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기대 이론 (Expectancy-Valence Theory)
제 2절 공정성 이론 (Equity Theory)
제 3절 목표설정 이론 (Goal Setting Theory)
제 4절 인지적 평가이론 (Cognitive Evalution Theory)
제 5절 통제 이론 (Cybernetics 혹은 Control Theory)
제 2절 공정성 이론 (Equity Theory)
제 3절 목표설정 이론 (Goal Setting Theory)
제 4절 인지적 평가이론 (Cognitive Evalution Theory)
제 5절 통제 이론 (Cybernetics 혹은 Control Theory)
본문내용
1. 기대 이론
변수
① 기대감
(expectancy)
[0≤E≤1]
개념
노력했을 때 얼마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주관적 확률
ex) 현 회사에 남음→ 0.9 타 회사로 옮김→ 0.7
② 유의성
(valence)
[-n≤V≤+n]
특정한 행위의 결과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선호의 강도
결과를 선호할 때는 긍정적 유의성(+)
회피하거나 싫어할 때는 부정적 유의성(-)
③ 수단성
(instrumentality)
[-1≤I≤+1]
특정한 행위(1차적 결과)를 달성했을 때 보상(2차적결과)이 얻어질 수 있으리라는 데 대한 주관적 믿음
변수
① 기대감
(expectancy)
[0≤E≤1]
개념
노력했을 때 얼마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주관적 확률
ex) 현 회사에 남음→ 0.9 타 회사로 옮김→ 0.7
② 유의성
(valence)
[-n≤V≤+n]
특정한 행위의 결과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선호의 강도
결과를 선호할 때는 긍정적 유의성(+)
회피하거나 싫어할 때는 부정적 유의성(-)
③ 수단성
(instrumentality)
[-1≤I≤+1]
특정한 행위(1차적 결과)를 달성했을 때 보상(2차적결과)이 얻어질 수 있으리라는 데 대한 주관적 믿음
추천자료
메슬로우&동기
동기부여
동기부여의 기대이론
경영학원론 관련
[조직행동론] 동기부여의 개념과 이론 (PPT)
조직행위론 이론과 관련된 최신사례 분석
동기부여 이론
동기부여 과정이론 중 가장 설득력 있다고 믿는 이론
동기부여 내용이론 중 가장 설득력 있다고 믿는 이론
동기 이론 중 기대이론 (Expectancy theory)-Vroom
동기 부여 (Motivation)
동기부여 이론, 맥그리거의 XY 이론 , Maslow의 욕구단계 이론
동기부여 이론 중 인간관계이론의 개념 및 사회복지 조직관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
[간호지도자론 공통]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 (병동 또는 가족 등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