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믿음이란
계시
성경말씀의 전래
제3장 창세기 &하나님(나라에로)의 부르심
결론
애굽으로 건너가다 그리고
제5강 사사시대: 각각 그 소견에 옳은대로 행하여
계시
성경말씀의 전래
제3장 창세기 &하나님(나라에로)의 부르심
결론
애굽으로 건너가다 그리고
제5강 사사시대: 각각 그 소견에 옳은대로 행하여
본문내용
① 성경의 역사성 즉 실제로 기록을 했는가이다. 힌두교는 종교적 교훈에 목적을 두지 실제성은 없다. 기독교는 신·구약의 모든 사건이 역사적인 일이다. ② 성경의 동일성이다. 성경의 저자는 40여명으로 시작과 끝의 역사가 1600년이나 그 맥락이 비슷하며 동일성을 가지고 있고 하나님의 성품과 사역이 충돌 없이 같다. ③ 성경의 내용상의 특징으로 그 주제는 ‘하나님의 나라’에 있다. 하나님의 나라는 새 하늘과 새 땅을 말하며 국민은 하나님의 자녀 주권은 자유와 순종을 의미한다. ‘임의로 먹으라’의 뜻은 자유의 권리를 뜻하며 ‘먹지말라’는 자유의 대한 순종의 원리이다. 즉 자유 안에서 순종, 순종함으로 주신 자유가 하나님의 원리이다. ④ 약속과 성취: 성경의 구조적인 원리이자 큰 틀로 살아계신 하나님과 살아 숨쉬는 사람 사이의 관계성이다. (이스라엘의 고통 속에 부르짖음과 하나님의 응답하심)
제3장 창세기 &하나님(나라에로)의 부르심
1. 창조와 세게, 죄와 벌
1)죄(악)은 어디서 왔는가? 죄악의 기원은 모른다. 아담은 하나님께서 주신 저 여자, 하와는 뱀으로부터
2)죄를 허락하신 하나님: 하나님께서는 사랑이 사랑일 수 있기 위해서 자유의지를 사람에게 주셨다. 피조물인 사람은 완벽하지 않아 죄에 노출되었다. 하나님께선 무능하셔서 죄를 주신 것이 아니라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적인 존재로 대우하기 위해 죄를 허용하신 것이다. (필요악)
3)사람이 죄를 지은 후 하나님의 반응: 복음적 이해(하나님의 은혜)
하나님께서 먼저 인간을 찾아오셨다.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또 다른 표현으로 인간에게 가장 큰 자비는 에덴 동산에
제3장 창세기 &하나님(나라에로)의 부르심
1. 창조와 세게, 죄와 벌
1)죄(악)은 어디서 왔는가? 죄악의 기원은 모른다. 아담은 하나님께서 주신 저 여자, 하와는 뱀으로부터
2)죄를 허락하신 하나님: 하나님께서는 사랑이 사랑일 수 있기 위해서 자유의지를 사람에게 주셨다. 피조물인 사람은 완벽하지 않아 죄에 노출되었다. 하나님께선 무능하셔서 죄를 주신 것이 아니라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적인 존재로 대우하기 위해 죄를 허용하신 것이다. (필요악)
3)사람이 죄를 지은 후 하나님의 반응: 복음적 이해(하나님의 은혜)
하나님께서 먼저 인간을 찾아오셨다.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또 다른 표현으로 인간에게 가장 큰 자비는 에덴 동산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