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특징, 원리, 단계, 내용, 시사점, 비판점, 교육적 적용) 콜버그 이전 도덕성이론(피아제), 콜버그 이후 도덕성 이론 분석(Gilligan, 길리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특징, 원리, 단계, 내용, 시사점, 비판점, 교육적 적용) 콜버그 이전 도덕성이론(피아제), 콜버그 이후 도덕성 이론 분석(Gilligan, 길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되지 않음
철학적 지향
현상학적
합리적, 보편적인 정의의 원리
발달 단계
개인적 생존⇒비폭력의 도덕성
벌과 복종⇒보편적인 윤리적 원리
Ⅱ. 이후 이론의 흐름
Kohlberg와 Gilligan의 이론은 최근에 와서 상당한 합치점을 보이고 있다.
Gilligan은 이제 남성과 여성의 ‘다른 목소리’를 덜 강조
Kohlberg는 새로이 ‘7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우주만물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강조
< Kohlberg의 7단계: 우주 지향의 도덕 > 정옥분(2004). 『전생애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p378.
Kohlberg는 작고하기 얼마 전에 ‘정의’의 도덕성을 넘어서는 ‘제7단계’에 대해 심사숙고하였다. 자신의 죽음과 직면하게 되는 말년에 가서야 출현하는 것으로 보이는 제7단계는 동양의 ‘자아초월’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왜 사는가? 죽음에 어떻게 직면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Kohlberg가 제시한 것은 ‘우주적 전망(cosmic perspective)으로 우주, 자연 또는 신과 일체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하였다.
◈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배려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우리나라의 연구. 정옥분(2004). 『전생애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p378~380.
우리나라의 청소년과 30대 성인 그리고 50대 성인 남녀 240명을 대상으로 Kohlberg의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Gilligan의 배려지향적 도덕성에 관해 조사한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성년기, 중년기의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배려지향적 도덕성이 연령에 따라 어떤 발달적 변화를 보이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
<배려지향적 도덕성 측정> 정옥분곽경화(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서울: 집문당. p64~68.
① 배려지향적 도덕성 측정도구- Gilligan의 이론을 근거로 Skoe(1987)가 제작한 「배려의 윤리 면접검사(ECI: Ethic of Care Interview)」를 우리 나라의 실정에 알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제작
② 도덕적 갈등상황 제시
성인용) 혼외 임신에 따른 임신 중절의 문제, 배우자와의 갈등으로 인한 결혼생활과 이혼의 문제, 부모의 부양에 관한 효의 문제 p65
청소년용) 이성친구와의 성관계로 인한 임신 중절의 문제, 이성친구와의 사랑과 동성친구와의 우정의 문제, 가족간의 갈등으로 인한 문제
③ 가상적 갈등상황들을 제시한 후 어떻게 행동할 것이며, 왜 그렇게 할 것인지 질문
<정의지향적 도덕성 측정> 정옥분곽경화(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서울: 집문당. p69.
문용린(1986)이 제작한 「도덕 판단력 검사(한국형 DIT)」를 사용.
*DIT: Kohlberg의 주관식 개인면담 방법을 객관식 표준화로 변형제작한 Rest(1979)의 「주제 정의 검사(DIT: Defining Issues Test)」
남편의 고민, 탈옥수, 의사화 환자의 세 가지의 갈등상황과 각 갈등상황마다 12문항씩, 총 36개의 질문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
연구 결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30대 성인 > 청소년 > 50대 성인
배려지향적 도덕성: 30대 성인 > 50대 성인 > 청소년
정의지향적 도덕성 & 배려지향적 도덕성: 여성 > 남성
but 50대 성인의 경우: 정의지향적 도덕성(남성 > 여성)
이를 종합해보면,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세대 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엿볼 수 있다.
50대 성인
정의지향적 도덕성↓, 배려지향적 도덕성↑
전통적 가치관에 의해 지배된다고 할 수 있다. 50대 성인은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기보다는 공동체 의식을 우선시한다. 즉, 우리 사회의 중년세대들은 1940~1950년을 전후하여 출생한 세대로서, 외래문화에 크게 동화되지 않고, 전통적으로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족주의적 가치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노부모의 봉양에 대한 책임의식도 강한 세대임을 알 수 있다.
30대 성인
정의지향적 도덕성↑ , 배려지향적 도덕성↑
서구적 가치관과 전통적 가치관을 공유하는 세대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전통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효의식을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현대적 교육을 받고, 서구적 가치관을 체득해온 세대이기 때문이다. 즉, 30대 성인은 전통적 가치관과 서구적 가치관이 교체되고 있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개인주의를 보다 강조하는 청소년과 전통적 가치관을 보다 중시하는 50대 성인 사이에서 중간자적 위치에 있다.
청소년
정의지향적 도덕성↑, 배려지향적 도덕성↓
서구적 가치관을 상당히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집단주의적 가치관은 점차 사라지고, 오히려 개인주의적 성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가치관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권민균(2005). 『아동 발달의 이해』. 서울: 창지사.
김경중최인숙(1989). 『유아발달심리』. 서울: 형설 출판사
김정희, 김현주, 정인숙 공저(1997). 『아동발달심리』. 서울: 동문사.
서봉연(1983). 『발달의 이론』.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서봉연, 이순형 공저(1994). 『발달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부.
이항재, 최민수(2004).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임병덕, 유한구, 이홍우(2000).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장휘숙(2004). 『아동발달』. 서울: 박영사.
정옥분(2003). 『아동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정옥분(2004). 『전생애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정옥분(2005).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정옥분곽경화(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조난심, 윤현진, 이명준, 차우규(2005). 『도덕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조복희(1999).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조성연(2005).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신정.
조희숙 외 9인(1994). 『아동발달심리』. 서울: 학지사.
추병완(2004). 『도덕교육의 이해』. 서울: 백의.
Rich, John Martin & DeVitis, Joseph L. 추병완 역(1999). 『도덕 발달 이론』. 서울: 백의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1.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0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