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개 요
• M R T 란 ?
• 흑구온도계를 이용한 MRT
Ⅱ. 본 론
1. 실 험
• 실험장치
2. 실험 및 측정방법
• 실험조건 및 위치
3. 데이터 정리 및 처리
1)KATA온도계에 의한 기류속도의 측정
2)실내 MRT환경 측정
3) 실험 결과
4. 실험결과 분석 및 설명
1. 환경적 요소
2. 주관적 요소
3. 평균 예상 온열감(PMV, Predicted Mean Vote)
4. 국부적 불쾌적(local discomfort) 유발 요인
Ⅳ. 결 론
Ⅴ. 참 고
1.참고서적
2. 참고 인터넷 사이트
1. 개 요
• M R T 란 ?
• 흑구온도계를 이용한 MRT
Ⅱ. 본 론
1. 실 험
• 실험장치
2. 실험 및 측정방법
• 실험조건 및 위치
3. 데이터 정리 및 처리
1)KATA온도계에 의한 기류속도의 측정
2)실내 MRT환경 측정
3) 실험 결과
4. 실험결과 분석 및 설명
1. 환경적 요소
2. 주관적 요소
3. 평균 예상 온열감(PMV, Predicted Mean Vote)
4. 국부적 불쾌적(local discomfort) 유발 요인
Ⅳ. 결 론
Ⅴ. 참 고
1.참고서적
2. 참고 인터넷 사이트
본문내용
요인
1) 불균등 복사(asymmetric or nonuniform thermal radiation)
차가운 창, 단열 안된 벽체, 차거나 뜨거운 물건 등에 의해 야기됨
수직 방향의 불균등 복사 온도 (착석시 바닥 위 0.6, 기립시 바닥 위 1.1m 높이의 작은 수평면상에서 상하 복사온도 차이) < 5℃ (ASHRAE 기준)
수평 방향의 불균등 복사 온도(착석시 바닥 위 0.6, 기립시 바닥 위 1.1m 높이의 작은 수직면상에서 좌우 복사온도 차이) < 10℃ (ASHRAE 기준)
2) 드래프트(draft)
기류에 의한 원치 않는 인체의 국부적 냉각
인체가 드래프트를 느낄 경우 더 높은 실내 온도를 요구하게 됨
드래프트에 따른 불쾌적도는 평균 기류 속도(mean air velocity), 공기 온도(air temperature), 난류강도(turbulance intensity)의 영향 받음
3) 수직 온도차(vertical air temperature difference)
머리(바닥 위 1.7m)와 발목(바닥 위 0.1m) 사이 수직 온도차 <= 3℃ (ASHRAE 기준)
4) 뜨겁거나 차가운 바닥(warm or cold floor)
발에서의 불쾌적 방지 위한 권장 바닥 온도 범위 : 18∼29℃ (ASHRAE 기준)
Ⅳ. 결 론
실내 기온이 같아도 표면 온도에 따른 복사의 영향으로 창가 강의실 벽 쪽, 복도의 MRT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는 같은 강의실이라도 위치에 따라 온도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는 실험이었다.
예를 들어서 여름의 뜨거운 천장 근처에서는 더 덥게 느끼고, 겨울의 차가운 창문 근처에서는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은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실험결과이다.
또한 본 실험에 주관적인 요소를 종합하여 평균 예상 온열감(PMV)와 국부적 불쾌적(local discomfort)을 확인 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 즉 열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 이 실험의 근본적인 목적이라 생각한다.
Ⅴ. 참 고
1.참고서적
저 서 명
저 자
출 판 사
건축설비
대한건축학회편
기 문 당
2. 참고 인터넷 사이트
사 이 트 명
주 소
비 고
건축 환경 데이타베이스
http://bstech.kwangwoon.ac.kr
광운 대학교
대광계기계측
http://www.deakwang.co.kr
카시오피아
http://www.casiopia.co.kr/
1) 불균등 복사(asymmetric or nonuniform thermal radiation)
차가운 창, 단열 안된 벽체, 차거나 뜨거운 물건 등에 의해 야기됨
수직 방향의 불균등 복사 온도 (착석시 바닥 위 0.6, 기립시 바닥 위 1.1m 높이의 작은 수평면상에서 상하 복사온도 차이) < 5℃ (ASHRAE 기준)
수평 방향의 불균등 복사 온도(착석시 바닥 위 0.6, 기립시 바닥 위 1.1m 높이의 작은 수직면상에서 좌우 복사온도 차이) < 10℃ (ASHRAE 기준)
2) 드래프트(draft)
기류에 의한 원치 않는 인체의 국부적 냉각
인체가 드래프트를 느낄 경우 더 높은 실내 온도를 요구하게 됨
드래프트에 따른 불쾌적도는 평균 기류 속도(mean air velocity), 공기 온도(air temperature), 난류강도(turbulance intensity)의 영향 받음
3) 수직 온도차(vertical air temperature difference)
머리(바닥 위 1.7m)와 발목(바닥 위 0.1m) 사이 수직 온도차 <= 3℃ (ASHRAE 기준)
4) 뜨겁거나 차가운 바닥(warm or cold floor)
발에서의 불쾌적 방지 위한 권장 바닥 온도 범위 : 18∼29℃ (ASHRAE 기준)
Ⅳ. 결 론
실내 기온이 같아도 표면 온도에 따른 복사의 영향으로 창가 강의실 벽 쪽, 복도의 MRT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는 같은 강의실이라도 위치에 따라 온도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는 실험이었다.
예를 들어서 여름의 뜨거운 천장 근처에서는 더 덥게 느끼고, 겨울의 차가운 창문 근처에서는 더 춥게 느껴지는 것은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실험결과이다.
또한 본 실험에 주관적인 요소를 종합하여 평균 예상 온열감(PMV)와 국부적 불쾌적(local discomfort)을 확인 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 즉 열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삼기 위한 것이 이 실험의 근본적인 목적이라 생각한다.
Ⅴ. 참 고
1.참고서적
저 서 명
저 자
출 판 사
건축설비
대한건축학회편
기 문 당
2. 참고 인터넷 사이트
사 이 트 명
주 소
비 고
건축 환경 데이타베이스
http://bstech.kwangwoon.ac.kr
광운 대학교
대광계기계측
http://www.deakwang.co.kr
카시오피아
http://www.casiop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