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3] 공동모금의 주요 기능과 전략
[4]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5]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나눔현황
[6]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프로그램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3] 공동모금의 주요 기능과 전략
[4]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5]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나눔현황
[6]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프로그램
본문내용
사회복지공동모금회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
〔공동모금이란?〕
세계 최초로 모금 캠페인 : 1873년 영국 리버풀시
기금모금 캠페인 기틀 : 미국
용어 : Community Chest, United Way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2조 : 공동모금이란 사회복지사업의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국 또는 지역을 단위로 기부금품을 모집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도권 내에서 기부금품을 널리 모집하는
것을 말함.
가. “기부금품모집규제법”(1951년) : 모금활동 위축
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정(1999.3.31) :
모금활동 제도화, 활동경비 2% => 10%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1) 공동모금의 필요성〕
가. 모금하는 측(Fund-raiser) : 최소한의 노력과 비용으로 모금
기부자(Donor) : 불필요한 모금 중복 회피, 효과적 사용 : 부족한 재원 확보
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나누는 삶 증진 :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다. 복지재원 분배의 기회,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 향상 도움
라. 국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도모, 이웃사랑 : 상부상조 정신
마. 정부 & 민간의 동반자 관계 형성 : 상호보완적 역할 수행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2) 미국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태동 : 민간자선단체 경쟁, 이중구호, 누락등 비체계적인 구호 => (1880년대)
자선조직협회(C,O,S), 공동모금회 결성 : 자선사업조직화, 민간 자발적 노력
가. 사회복지기관 공동 모금 형태 : 1888년 덴버시 15개 기관, 공동모금활동
나.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 : 1972년 세인트루이스, 디트로이트등5개 도시 채택
다. 기부자 주도로 지역공동모금제도 실시 : 기업인, 자선사업가 중심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인, 종업원, 주민들에게 모금캠페인을 벌이고
기금을 사회복지기관에게 배분하는 시스템을 개발, 미국전역 확산
=> 현대적의미의 공동모금 모형 출발점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
〔공동모금이란?〕
세계 최초로 모금 캠페인 : 1873년 영국 리버풀시
기금모금 캠페인 기틀 : 미국
용어 : Community Chest, United Way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2조 : 공동모금이란 사회복지사업의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전국 또는 지역을 단위로 기부금품을 모집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도권 내에서 기부금품을 널리 모집하는
것을 말함.
가. “기부금품모집규제법”(1951년) : 모금활동 위축
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정(1999.3.31) :
모금활동 제도화, 활동경비 2% => 10%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1) 공동모금의 필요성〕
가. 모금하는 측(Fund-raiser) : 최소한의 노력과 비용으로 모금
기부자(Donor) : 불필요한 모금 중복 회피, 효과적 사용 : 부족한 재원 확보
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나누는 삶 증진 :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다. 복지재원 분배의 기회,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 향상 도움
라. 국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 도모, 이웃사랑 : 상부상조 정신
마. 정부 & 민간의 동반자 관계 형성 : 상호보완적 역할 수행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2) 미국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태동 : 민간자선단체 경쟁, 이중구호, 누락등 비체계적인 구호 => (1880년대)
자선조직협회(C,O,S), 공동모금회 결성 : 자선사업조직화, 민간 자발적 노력
가. 사회복지기관 공동 모금 형태 : 1888년 덴버시 15개 기관, 공동모금활동
나. 사회복지협의회 공동모금 : 1972년 세인트루이스, 디트로이트등5개 도시 채택
다. 기부자 주도로 지역공동모금제도 실시 : 기업인, 자선사업가 중심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인, 종업원, 주민들에게 모금캠페인을 벌이고
기금을 사회복지기관에게 배분하는 시스템을 개발, 미국전역 확산
=> 현대적의미의 공동모금 모형 출발점
추천자료
사회복지서비스법
사회복지관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전략
사회복지협의회
모금활동의 이념과 현황 및 사회복지기관의 모금활동, 이념과 현황 문제점, 모금활동과 모금 ...
[지역화폐운동] 지역사회복지론 - 지역화폐운동사례
사회복지 기관방문 보고서
사회복지협의회
민간아동복지와 지역아동센터 : We Start(위 스타트)와 Dream Start(드림스타트) 중심으로
사회복지협의회에 대하여
지역사회와 교회사회사업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조사의 활용방안
[논문요약분석보고서]정신건강 지역사회지지체계 모델의 적용과 개발 - 춘천 지역사회건강 네...
학교사회사업가의 업무내용 및 역할이 학교교육과 어떤 연관성이 있으며 또한 학교교육에 어...
사회복지협의회 동촌종합사회복지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