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비만정의
2. 아동비만 현황
3. 아동비만이 위험한 이유
4. 요인(잘못된 식습관)
5. 설문지
분석
6. 문제점 및 해결방안
Ⅲ. 결 론
Ⅱ. 본 론
1. 비만정의
2. 아동비만 현황
3. 아동비만이 위험한 이유
4. 요인(잘못된 식습관)
5. 설문지
분석
6. 문제점 및 해결방안
Ⅲ. 결 론
본문내용
치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영유아는 그렇지 않지만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이 되면 뚱뚱한 아이의 대부분이 비만이란 사실에 일종의 콤플렉스를 갖는다.
콤플렉스를 갖게 되는 이유는 뚱뚱하다는 것 때문에 주위로부터 놀림을 당하고 따돌림을 당하면서 심리적 압박감을 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친구들이 자신의 겉모습을 보고 비아냥거리거나 놀리면 설령 친근함이 담긴 말이라 해도 자신이 뚱뚱하고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아이는 마음속 깊이 상처를 받게 된다.
그 밖에도 철봉을 못해 체육 시간에 비웃음을 당했다든지, 웬만한 옷은 맞지 않는다며 엄마가 한숨을 쉬었다든지, 운동복을 입기가 창피하다는 등 뚱뚱한 아이는 주위로부터 여러 가지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 그리고 그런 자신에 대해 혐오감과 강한 불만을 품는다.
심신이 모두 성장기에 있는 아이의 마음은 엄마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섬세하다. 명랑하게 행동하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깊은 상처를 받고 있기도 하다. 콤플렉스가 심리적 좌절을 초래해 지나치게 내성적인 아이가 되거나 소극적이 되어 친구들과의 교류를 피하기도 하며, 혹은 의욕을 상실해서 학교 성적이 떨어지기도 하고 심지어는 학교에 가기 싫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비만의 원인을 밝혀내서 비만 극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손상이 크다
비만아의 심리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에 따르면, 2세 이전에 비만이 시작된 아이는 사회적으로 적응을 잘하며 정서적으로도 안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시작된 경우 특히 아동기가 되어서 비만이 된 아이는 사회 적응을 못하며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어릴 때 포동포동 살이 찐 어린이는 귀엽다는 말을 들으며 그 이미지를 간직한 채 자라기 때문에 심리적인 손상도 적다. 이에 비해 아동기에 비만해지면 자신이 비만이란 사실을 의식하기 시작하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그 경향은 더욱 강해져 아이를 짓누르게 된다.
사춘기 아이는 자각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사춘기가 되면 좀 더 심각해진다. 사춘기까지 이어진 비만의 경우는 심리적으로도 문제가 많고, 비만 치료 자체를 포기해 버리거나 무기력해지기도 하며 내성적이 되거나 치료에 대해 반항적이 된다.
또한 날씬해지고 싶다는 욕망이 강한 때인 만큼 단번에 살을 빼려고 흔히 광고 매체에서 선전하는 다이어트 식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며 대체로 이내 싫증을 내게 된다. 몸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라면 굳이 말리지 말고 그냥 지켜보는 것도 괜찮다.
사춘기가 되면 아무리 엄마라 해도 아이의 모든 생활을 파악할 수는 없다. 아이의 적극적인 의사가 없는 한 비만에 맞서 싸우기는 곤란하므로, 뭘 먹었는지를 캐묻고 야단치거나 명력하기 전에 뚱뚱한 것이 본인에게 좋은지 나쁜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판단을 내림과 동시에 아이에게 필요한 비만과 건강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생활 태도 등에 대해 엄마가 많이 충고해 주어야 한다.
사춘기에 자주 발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실제로는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특히 사춘기를 맞은 여자 아이는 체지방이 증가한다. 그것은 생리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다소 살이 쪘다고 해도 문제될 것이 없는데도 비만이라고 고민하면서 마음의 건강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런 경우는 성장 곡선을 보면 아이에게 맞는 페이스로 체중이 증가하고 있는지를 금방 알 수 있다. 아이에게도 잘 설명해서 이해시켜야 하며, 이런 지식을 얻는 것은 장래의 비만 예방으로도 이어진다.
비만 극복에는 주위의 이해가 필요하다
아동기의 어린이는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비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만 식사와 운동 요법을 이행하기보다는 학교에서 할 수 있는 비만 해소 대책을 세워 놓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비만아의 증가를 반영한 것인지 비만아 교실을 만들어 특별 체조를 시키는 학교가 많아졌다.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긴 하지만 심리적인 면에서 봤을 때는 오히려 더 곤혹스러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별 체조를 싫어하는 어린이는 벌을 받고 잇는 기분이 들어 학교에 가는 것마저 싫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아이와 구별되어 ‘비만아’라는 특별 취급을 받는 것이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비만인 아이들은 특별 취급을 받는 것 자체가 콤플렉스를 조장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어쨌든 아이가 심신이 모두 건강한 상태로 비만을 극복하려면 가정, 학교, 의사가 상호 협력해야 한다. 비만아가 증가 일로를 걷고 있는 현재, 비만 예방과 극복을 위해서라도 주위의 이해와 적절한 대응이 강력히 요구된다.
