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서 론.................................................1
Ⅱ. 본 론.................................................4
제1절 사기와 동기부여의 정의..............................4
1. 사기(사기의 개념은 매우 다의적).......................4
(1) 사기의 정의.........................................4
(2) 사기와 생산성의 관계................................4
2. 동기부여..............................................5
(1) 동기부여의 정의(동기부여의 개념도 다의적)...........5
(2) 동기부여의 중요성...................................5
제2절 현재 시행중인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해서............5
1. 선택적 복지의 의미와 목적.............................6
2. 선택적 복지제도의 유형................................7
(1) 급여차감플랜(salary reduction plan).................7
(2) 모듈형(Modular Plan or Prepackaged Flex)............7
(3) 선택항목추가형(Core plus Option)....................9
(4) 혼합선택형(Mix and Match)..........................10
(5) 유연소비계정형(Flexible Spending Account)..........11
3. 선택적 복지제도의 운영방법...........................12
(1) 적용대상...........................................12
(2) 적용범위...........................................12
(3) 복지점수...........................................13
(4) 복지항목...........................................13
(5) 공무원후생복지심의위원회...........................16
(6) 선택적 복지제도의 장점.............................16
(7) 선택적 복지제도의 단점.............................19
제3절 기존의 공무원 복지와 한국전력 복지의 비교..........20
1. 기존의 공무원 복지제도 :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전......20
(1) 기존의 공무원 후생복지 관련 정책...................20
(2) 기존 공무원 후생복지의 문제점......................21
2. 공기업의 선택적 후생복지 사례분석 : 한국전력.........23
(1)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전의 한전 복지제도.............24
(2) 한국전력의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간 고려된 기본사항..25
(3) 한국전력의『신기업복지 2007』......................26
제4절 선택적 복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8
(1) 선택적 복지제도의 문제점...........................28
(2) 선택적 복지제도의 개선방안.........................29
Ⅲ. 결 론................................................31
◎ 참고문헌...............................................34
Ⅱ. 본 론.................................................4
제1절 사기와 동기부여의 정의..............................4
1. 사기(사기의 개념은 매우 다의적).......................4
(1) 사기의 정의.........................................4
(2) 사기와 생산성의 관계................................4
2. 동기부여..............................................5
(1) 동기부여의 정의(동기부여의 개념도 다의적)...........5
(2) 동기부여의 중요성...................................5
제2절 현재 시행중인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해서............5
1. 선택적 복지의 의미와 목적.............................6
2. 선택적 복지제도의 유형................................7
(1) 급여차감플랜(salary reduction plan).................7
(2) 모듈형(Modular Plan or Prepackaged Flex)............7
(3) 선택항목추가형(Core plus Option)....................9
(4) 혼합선택형(Mix and Match)..........................10
(5) 유연소비계정형(Flexible Spending Account)..........11
3. 선택적 복지제도의 운영방법...........................12
(1) 적용대상...........................................12
(2) 적용범위...........................................12
(3) 복지점수...........................................13
(4) 복지항목...........................................13
(5) 공무원후생복지심의위원회...........................16
(6) 선택적 복지제도의 장점.............................16
(7) 선택적 복지제도의 단점.............................19
제3절 기존의 공무원 복지와 한국전력 복지의 비교..........20
1. 기존의 공무원 복지제도 :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전......20
(1) 기존의 공무원 후생복지 관련 정책...................20
(2) 기존 공무원 후생복지의 문제점......................21
2. 공기업의 선택적 후생복지 사례분석 : 한국전력.........23
(1)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전의 한전 복지제도.............24
(2) 한국전력의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간 고려된 기본사항..25
(3) 한국전력의『신기업복지 2007』......................26
제4절 선택적 복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28
(1) 선택적 복지제도의 문제점...........................28
(2) 선택적 복지제도의 개선방안.........................29
Ⅲ. 결 론................................................31
◎ 참고문헌...............................................34
본문내용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선택적 복지제도'에 대하여 탐색해 보았다. 선택적 복지제도는 공무원의 사기와 동기부여를 위한 기존의 복지제도에서 몇몇 단점을 보완한 제도이다. 따라서 선택적 후생복지제도는 공무원의 사기와 동기부여를 위해 기여하였다고 본다. 그리고 모든 것이 완벽할 수는 없기 때문에 선택적 복지제도의 아쉬운 점으로 제도적 단점에 대한 사항을 확인하면서 그에 대한 개선방안도 고안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한 조사 내용들이 정부의 생산성혁신을 위한 공무원의 사기와 동기부여 향상에 관련한 제도적 밑거름이 되어 우리나라 생산성혁신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참 고 문 헌
권용수, 2004,「선택적 복지제도가 공무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Effects of the Cafeteria Plan on Public Employee Organizational Behavior), 한국행정학회.
