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보편적 구원이해」 - hw)hy> (adonai/야웨)와 ~yhil{a/(Elohim/하나님) hK su(suka/초막)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야웨’hw")hy> (adonai)의 의미
 2. ~yhil{a/ (Elohim/엘로힘)의 의미
 3. hw")hy>와 ~yhil{a/의 문맥배치 및 hK'ªsu 의미와 본문삽입의도
  1) 야웨(יהוה)와 엘로힘(אלהים)의 문맥배치
  2) hK'ªsu(suka/초막)의 의미와 본문 삽입의도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의 개념인 엘로힘을 구별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구별의 선이 무너지는 구절이 있다면 그곳은 바로 요나서 4장 6절이다.
이 구절에서 복합명사로 된 하나님의 이름 “야웨 하나님”(~yhil{a/ u-hw")hy>)이 처음으로 등장하게 된다. 필자는 이 복합명사 “야웨 하나님”(~yhil{a/ u-hw")hy>)을 주목해 보고자 한다.
요나서 저자가 4장 5절까지 하나님을 지칭하는 단어를 요나에게는 ‘야웨’로 선원들과 니느웨 사람들에게는 ‘엘로힘’으로 기록한 것은 철저히 유대인과 이방인들을 구별하는 배타주의적 사고방식을 지적하려 했던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유대인들을 구원하시는 야웨께서는 이방인들에게도 구원의 문을 열어주시는 하나님이심을 말하길 원했고 ‘야웨-하나님’이라는 복합명사를 사용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4장 7절-9절에 이르는 하나님의 명칭을 모두 ‘야웨’로 기록하지 않고 ‘엘로힘’의 하나님으로 바꾸어서 글을 전개함을 통해 하나님은 유대인만의 하나님이 아닌 온 인류의 하나님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2) hK'ªsu(suka/초막)의 의미와 본문 삽입의도
‘초막’이란 뜻의 hK'ªsu(suka/초막)는 사자들이 웅크리고 있는 수풀 은신처를 가리킨다.(욥38:40) 또한 창세기에서는 ‘가축의 우리’로(창37:12), 이사야서와 욥기서등에서는 이 단어를 ‘포도원의 원두막’으로(사1:8; 욥27:18), 그리고 본문에서 요나가 만든 초막은 ‘피신처’나 ‘보호처’를 가리킨다. 하지만 본문의 ‘초막’이란 단어는 무엇보다도 이스라엘 민족의 3대절기 중의 하나인 초막절을 떠올리게 한다. 초막절은 이스라엘민족이 포도수확을 한 다음 지키는 절기로서 모세를 통해서 이스라엘 민족이 출애굽을 한 후에 광야생활시 초막을 짓고 살 때를 기억하여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절기이다. 박철우,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성서주석 28』,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pp.95-96.
(레위기 23:39-43)
초막절은 출애굽을 상징한다. 요나가 초막을 짓기 전에 니느웨성에서 나온 것은 출애굽한 후 초막생활을 했었던 이스라엘 민족을 떠올리게 하며 동시에 악한 애굽이란 곳에서 구원받은 이스라엘 민족을 연상케 한다. 하지만 요나는 여전히 이스라엘 민족만 구원을 받고 이방민족에게는 결코 구원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유대 보수주의자들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저자는 이를 유머스럽게 다루고 있다.
유대인들에게 구원은 야웨신을 숭배하는 선민 이스라엘 사람들의 근본적인 신앙임과 동시에 구약성서를 형성하고 정경으로 결정한 사람들이 신앙했던 하나님의 본질적인 모습이었다고 천사무엘 교수는 설명한다. 천사무엘, “구약성서의 구원관”, 기독교문화연구 3(1998), pp.81-94.
이렇게 볼 때 요나가 적국인 니느웨 민족의 구원을 그토록 싫어했던 것과 오직 구원은 이스라엘 민족에게만 있다는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행동을 조금은 이해 할 수 있다.
Ⅲ. 나가는 말
하나님은 천지를 창조하신 주관자이시다. 그분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출애굽의 은혜를 주신 분이시다. 또한 그들과 언약을 맺어주시는 분이시다. 그분은 이스라엘 민족의 야웨 하나님이시다. 이 야웨 하나님께서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하나님께 나아와 회개하고 구원받기를 원하시며 그들과 영원히 함께하기를 원하시는 분이시다. 하지만 요나는 하나님의 깊은 뜻을 몰랐다. 그래서 그는 니느웨 민족이 구원받는 것이 매우 싫어서 다시스로 도망가려 했다. 하지만 하나님의 주권 속에 결국 그는 하나님의 명령대로 니느웨에 가서 심판을 선포한다. 이 선포된 심판은 요나입장에서 볼 때 꼭 이루어져야만 했다. 왜냐하면 철저한 유대민족주의자이며 배타주의자인 요나는 그 예언이 이루어질 때 거짓선지자의 오명을 벗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나서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인종과 민족에 상관없이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고 그분께로 돌아오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확실한 구원하심과 영원한 주권과 사랑이 임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요나처럼 하나님의 넓은 사랑을 가슴에 품지 못하고 내 생각과 내 뜻대로 모든 일이 잘되길 바라며 하나님께 기도하기도 한다. 어쩌면 나 자신이 또 다른 요나로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요나서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온 우주만물을 다스리시고 주관하시며 모든 사람을 구원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분의 마음을 품고 그 은혜와 사랑을 모두에게 전하는 삶을 살아야 하겠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9.1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