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원인
# 증상
-유아기 아토피 피부염
-소아기 아토피 피부염
-사춘기 및 성인아토피 피부염
-소양성 피부병 (搔痒性 皮膚病)
# 치료
II. 아토피의 한의학적 치료
#한의학과 양의학의 차이
#요즘 아토피 환자가 많은 이유
#돼지는 왜 피부병이 없을까?
#독소란 무엇인가?
# 복진을 통한 아토피의 한방치료
#원인
# 증상
-유아기 아토피 피부염
-소아기 아토피 피부염
-사춘기 및 성인아토피 피부염
-소양성 피부병 (搔痒性 皮膚病)
# 치료
II. 아토피의 한의학적 치료
#한의학과 양의학의 차이
#요즘 아토피 환자가 많은 이유
#돼지는 왜 피부병이 없을까?
#독소란 무엇인가?
# 복진을 통한 아토피의 한방치료
본문내용
애 질환이다.
(간독소 배설장애 60%/ 장독소 배설장애 20%/ 피부독소 배설장애 10%)
#돼지는 왜 피부병이 없을까?
동물은 땀구멍이 없어서 피부쪽으로 독소를 내보내지 못한다. 하지만 대신 똥을 아주 많이 싸서 몸안의 독소를 내보낸다. 인간에 비해 엄청난 많은 똥을 싸는 덕분에 건강하다. 그래서 변비도 없고 피부병도 없다. 돼지가 그 더러운 돼지우리에 살면서 피부병이 없는 이유이다. 돼지는 똥을 아주 매우 엄청 많이 싼다. 즉 배설장애가 없다. 그래서 땀구멍이 없는데도 피부문제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인공사료, 운동부족 환경오염등 등 현대사회의 문제점에 노출되면서 동물들도 비만과 피부병 등 현대병을 앓고 있다.
#독소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모든 병의 근원은 독으로 보고 있다.
무 언가의 요인에 대해 내 몸이 반응하여 만들어낸 것으로 건강을 해치고 있으며 외부에서 감지가 가능한 것을 일컬어 모두 독이라고 부른다. 우리 몸은 늘 손상을 받지만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은 손상 받은 세포와 조직을 잘 복구해나가고 있고 병에 걸리는 사람은 손상 받은 세포와 조직이 잘 복구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의사는 환자 스스로가 해결하지 못하는 독을 찾아내어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독소를 가장 정확하게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이 복부이다.
외부에서 주어진 음식, 스트레스, 환경 등의 요인에 잘 대처하지 못했을 때 가장 가까운 복부를 통해 이상반응이 나타난다.
위장이 안좋은 사람은 명치끝이 단단해져 있고 (심하비경) -인삼 홍삼
심장이 안좋은 사람은 흉부의 붉은 특이 반응이 존재한다.(심중번계) - 황련
생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아래쪽 복부가 도톰하게 올라와 있고(소복종비) -계지
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오른쪽 늑골 부위에 독소반응을 나타낸다. (흉협고만) -시호 , 청국장
-눌러보면 아프다/ 뭉쳐있다/ 딱딱하다/ 긁으면 줄이 생기고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독이 병의 근원이기 때문에 적절한 약물을 투여해 독이 완전히 없어지면 똑같은 자극에 노출되더라도 병이 다시 생겨나지 않게 된다.
독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면 몸은 원래의 편안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면역력 증강을 애써 외치지 않더라도 몸이 편해지면 자연스레 멱역력 증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 복진을 통한 아토피의 한방치료
Type1
1. 가장 중증형태의 아토피 유형으로 주로 전신적인 아토피 증세를 나타내고 섣부른 아토피 치료를 시행하면 리바운드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 다.
2. 심하부위에 돌처럼 단단한 것이 만져지고 이것때문에 어깨가 돌처럼 단단 하게 굳어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가려움증과 달아오름때문에 잠을 좀처럼 이루지 못한다.
3. 아랫배역시 윗배와 마찬가지로 돌처럼 단단한 경우가 많다. 또한 소화가 안된 음식물이 대변속에서 종종 섞여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소변색이 자주 노랗게 나오고 손바닥 눈흰자위가 노랗게 되는 경우가 많다
Type2
1. 감기 이후나 예방접종후에 아토피가 발생하는 경우로 평소 식욕부진이
심하고 편도가 자주 부어오르며 대변상태가 원활치 못하다
2. 명치 아래가 돌처럼 딱딱하고 이것때문에 배가 고픔을 느끼지 못해 밥을 잘 안 먹게 된 다
3. 양 늑골쪽으로 손을 밀어 넣으면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것때문에 편도가
자주 붓고 입술 또한 자주 부르트게 된다.
4. 대체로 가슴으로 숨을 많이 쉬고 복식호흡을 잘 하지 못한다
5. 때때로 복부에서 소리가 나고 아침에 칫솔질을 할 때 혀를 닦을 때면
헛구역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6. 가끔 아무런 이유없이 배가 아프다고 이야기 하거나 장염에 잘 걸려 설사를 하는 경우가 잦다
(간독소 배설장애 60%/ 장독소 배설장애 20%/ 피부독소 배설장애 10%)
#돼지는 왜 피부병이 없을까?
