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2.0시대의 새로운 의제설정에 관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웹2.0시대의 새로운 의제설정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연구배경
2. 이론적 배경과 문헌연구
1)UCC개념과 유형
(1)Web2.0과 UCC의 개념
(2)UCC의 유형
2)UCC의 특징
(1)UCC의 영향력
3)여론형성에 관한 이론
(1)여론의 개념
(2)여론의 형성조건
(3)여론의 형성과정
(4)여론과 정책결정
(5)사이버공간에서의 여론형성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연구문제
2)연구방법
4. 결과
1)부실도시락 사건분석 및 결과
2)쥐머리새우깡 사건분석 및 결과
5. 결론

본문내용

향을 주었다. 대중매체는 체계화되지 못한 사이버공간상의 여론을 급식단가 인상 촉구로 체계화하였다. 그리고 부실도시락 사건의 원인과 실태 등의 분석기사를 매일 올리면서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였다.
정당은 정부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여당인 열린우리당은 12일 결식아동에 대한 부실도시락 지급 사건과 관련, 진상조사 및 대책수립을 위해 ‘어린이 도시락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다. 14일에는 당정협의회를 열어 급식단가 인상이라는 여론을 정부에 전달하여 급식단가 인상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강한 여론 전달자들의 역할로 인해 정부는 부실도시락 문제제기가 이루어진지 20여일 만에 ‘아동급식종합대책’을 마련하게 되었고, 결국 급식단가 3000원으로 인상되었다.
(3) UCC의 여론형성에 대한 평가
부실도시락 사건은 UCC의 여론형성을 잘 보여준 사례이다. 사이버공간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고,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여론의 형성과 확산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실도시락 사건도 오프라인을 통한 문제제기가 아닌 사이버공간을 통한 문제제기가 있었기 때문에 여론화될 수 있었다. 특히 누리꾼들의 적극적인 의견표출은 대중매체와 정당을 자극하여 이들의 적극적인 여론형성 참여를 이끌어냈다. 정부정책이 문제제기가 이루어진지 한 달도 안 되어 발표되는 데에는 누리꾼의 역할이 컸다고 볼 수 있다.
UCC의 여론형성이 긍정적인 역할만을 하는 것은 아니다. 사이버공간은 아직까지 건강한 여론 형성의 장이 되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여론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사안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지면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토론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 토론과정을 바탕으로 여론이 형성되어야 한다. 최한수 외, 「현대사회와 여론」(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p. 96.
그러나 부실도시락 사건의 경우 문제제기가 이루어진 후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토론과정은 배제된 체 감정에 치우쳐 일방적으로 관련 기관을 성토하는 형태가 나타났다. 특히 부실도시락이 제공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은 무시되고 배제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처럼 아직까지 사이버공간은 올바른 여론형성의 장이 되지 못하고 있다.
UCC의 여론형성의 또 다른 문제는 여론의 방향을 구체화시키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사안에 대한 구체적 대안제시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UCC를 통한 여론형성 과정은 보통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강도가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사건에 대한 집중적인 토론을 통한 해결방안 제시보다는 감정적인 여론형성이 중심이 되어 구체적인 대안제시를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부실도시락 사건도 이러한 문제가 그대로 나타났다. UCC를 통한 부실도시락에 대한 감정적인 여론이 주를 이루면서 정부에 대한 비판만이 있을 뿐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결국 문제의 원인 분석과 대안제시는 대중매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여주게 되었다.
3) 부실도시락 사건에 대한 결과
지금까지 여론이 무엇이며 여론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정부정책을 어떻게 이끌어내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부실도시락 사건을 토대로 UCC를 통한 여론형성의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여론은 특정 사안에 대한 개인들의 공통된 의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론은 정부의 정책결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론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의견집단이 존재하고, 쟁점이 부상되어야 하며, 의사표현이 가능한 채널을 통해 자유로운 의사표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여론은 보통 어떤 사안에 대한 문제제기가 먼저 성립되고, 개인사이의 의견교환을 거쳐서 집단의견이 형성되며 이 집단의견은 여러 여론 전달자를 통해 정부의 정책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Web2.0으로 넘어감에 따라 UCC는 여론형성의 새로운 장이 되고 있다. UCC에서의 여론형성은 일반적인 여론형성의 과정과 비슷하게 진행된다. UCC에서의 여론은 부실도시락 사건에서처럼 신속하고 강도 높게 형성되어 그 파급효과가 크다는 특징을 지닌다. 다수의 개인들이 여론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은 UCC에서의 여론형성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UCC를 통한 여론형성에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전문적인 토론의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감정적인 여론형성에 치우쳐 사회적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부실도시락 사건에서도 정부를 성토하는 감정적인 의견이 주를 이룬 체 사건의 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토론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는 여론의 주도층이 처음에는 누리꾼이었으나 결국 대중매체와 정당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는 결과를 가져왔다.
UCC가 아직까지는 여론형성의 장으로서의 제 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지만, 전자민주주의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사이버공간을 통한 여론형성의 중요성과 비중은 점차 커질 것이다. UCC를 통한 올바른 여론형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올바른 토론문화 정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누리꾼들의 의식변화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올바른 토론문화가 정착된다면 토론을 통해 사안에 대한 통일된 대안까지 제시할 수 있게 되어 UCC는 핵심적인 여론형성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0033115050113473&outlink=1
머니투데이 국방부의 답변(손리사와 보고싶다)에 대한 기사
http://blog.daum.net/adom-eve/8904234
손리사가 올린글에 대한 국방부 답변
http://www.kookminnews.com/news/service/article/mess_03.asp?P_Index=631&flag=
권종상 객원논설위원 천안함 사태에 대해 가장 잘 파악한 것으로 보이는 글
http://news.kbs.co.kr/tvnews/news9/2010/03/28/2071024.html#//
위의 글을 뒷받침한 기사(네티즌 댓글)
http://mykolbe.blogspot.com/2010/04/blog-post.html
천안함 사건의 재구성(개인블로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12.09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9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