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약속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목회적관점에서 요청되는 구약신학의 의미
현대목회는 다원화된 가치관과 압축된 종교 문화적인 경험속에 놓여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결과 목회적인 방향성과 하나님을 향한 신앙의 올바른 모습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부족할 때가 많다. 구약은 이러한 현대적인 어려움에 대한 귀한 열쇠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다원화된 세계속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그당신 근동의 강대국들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종교, 문화적인 압력속에 살았던 것이다. 이러한 다원화된 가치관과 압축된 종교 문화적인 환경속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유일하신 분을 고백하였고 그분의 선택된 백성으로 자처하였으며 그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써 성경을 삶속에 적용하였고 또한 어려운 현실여건속에서 약속의 성취로써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을 바라 보았던 것이라.
구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을 때 우리들은 분명한 의미에서 현대 우리들에게 필요한 신앙의 자세가 무엇인가를 분명히 알수 있게 될 것이다. 그것은 현대의 목회적인 공황상태에서 구약신약을 해야 되는 분명한 의미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맺는말
구약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고백은 단시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고한 역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것은 한 종교적인 집단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거기에서 파생된 근동의 여러 가지 종교와 기독교에 이르기까지 넓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구약은 이러한 의미에서 기독교적인 교의적 의미에서 접근보다가는 좀더 구약에서 본 구약의 이해를 우리에게 요구하는 지도 모르겠다. 기독교 신학이 구약에 대한 일방적인 이해는 구약을 너무 빈번하게 무시한 것에에 기인한다고 볼수 있다.
구약에 담긴 하나님에 대한 진실한 분명한 이해가 선행될 때 기독교의 신앙은 보다 명료해질 것이다.
참고서적
Ronald E. Clements OLD TESTAMENT THEOLOGY 김찬국역 대한기독교 서회 서울:1997
Brevard S. Childs OLD TESTAMENT THEOLOGY IN A CANONICAL CONTEXT 박문제 역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서울:1996
Kaiser W.C.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최종진역 생명의 말씀사 서울:1982
구약신학
기말 리포트
"내가 본 구약신학의 이해 "
이 름: 이 지 원
학 번: 9532105
소 속: 신대원 3. A.
담 당: 강사문 교수님
제출일: 1997. 12. 17.
목회적관점에서 요청되는 구약신학의 의미
현대목회는 다원화된 가치관과 압축된 종교 문화적인 경험속에 놓여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결과 목회적인 방향성과 하나님을 향한 신앙의 올바른 모습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부족할 때가 많다. 구약은 이러한 현대적인 어려움에 대한 귀한 열쇠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다원화된 세계속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그당신 근동의 강대국들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종교, 문화적인 압력속에 살았던 것이다. 이러한 다원화된 가치관과 압축된 종교 문화적인 환경속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유일하신 분을 고백하였고 그분의 선택된 백성으로 자처하였으며 그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으로써 성경을 삶속에 적용하였고 또한 어려운 현실여건속에서 약속의 성취로써 소망을 가지고 하나님을 바라 보았던 것이라.
구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있을 때 우리들은 분명한 의미에서 현대 우리들에게 필요한 신앙의 자세가 무엇인가를 분명히 알수 있게 될 것이다. 그것은 현대의 목회적인 공황상태에서 구약신약을 해야 되는 분명한 의미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맺는말
구약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고백은 단시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고한 역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것은 한 종교적인 집단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거기에서 파생된 근동의 여러 가지 종교와 기독교에 이르기까지 넓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구약은 이러한 의미에서 기독교적인 교의적 의미에서 접근보다가는 좀더 구약에서 본 구약의 이해를 우리에게 요구하는 지도 모르겠다. 기독교 신학이 구약에 대한 일방적인 이해는 구약을 너무 빈번하게 무시한 것에에 기인한다고 볼수 있다.
구약에 담긴 하나님에 대한 진실한 분명한 이해가 선행될 때 기독교의 신앙은 보다 명료해질 것이다.
참고서적
Ronald E. Clements OLD TESTAMENT THEOLOGY 김찬국역 대한기독교 서회 서울:1997
Brevard S. Childs OLD TESTAMENT THEOLOGY IN A CANONICAL CONTEXT 박문제 역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서울:1996
Kaiser W.C. Toward an Old Testament Theology 최종진역 생명의 말씀사 서울:1982
구약신학
기말 리포트
"내가 본 구약신학의 이해 "
이 름: 이 지 원
학 번: 9532105
소 속: 신대원 3. A.
담 당: 강사문 교수님
제출일: 1997. 12. 17.
추천자료
로마서를 중심으로한 율법 과 은혜 에 대한 연구
기독교 세계관-아더홈즈의 책을 중심으로
기독교-신앙생활의 의미(성서중심)
운동을 중심으로 성경의 양생사상 고찰
[출애굽기][모세][성경][이스라엘]출애굽기에 관한 고찰(출애굽기 개요, 출애굽기 저자와 기...
사회중심적인 역할에 있어서의 성차별 문화
소논문 - 라합에 나타난 언약(여호수아 2장 1-14절을 중심으로)
「요나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보편적 구원이해」 - hw)hy> (adonai/야웨)와 ~yhil{a/(Elohim/...
다윗의 언약의 내용을 쓰고 구약에서 이 언약이 차지하는 신학적 중요성을 논하라. 그 것이 ...
“ 설교가 알고 싶다.” (설교의 정의, 설교의 목적, 설교의 기능, 설교의 역사, 설교의 중요성...
[신약신학] 신약신학의 하나님 중심성 (공관복음, 기독교, 복음서)
[이야기 기독교 강요 요약본] 『예수 따라가며 복음 순종하면』 _ 이상규 저 (모든 부분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