동물은 땀구멍이 없어서 피부쪽으로 독소를 내보내지 못한다. 하지만 대신 똥을 아주 많이 싸서 몸안의 독소를 내보낸다. 인간에 비해 엄청난 많은 똥을 싸는 덕분에 건강하다. 그래서 변비도 없고 피부병도 없다. 돼지가 그 더러운 돼지우리에 살면서 피부병이 없는 이유이다. 돼지는 똥을 아주 매우 엄청 많이 싼다. 즉 배설장애가 없다. 그래서 땀구멍이 없는데도 피부문제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인공사료, 운동부족 환경오염등 등 현대사회의 문제점에 노출되면서 동물들도 비만과 피부병 등 현대병을 앓고 있다.
#독소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모든 병의 근원은 독으로 보고 있다.
무 언가의 요인에 대해 내 몸이 반응하여 만들어낸 것으로 건강을 해치고 있으며 외부에서 감지가 가능한 것을 일컬어 모두 독이라고 부른다. 우리 몸은 늘 손상을 받지만 병에 걸리지 않는 사람은 손상 받은 세포와 조직을 잘 복구해나가고 있고 병에 걸리는 사람은 손상 받은 세포와 조직이 잘 복구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의사는 환자 스스로가 해결하지 못하는 독을 찾아내어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독소를 가장 정확하게 잘 관찰할 수 있는 곳이 복부이다.
외부에서 주어진 음식, 스트레스, 환경 등의 요인에 잘 대처하지 못했을 때 가장 가까운 복부를 통해 이상반응이 나타난다.
위장이 안좋은 사람은 명치끝이 단단해져 있고 (심하비경) -인삼 홍삼
심장이 안좋은 사람은 흉부의 붉은 특이 반응이 존재한다.(심중번계) - 황련
생리에 문제가 있는 사람은 아래쪽 복부가 도톰하게 올라와 있고(소복종비) -계지
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오른쪽 늑골 부위에 독소반응을 나타낸다. (흉협고만) -시호 , 청국장
-눌러보면 아프다/ 뭉쳐있다/ 딱딱하다/ 긁으면 줄이 생기고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독이 병의 근원이기 때문에 적절한 약물을 투여해 독이 완전히 없어지면 똑같은 자극에 노출되더라도 병이 다시 생겨나지 않게 된다.
독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면 몸은 원래의 편안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즉 면역력 증강을 애써 외치지 않더라도 몸이 편해지면 자연스레 멱역력 증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 복진을 통한 아토피의 한방치료
Type1
1. 가장 중증형태의 아토피 유형으로 주로 전신적인 아토피 증세를 나타내고 섣부른 아토피 치료를 시행하면 리바운드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 다.
2. 심하부위에 돌처럼 단단한 것이 만져지고 이것때문에 어깨가 돌처럼 단단 하게 굳어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가려움증과 달아오름때문에 잠을 좀처럼 이루지 못한다.
3. 아랫배역시 윗배와 마찬가지로 돌처럼 단단한 경우가 많다. 또한 소화가 안된 음식물이 대변속에서 종종 섞여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소변색이 자주 노랗게 나오고 손바닥 눈흰자위가 노랗게 되는 경우가 많다
Type2
1. 감기 이후나 예방접종후에 아토피가 발생하는 경우로 평소 식욕부진이
심하고 편도가 자주 부어오르며 대변상태가 원활치 못하다
2. 명치 아래가 돌처럼 딱딱하고 이것때문에 배가 고픔을 느끼지 못해 밥을 잘 안 먹게 된 다
3. 양 늑골쪽으로 손을 밀어 넣으면 통증을 호소하는데 이것때문에 편도가
자주 붓고 입술 또한 자주 부르트게 된다.
4. 대체로 가슴으로 숨을 많이 쉬고 복식호흡을 잘 하지 못한다
5. 때때로 복부에서 소리가 나고 아침에 칫솔질을 할 때 혀를 닦을 때면
헛구역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6. 가끔 아무런 이유없이 배가 아프다고 이야기 하거나 장염에 잘 걸려 설사를 하는 경우가 잦다
추천자료
환자의 인권 치료거부권을 중심으로
약물남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비만증의 약물요법
틱장애, 강박장애, 불안장애에 대한 이해와 치료
치매노인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존엄사에 대한 고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존엄사]존엄사 허용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 존엄사 논쟁의 주요 쟁점 및 찬반양론 분석, ...
[소아물리치료] 신생아 집중치료실[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에 관해
[가족치료] 건강한 가정을 위한 가족치료 향상 프로그램 (건강한 가정을 위한 가족치료 향상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 학습장애의 정의와 발생원...
[이상심리학] 이상행동을 설명하는 제 이론 - 생물의학적 모형, 정신분석학적 모형, 행동주의...
[치매음악치료] 치매환자를 위한 음악요법(음악치료) - 음악요법의 적용 및 활동, 치매노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