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조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개 요
1. 성경의 가치
2. 성경의 주제
3. 성경의 권위
4. 성경의 구분

구 약
1. 구약내용 개설
2. 구약의 목적
3. 모세오경
4. 여호수아
5. 사사
6. 다윗
7. 예언자

신 약
1. 신약내용 개설
2. 본문 비평
3. 예수 그리스도
4. 4복음서의 그리스도
5. 사도행전의 그리스도
6. 바울 서신서의 그리스도
7. 일반 서신서의 그리스도

본문내용

다. 여기에 기독교인의 시민법에 대한 자세가 있고, 모든 인간관계의 표본이 있다.
7. 일반서신서의 그리스도
1) 히브리서의 그리스도
히브리서의 기자는 누구인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1,700년 전에 오리겐은 ‘이 책의 기자는 하나님만 알고 있다’ 라고 했다. 이 편지를 받을 대상은 유대 그리스도인이었다.
히브리서의 주제는 우리의 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이시다. 히브리서는 구약 레위기와 관련이 많고,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에 대하여 고조하고 있다. 히브리서를 통해 속죄의 심오한 도리를 보다 잘 알 수 있다. 히브리서 기자는 이 구약 제도는 보다 나은 희생 제도로 대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예수님이 드린 제사장 역이 구약의 제사장 제도보다 뛰어나다고 했다.(히1:1-3, 1:4-2:18, 3:1-4:13, 4:14-7:28, 등등)
구약제도는 그리스도의 그림자이고, 예표였다. 우리의 제사장이신 그리스도를 통해서 담대히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게 되었다.
2) 야고보서의 그리스도
야고보서의 주제는 속히 재림하실 그리스도이시다.(약5:7-9) 심판자이신 그리스도가 속히 오실 것이니 이론적 신앙에 머물러 있지 않고 행위적 신앙으로 주님께 영광을 돌리라고 했으며, 행함 없는 지식적 신앙은 아무런 소용이 없고, 행함이 없는 사랑의 말은 아무런 효과가 없는 것이라고 했다. 즉 신앙은 행동이 있어야 산 신앙이고, 행동으로 표현 되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야고보서의 주제이다.
3) 베드로전· 후서의 그리스도
베드로전· 후서는 신앙 때문에 박해를 받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쓴 것으로 ‘성도의 산 소망이신 그리스도’가 뚜렷이 부각되어 있다.(벧전1:3,4) 고난이란 말이 베드로전서에 17번 나온다. 5번은 예수님의 고난에 대해서, 10번 정도는 그리스도인의 고난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성도가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의 위로가 넘치고 그 고난은 연단을 가져온다. 이 고난은 복음과 함께 당하는 고난이요,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역사요, 신앙의 연단을 위한 시련이다.
‘오직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벧전2:20)’
4) 요한 서신의 그리스도
(1)요한 서신의 주제 - ‘우리와 함께 계신 그리스도’가 요한 서신에 부각된 그리스도이시다.(요일4:2, 3:24 등등)
(2)요한 서신의 목적 - 요한 서신도 요한복음처럼 쓴 목적을 말하고 있다. 그것은 영생인 것이다.(요일5:13)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에게 이미 영생을 소유하고 있음을 알게 하려고 이것을 쓴 것이다.
(3)요한 서신의 이단 - 요한일서에는 그노시스주의와 거짓 이단들이 순진한 성도들을 오염시키고 있었다.
요한은 흑과 백으로 이 이단과 참 기독교를 대조한다.
이 단
참 그리스도인
암흑이며 하나님과 사귐이 없다.
빛 가운데 거하고 하나님과 사귐이 있다.
죄를 초월해서 산다고 한다.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용서를 받는다.
하나님을 안다고 하지만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지 않는다.
하나님의 계명을 지킨다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의 계명을 받는 것처럼 하지만 참 그리스도인을 미워한다.
서로 사랑한다.
예수의 유일성과 성육신을 부인한다.
예수의 인성과 신성을 믿는다.
사단의 자녀들로 죽음 안에 있다.
하나님에게서 나서 그리스도와 영원한 생명 안에 거한다.
요한이서와 요한삼서는 요한 일서의 내용을 더 확대시켜 설명하고 있다.(요이1:7)
5) 유다서의 그리스도
유다서에 부각된 그리스도는 ,유일한 주재이신 그리스도‘ 이시다. 거짓 선지자들이 일어나 이 그리스도를 부인했다.(유1:4) 야고보의 형제인 유다는 이 이단을 대항하여 싸우라고 했다.(유1:3)
6) 요한 계시록의 그리스도
(1)요한계시록의 배경과 초점
사도 요한은 신앙 때문에 노령에 밧모섬에 유배되었다. 주님은 그곳에서 그에게 계시를 주셨다. 승리의 그리스도, 즉 부활하사 영화롭게 되시고 심판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가 초점이다. 이미 십자가에서 사단의 권세를 멸하신 그리스도께서는 인류의 종말에 사단과 그의 부하들을 무저갱에 영원히 던져 버린다.
(2)4-19장에 대한 해석
요한계시록4-19장까지의 사건에 대해서 네 가지 해석이 있다. 첫째, 1세기에 되어진 사건으로 보는 견해, 둘째, 1세기부터 예수 재림까지 되어질 사건으로 보는 견해, 셋째, 예수 재림 직전의 사건으로 보는 견해, 넷째, 어떤 특정한 기간의 역사적 성취가 아니라 단순히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는 선악의 갈등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 네 가지는 각각 논거가 있다.
(3)요한계시록의 내용
서론(1:1-8) - 자기 소개와 계시록의 기본 내용
제1계시(1:9-3:22) - 일곱 교회는 모든 시대의 모든 교회를 대표한다.
제2계시(4:1-16:21) - 심판은 일곱 봉인 심판(계6:1-8:5)과 일곱 나팔 심판(계8:6-11:18)과 일곱 대접 심판(계16:1-21)으로 모두 21가지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인간 구원의 기초가 된다. 그러나 구원의 궁극적 결과는 하나님이 악과 하나님을 최종적으로 심판하시고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의가 영원히 확립될 때까지 완성되지 않는다.
제3계시(17:1-21:8) - 일곱 대접의 재앙이다. 하나님의 진노가 쏟아진다. 지상 왕국의 최후의 몰락이 기록되었다. 17장-18장에서는 바벨론의 정치· 경제· 문화의 급격한 몰락을 기술하고 있다. 19장에는 예수님이 피묻은 옷을 입고, 흰말을 타고 심판주로서, 만왕의 왕으로서 전쟁을 벌인다. 13장에서 짐승과 거짓 선지자들은 유황 불붙는 못에 던져진다. 20장에는 사단을 옥에 1,000년 동안 결박한다. 1,000년 후에 제2의 사망으로 최후 심판과 정죄 그리고 큰 죽음이 있다.
제4계시(21:9-22:5) - 요한은 성전이 있는 것을 보았다. 주 예수 어린 양이 직접 성전이었다. 그곳의 주민의 어린 양의 책에 기록된 사람뿐이었다. 그리스도가 이 새 예루살렘의 초점이시다.
결론(계22:6-21) - 그리스도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다(계22:13) 누구나 믿는 자는 어린 양의 피로 씻을 수 있고, 누구나 원하는 자는 생명수로 시원함을 얻을 수 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