중심의 학습, 문제해결학습 등장. 종전의 공민·역사·지리 등으로 나누어졌던 교과들을 통합->'사회생활과'라는 새 과목 만듦
-'도덕과' 부활->어린이나 청년이나 정신적인 수양을 할 기회를 교육과정에서 제공
-1955년 종전의 학적부를 '생활기록부'로 고칠 것을 지시
-중등학교에서는 학생의 생활지도를 위하여 '상담제'를 두는 곳이 나타나기 시작
-대학에서는 학생지도를 위한 연구회, 협의회가 대학 학생지도의 임무를 맡은 사람들 사이에 열리게 됨
-1950년대 말, 특수대학원이 설치되기 시작. 대학원제도의 이원화(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통적인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을 생활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대체하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볼 수는 없다. 한국적 특수성으로 인해 한국사회나 한국학교 모두 미분화된 상태였으며, 따라서 한국학교가 민주적인 생활문화를 배우고 익히는 장소가 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히려 이념적으로는 민족주의와 반공주의를, 현실적으로는 교과나 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국민 교화의 장인 동시에 입시와 취업에 대비하는 경쟁과 선발의 장이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1.26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6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