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예절과 의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계화시대

2. 세계인으로서 기본자질

3. 국제매너

4. 국제행사의전

5. 서열

본문내용

결정
㈔ 남녀동수 초청(동수가 안될때 남자를 많이 초청)
㈕ 여성우대(끝좌석 배치 회피,단 미혼녀,직책보유 여성예외)
㈖ 남녀 교호적 배치
㈗ 외국인 우대(내국인과 동서열시)
㈘ 부부별도 배치(나란히 또는 마주보지 않게)
㈙ 다수 테이블 사용시 테이블마다 직업별로 골고루 배치
㈚ Free Stating (대규모 연회시,서열구분 모호시 헤드테이블만 지정)
⑵ 좌석배치 실례
<예 1> : Host와 Hostess가 테이블 양쪽 끝에 앉는 경우 (영미계)
Hostess

1 ○
3 ●
5 ○
6 ●
4 ○
2 ●
○ 2
● 4
○ 6
● 5
○ 3
● 1

Host
<예 2> : Host와 Hostess가 테이블 중앙에 마주보고 앉는 경우(대륙계)
8 ○
6 ●
4 ○
2 ●
Host ○
(주빈부인)1●
3 ○
5 ●
7 ○
○ 5
● 7 <조정후의 좌석 표시>
● 3
○ 1 (주빈)
● Hostess
○ 2
● 4
● 8 <조정후의 좌석 표시>
○ 6
<예 3> : 원탁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부드러운 분위기 조성)
Hostess

주빈 ○ ○ 2
3 ● ● 4
4 ○ ○ 3
2 ● ● 주빈부인

Host
<예 4 > : 원탁테이블만을 사용하는 경우
G/H○ ○Host
1 ○ ○ 2
3 ○ ○ 4
5○ ○ 6
7○ ○8
1번
Table Host◎ ○
○ ◎ 2번
Table Host
< 예 5 > 대규모 연회테이블 좌석배치
5 3 1 G/H H 2 4 6
○ ○ ○ ○ ○ ○ ○ ○
2번
Table
Host◎ ○
○ 1번 ◎ ○ ◎
Table Host 3번 Table
Host
◎ ○
○ ◎
(3) 국제회의
ㅇ 2개국간 회의
수석대표
○ ○ ○ ◎ ○ ○ ○
○ ○ ○ ◎ ○ ○ ○
수석대표
ㅇ 다수국간 회의(알파벳 순서)