유규창, 2004,「복리후생의 선택이 복리후생만족, 임금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The Impact of Flexibility in Benefits on Benefits Satisfaction Pa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한국 인사관리학회.
우만택, 2003,「공공 부문에의 선택적 후생복지제도 도입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의명, 2002,「선택적 기업복지제도의 필요성과 적용성에 관한 고찰」(An Examination of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Cafeteria Plan in Korea),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박민영 외, 2002,「우리나라 기업복지의 실태와 개선방향」, 산업복지학과 하계 세미나.
김강식, 2002,「기업복지제도의 진단 프로세스의 이해」, 법인 컨설턴트과정 연수, 교보생명.
김정한, 2002,「선택적 기업복지제도」, 법인 컨설턴트과정 연수, 교보생명.
전학식, 2001,「공무원 사기 진작에 관한 연구」, 배제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행정학과.
고시병, 2001,「공기업의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에 관한 연구 : 한국전력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맞춤형 복지제도 업무처리 지침」, 중앙인사위원회 예규 제76호(2005. 12. 8)제정.
「공무원후생복지심의위원회 운영규정」, 제정 2005.8.25 중앙인사위원회훈령 제60호, 제3조1항.
최상현,「흔들리는 공직사회」, 헤럴드 경제 사회, 2007.11.23.
이나연 이지연,「한국전력, 공익성과 수익성 피할 수 없는 줄타기」, 동아뉴스, 2007.8.25.
송남석 기자,「1천대 기업 및 공기업 24%,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 EBN 산업뉴스, 2007.5.29.
「재무구조 탄탄한 '알짜 공기업'」, 이코노미스트, 2007.2.12.
대구일보(오피니언-달구벌칼럼), 2006.4.30.
김진순,「선택적 복지제도, 무얼 선택할까?」, 데이터뉴스, 2005.4.18.
KPS 전자사보 2004년 1월호 참고(http://www.gwp.or.kr 제도안내), 제도의 운영방식.
Barber, A.E., Dunhan, R.BI & Forsimo, F.A.(1992). "The Impact of Flexible Benefits on Employee Satisfaction A Field Study"., vol 45.
Buon, T and B. Compton(1990). "The Development of Alcohol and Other Drug Program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Healthy Safety, 6(4). 265-277.
Feldman, Stuart(1992). Today's EAPs Make the Grade. HR Magazine May, 10-12.
Googins, B. and J.Godfrey(1987). Occupational Social Work. Englewood Cliff : Prentice Hall.
Kim, Uimyong.,(1986). A Critical Examination of Occupational Welfare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 University of Toronto
Lawler, E. E.(1981). Pay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Reading MA : Addison-Weslet.
McCaffery, Robert M.(1992). Employee Benefit Programs : A Total Compensation Perspective. PWS-Kent
Nelson, D., and Campbell. (1972). "Taylorism versus Welfare Work in American Industry". Business History Review, vol. x1v1, NO.1.
Ozawa,M(1980).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s in Industry : Why and How. Social Work, vol.25. 464-470.
Pearson.H.S.(1935)., vol.xv, 395.
Sirdmit, B., and Bargal. D.(1982). "Occupational Welfa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 : Some theoretical Notes". in Social Work, vol.6, No.4.
Sonnentuhl, William J. and Harrison M. Trice.(1990).. Boston : HR Press
U.S.Chamber of Commerce(1986).
본 연구를 통한 조사 내용들이 정부의 생산성혁신을 위한 공무원의 사기와 동기부여 향상에 관련한 제도적 밑거름이 되어 우리나라 생산성혁신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참 고 문 헌
권용수, 2004,「선택적 복지제도가 공무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Effects of the Cafeteria Plan on Public Employee Organizational Behavior), 한국행정학회.
