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미혼모 복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미혼모의 실태와 현황

2.미혼모의 특성

3. 미혼모를 위한 사회복지관련 법․제도 실태

4.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

5.청소년의 태도와 또래의 영향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둘째, 10대 미혼모에 대해 맨 먼저 연상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조사의 결과는 전체 청소년의 57.8%가 “앞길이 걱정된다” 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미혼모의 향후 인생이나 결혼생활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고교생보다는 대학생들이 더 걱정하는 태도를 보여 당사자인 여성과 결혼 적령기에 접어든 대학생들이 보다 현실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만약 결혼상대자가 미혼모,혹은 미혼부라는 것을 늦게 안 경우에는 어떨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청소년의 65.1%가 “혼란스러워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라는 반응을 보여서 여전히 미혼모,미혼부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나머지 청소년들은 절대 결혼하지 않는다거나, 결혼하는데 결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라는 응답을 보여 극단적으로 태도가 양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 시대적 상황이 미혼모에 대한 태도에 있어 과도기적 변화기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임애덕,최승희의 연구에서 “나는 미혼모와 결혼할 수 있다”는 진술문에 조사대상의 60.8%가 긍정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과는 상이한 결과이다. 그러나 위의 연구의 조사대상의 2/3가 기혼자임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넷째, 10대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지원에 대해 청소년들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혼모, 미혼부의 모집단인 청소년들에게 관련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 및 교육이 거의 없다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10대 미혼모에 대한 국가의 사회복지 지원에 대해 보편적인 사회복지의 문제로 인식하기보다는 개인적인 잔여적 복지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과 홍보를 통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임애덕,최승희의 연구에서 “미혼모를 위한 국가지원은 필요하다”에 대한 응답자의 31.9%만이 동의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 한편 10대 미혼모에게 가장 필요한 사회복지 차원의 지원에 대해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제거, 취업교육 및 취업알선, 학업의 계속 등으로 나타나 여전히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업의 계속보다는 취업교육 및 취업알선을 더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 것은 현실적으로 10대 미혼모가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학업을 계속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반양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즉, 10대 미혼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는 여전히 부정적이긴 하지만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미혼모를 “우리사회의 보통 사람들과 다름없는 사람” 이라고 여기는 건전한 태도를 동시에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국가가 제공하는 10대 미혼모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지원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고 있으며,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도 개인적인 잔여적 복지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어 교육이나 홍보를 통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현실이다.
따라서 중,고등학교나 대학교육 현장에서 미혼모 예방프로그램의 내용 속에 사회복지적 차원의 지원에 대해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김유경, 조애저, 노층래(2006). 미혼모의 출산·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2007). 「2007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가족부(2008a). 「2008년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가족부(2008b). 「2008년 가족통계현황」가족정책과 통계자료.
여성가족부(2005a). 미혼모부자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2005b). 「2004 여성백서」
임애덕·최승희(2006).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연구제 10집.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조선경(2005). 미혼모 현황 및 욕구조사.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브리핑 자료.
최양자, 귀분(2004). “미혼모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0권 4호, pp.331-34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pecial issue ; Theories of cognitive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Ajzen, I.,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ogue, A., & Steinberg, L. (1995). Homophily of internalized distress in adolescent peer groups. Developmental Psychology, 31(6), 897-906.
Jeong, E. H. (2002). problem of and preventive measures for unmarried mothers in Korea, Unpublished master thesis, Myongji University, Korea.
Martin, J. A. Hamilton, B. E., Ventura, S. J., Manacher, F., & Park, M. M. (2002). Birth. National Vital Statistic Reports, 50(5)
Mounts, N. S., & Steinberg, L. (1995). An ecological analysis of peer influence on adolescent grade point average and drug use.
Stefanie, M.(2006). Measuring Teenage Pregnancy norms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06 Annual Meeting, Conference pape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1.2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