5. 서열
가. 서열의 중요성
⑴ 개념
㈎ 사람의 지위, 직위, 연령 등 기준에 따라 정한 순서
㈏ 가정, 사회, 국제사회 등에서 질서 유지의 근간
⑵ 중요성
㈎ 의전의 가장 중요한 원칙(One of the cardinal rule in protocol)
㈏ 의전서열의 무시-개인에 대한 결례 및 그가 대표하는 기관, 국가에 대한 모독으로 간주
ㅇ 국가간의 긴장관계 초래 경우
⑶ 목적
㈎ 각종행사에서 참석자들이 서로 유익한 교제를 가질 수 있도록 지위에 상응하는 예우 필요
㈏ 서열준수로 서열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복잡한 상황 해결, 행사의 원만한 진행유도
나. 서열 기준
⑴ 공식서열
㈎ 법령으로 정한 국가 주요인사에 대한 서열
ㅇ 귀족(외국), 공무원, 군인 등 신분 및 지위에 따른 서열
㈏ 우리나라 경우 명문 규정 없으나 서열관행 확립
ㅇ 행사 성격에 따라 조정 필요
⑵ 관례상 서열
㈎ 과거행사 관행 존중
㈏ 참석자 개인적, 사회적 지위(전직 포함), 연령기준
㈐ 행사와의 관계, 주관 부서 고려
㈑ 지위가 비슷한 경우 연령, 성별(여자가 남자보다 우선)고려
㈒ 직책 없는 여성 경우 기혼, 미망인, 이혼녀, 미혼순위 기혼여성은 남편의 직책 서열 따름
㈓ 2개 이상 직위 보유자 상위직 기준, 행사(자격에 따라 관련직위 적용)
⑶ 서열조성
㈎ 행사성격에 따라 원만한 진행을 위하여 서열조정가능, 단 해당자에게 충분한 사전 설명 및 양해 필요
ㅇ 국내행사는 국내관행, 국제행사시 국제관행 우선
ㅇ 내외국인 초청행사시 외국인 우대
㈏ 고의성 없는 사소한 서열의 착오는 양해
다. 우리나라의 서열
⑴ 공식서열
헌법, 정부조직법, 국회법, 법원조직법 등 법령이 정한 직위순서
⑵ 관례상 서열
㈎ 정부수립후 시행해온 각종 주요국가행사의 선례와 관행
㈏ 기 준
ㅇ 직위에 의한 서열기준
- 직급(계급)
- 헌법, 정부조직법상의 기관순위
- 공적직위가 없는 인사
전직,연령,행사와 관련정도
⑶ 서열의 실제
㈎ 중앙부서
대통령, 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소장, 국무총리, 국회부의장, 감사원장, 부총리겸 재경부장관, 부총리겸 교육부장관,부총리겸 과학기술부장관, 통일부장관, 외교통상부장관, 자국특명전권대사, 국무위원(법무, 국방, 행정자치, 문화관광, 농림, 산업자원, 정보통신, 보건복지, 환경, 노동, 여성 건설교통, 해양수산) 국회상임위원장, 대법관, 장관급, 국회의원, 검찰총장, 합참의장, 3군총장, 차관, 차관급
㈏ 지방자치단체
명확한 기준 없음
서울특별시장(장관급), 기타 광역자치단체장(차관급: 선출직 감안 장차관 중간 예우)
교육감(광역시도) (차관급)
의회의장(해당 자치단체장 예우 기준)
㈐ 서열조정
대통령 대신 참석 각료는 외국대사에 우선
외빈 방한시 방문국 주재 우리대사는 아국주재 방문국 대사 다음 서열
우리 주최행사시 동급 외국인사 우대
우리나라 의전서열
국가 관행서열
국방부 관행서열
ㅇ대통령
ㅇ국회의장
ㅇ대법원장/헌법재판소장
ㅇ국무총리
ㅇ중앙선거관리위원장
ㅇ국회부의장
ㅇ감사원장
ㅇ국가정보원장
ㅇ부총리(재정경제/교육인적자원/과학기술)
ㅇ국무위원(통일/외교통상/법무/국방/행자
/문화관광/농림/산자/정통/보건복지/
환경/노동/여성/건교/해양수산)
ㅇ국회상임위원장
ㅇ대법원판사
ㅇ장관급(국회의원/검찰총장/합참의장/참모총장)
ㅇ차관급(차관, 3성장군)
ㅇ국방부장관
ㅇ합동참모의장
ㅇ연합사령관
ㅇ참모총장(육군/해군/공군 순)
ㅇ4성장군(진급일자순)
ㅇ국방부차관
ㅇ병무청장
ㅇ해병대사령관
ㅇ각군 참모차장(육/해/공군 순)
ㅇ3성장군(진급일자순)
ㅇ차관보(3성 예우)
ㅇ국방과학연구소장/국방연구원장
(임용일자순)
ㅇ2성장군(진급일자순)
ㅇ1성장군(진급일자순)
ㅇ대령급 장교
* 예비역 의전서열
예비역 장성들의 서열은 예편 당시의 계급과 진급일자 및 군번에 따르며, 현역 장성과 예비역 장성의 서열은 동일 계급의 경우 현역이 앞선다.
다. 보행, 자동차, 승강기 등에서의 서열
1) 보행시의 순위

(걷는 방향)
② ①
③ ① ②

③ ②
⑤ ④
2인
3인
5인
2) 자동차 좌석의 순위
가) 일반 승용차
ㅇ 운전기사가 있는 경우




운전






운전

ㅇ 주인이 손수 운전할 경우




주인






주인

나) 짚차




운전

다) 사열차량


지휘자

운전

키워드

예절,   의전,   국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12.04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