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적유통관리] 물적유통의 본질과 물적유통관리(시스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물적유통관리

Ⅰ. 물적유통의 본질

Ⅱ. 물적유통관리(물적유통시스템)

1. 주문처리
2. 보관
3. 재고
4. 운송

본문내용

당 주문처리비용은 적어지며, 평균재고 수준이 높을수록 재고유지비용은 높아진다. 재고유지비용에는 보관비용, 자본비용, 세금 및 보험비용, 감가상각비와 진부화비용 등이 포함된다.
- 최적주문량의 결정 -
따라서 적정주문량은 주문량에 따라 주문처리 비용과 재고유지비용의 합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위의 그림은 주문량에 반비례하는 단위당 주문처리비용곡선과 주문량에 비례하는 단위당 재고유지비용 곡선의 합이 단위당총비용곡선이 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기업의 최적주문량(Q*)은 단위당총비용이 최저가 되는 주문량임을 알 수 있다.
4. 운송
마케팅관리자는 상품의 물적유통을 위하여 어떠한 운송수단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운송수단의 선택은 제품의 가격이나 배달의 신속성, 제품도착 후의 상태 등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본적인 운송수단으로는 철도, 트럭, 해상, 항공, 파이프라인 등 5가지가 있다. 각 운송수단은 저마다 장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기업은 운송수단을 결정함에 있어서 배달 속도(발송지에서 목적지까지), 운송비용, 신뢰도(예정시간 내 배달능력), 운행 빈도, 지리적 범위(이용가능성), 신축성(여러 품종을 취급할 수 있는 능력)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아래의 표는 각 운송수단의 상대적 특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각 운송수단의 상대적 특성 -
예컨대, 수송비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면 해상운송이나 파이프라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이고, 목적지까지의 신속한 수송을 원한다면 항공편이나 트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될 것이다.
또한, 운송수단의 결정은 운송화물의 종류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 전자부품이나 의약품과 같은 고가품이나 부패성이 높은 제품은 항공운송이 가장 적합하며, 유류나 천연가스 제품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또 광물이나 곡물과 같이 부피가 크고, 값이 싸며 부패성이 적은 제품의 운송에는 해상운송이 효과적일 것이다. 트럭은 거리의 장 단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상품을 목적지까지 운송(door-to-door)할 수 있으며, 단거리 수송이나 도시 내 수송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송수단이다. 철도는 석탄이나 광물, 농산물, 목재와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을 비교적 염가로 장거리 수송하는데 매우 경제적인 운송수단이다.
최근에는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Door-to-Door' 운송을 지향하고 개별 수송수단의 장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복합운송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트럭과 철도를 결합한 피기백(piggyback), 선박과 트럭을 결합한 피시백(fishyback), 그리고, 항공기와 트럭을 결합한 버디백 등의 방식이다. 이 밖에도 국내 또는 국제적 규모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송대행사(freight forwarders)를 활용하기도 한다. 운송대행사는 대개 소량의 운송화물을 모아서 전문적으로 대량운송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2.07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8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