유규창, 2004,「복리후생의 선택이 복리후생만족, 임금만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The Impact of Flexibility in Benefits on Benefits Satisfaction Pa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한국 인사관리학회.
우만택, 2003,「공공 부문에의 선택적 후생복지제도 도입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의명, 2002,「선택적 기업복지제도의 필요성과 적용성에 관한 고찰」(An Examination of Necessity and Applicability of Cafeteria Plan in Korea),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박민영 외, 2002,「우리나라 기업복지의 실태와 개선방향」, 산업복지학과 하계 세미나.
김강식, 2002,「기업복지제도의 진단 프로세스의 이해」, 법인 컨설턴트과정 연수, 교보생명.
김정한, 2002,「선택적 기업복지제도」, 법인 컨설턴트과정 연수, 교보생명.
전학식, 2001,「공무원 사기 진작에 관한 연구」, 배제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행정학과.
고시병, 2001,「공기업의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에 관한 연구 : 한국전력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맞춤형 복지제도 업무처리 지침」, 중앙인사위원회 예규 제76호(2005. 12. 8)제정.
「공무원후생복지심의위원회 운영규정」, 제정 2005.8.25 중앙인사위원회훈령 제60호, 제3조1항.
최상현,「흔들리는 공직사회」, 헤럴드 경제 사회, 2007.11.23.
이나연 이지연,「한국전력, 공익성과 수익성 피할 수 없는 줄타기」, 동아뉴스, 2007.8.25.
송남석 기자,「1천대 기업 및 공기업 24%, '선택적 복지제도' 도입」, EBN 산업뉴스, 2007.5.29.
「재무구조 탄탄한 '알짜 공기업'」, 이코노미스트, 2007.2.12.
대구일보(오피니언-달구벌칼럼), 2006.4.30.
김진순,「선택적 복지제도, 무얼 선택할까?」, 데이터뉴스, 2005.4.18.
KPS 전자사보 2004년 1월호 참고(http://www.gwp.or.kr 제도안내), 제도의 운영방식.
Barber, A.E., Dunhan, R.BI & Forsimo, F.A.(1992). "The Impact of Flexible Benefits on Employee Satisfaction A Field Study".
Buon, T and B. Compton(1990). "The Development of Alcohol and Other Drug Program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Healthy Safety, 6(4). 265-277.
Feldman, Stuart(1992). Today's EAPs Make the Grade. HR Magazine May, 10-12.
Googins, B. and J.Godfrey(1987). Occupational Social Work. Englewood Cliff : Prentice Hall.
Kim, Uimyong.,(1986). A Critical Examination of Occupational Welfare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 University of Toronto
Lawler, E. E.(1981). Pay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Reading MA : Addison-Weslet.
McCaffery, Robert M.(1992). Employee Benefit Programs : A Total Compensation Perspective. PWS-Kent
Nelson, D., and Campbell. (1972). "Taylorism versus Welfare Work in American Industry". Business History Review, vol. x1v1, NO.1.
Ozawa,M(1980).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s in Industry : Why and How. Social Work, vol.25. 464-470.
Pearson.H.S.(1935).
Sirdmit, B., and Bargal. D.(1982). "Occupational Welfa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 : Some theoretical Notes".
Sonnentuhl, William J. and Harrison M. Trice.(1990).
U.S.Chamber of Commerce(1986).
추천자료
존 롤스의 사회정의론을 읽고
연봉제의 도입, 개념, 사례, 장점과 문제점에 관한 것
MBO (목표관리제도)
목표관리 MBO에 관하여...
산업 및 조직 심리학 교재들의 목차로 파악한 경영심리학의 변화
순찰경찰문화와 관리경찰문화
인간관계와 갈등
호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 문제점, 특색, 실제 사례 분석, 효과, 문제점, 개선방안 ...
임금관련 이론 및 삼성SDI의 현 임금 제도의 개선
[인간관계][인간관계 다양성][인생의 단계][인간관계 훈련][건전한 인간관계][대인관계][상호...
의사소통론
인적자원관리
사회복지행정의 인사관리
[정부의 인사관리] 인사근무 (人事勤務) - 근무성적평정과 교육훈련, 보수관리와 연금관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