3) 비만의 사회적 문제
유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q지만아동을 대상으로 학습활동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상아와 차이가 없으나 학습과정에 있어서는 비만아들이 주의집중 행동이 부족하며 이는 체력이 정지상태에서 오래 버티기 어렵고 몸을 가누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학습태도에 있어서도 정상아에 비하여 태도점수가 낮다고 보고하였다.
4. 설문지
안녕~~~
언니(누나)들이 우리 꼬마친구들의 식습관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하려고 해요~~
솔직하게 대답해주면 고맙겠어요. づ^0^)づ~☆
남자야!?( ) 여자야!?( )
1.하루에 3끼를 다 챙겨 먹니???^^
① 응! ② 아니~ ③ 챙겨먹으려고 노력해요~
2.밥 먹을 때 TV를 보니??^^
① 응! ② 아니~~
3.저녁밥 먹고 밤늦게 야식(간식)을 먹니?
① 응! ② 아니~~~
1)먹는다면 주로 무엇을 먹니??^^ ( )
4.군것질을 주로 무엇으로 하니??^^ 3가지만 적어주세요!!)
(1. ) (2. ) (3. )
5.좋아하는 음식을 골라주세요!
① 밥(한식종류) ② 라면, 자짱면(중식류) ③피자, 햄버거(빵 및 패스트푸드)
④ 치킨. 삼겹살 (고기류) ⑤떡볶이, 순대(분식류) ⑥ 과자, 아이스크림
⑦기타( )
6. 1주일에 외식은 몇 번 정도 하니??^^
① 전혀 하지 않는다. ② 1~2번 ③ 3~4번 ④ 5~6번 ⑤ 매일!!
☆ 설문지에 답해줘서 Thank you!
콤플렉스를 갖게 되는 이유는 뚱뚱하다는 것 때문에 주위로부터 놀림을 당하고 따돌림을 당하면서 심리적 압박감을 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친구들이 자신의 겉모습을 보고 비아냥거리거나 놀리면 설령 친근함이 담긴 말이라 해도 자신이 뚱뚱하고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아이는 마음속 깊이 상처를 받게 된다.
그 밖에도 철봉을 못해 체육 시간에 비웃음을 당했다든지, 웬만한 옷은 맞지 않는다며 엄마가 한숨을 쉬었다든지, 운동복을 입기가 창피하다는 등 뚱뚱한 아이는 주위로부터 여러 가지 심리적 압박을 받고 있다. 그리고 그런 자신에 대해 혐오감과 강한 불만을 품는다.
심신이 모두 성장기에 있는 아이의 마음은 엄마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섬세하다. 명랑하게 행동하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깊은 상처를 받고 있기도 하다. 콤플렉스가 심리적 좌절을 초래해 지나치게 내성적인 아이가 되거나 소극적이 되어 친구들과의 교류를 피하기도 하며, 혹은 의욕을 상실해서 학교 성적이 떨어지기도 하고 심지어는 학교에 가기 싫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비만의 원인을 밝혀내서 비만 극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손상이 크다
비만아의 심리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에 따르면, 2세 이전에 비만이 시작된 아이는 사회적으로 적응을 잘하며 정서적으로도 안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이후에 시작된 경우 특히 아동기가 되어서 비만이 된 아이는 사회 적응을 못하며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어릴 때 포동포동 살이 찐 어린이는 귀엽다는 말을 들으며 그 이미지를 간직한 채 자라기 때문에 심리적인 손상도 적다. 이에 비해 아동기에 비만해지면 자신이 비만이란 사실을 의식하기 시작하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그 경향은 더욱 강해져 아이를 짓누르게 된다.
사춘기 아이는 자각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사춘기가 되면 좀 더 심각해진다. 사춘기까지 이어진 비만의 경우는 심리적으로도 문제가 많고, 비만 치료 자체를 포기해 버리거나 무기력해지기도 하며 내성적이 되거나 치료에 대해 반항적이 된다.
또한 날씬해지고 싶다는 욕망이 강한 때인 만큼 단번에 살을 빼려고 흔히 광고 매체에서 선전하는 다이어트 식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며 대체로 이내 싫증을 내게 된다. 몸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라면 굳이 말리지 말고 그냥 지켜보는 것도 괜찮다.
사춘기가 되면 아무리 엄마라 해도 아이의 모든 생활을 파악할 수는 없다. 아이의 적극적인 의사가 없는 한 비만에 맞서 싸우기는 곤란하므로, 뭘 먹었는지를 캐묻고 야단치거나 명력하기 전에 뚱뚱한 것이 본인에게 좋은지 나쁜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판단을 내림과 동시에 아이에게 필요한 비만과 건강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생활 태도 등에 대해 엄마가 많이 충고해 주어야 한다.
사춘기에 자주 발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실제로는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특히 사춘기를 맞은 여자 아이는 체지방이 증가한다. 그것은 생리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다소 살이 쪘다고 해도 문제될 것이 없는데도 비만이라고 고민하면서 마음의 건강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런 경우는 성장 곡선을 보면 아이에게 맞는 페이스로 체중이 증가하고 있는지를 금방 알 수 있다. 아이에게도 잘 설명해서 이해시켜야 하며, 이런 지식을 얻는 것은 장래의 비만 예방으로도 이어진다.
비만 극복에는 주위의 이해가 필요하다
아동기의 어린이는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비만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만 식사와 운동 요법을 이행하기보다는 학교에서 할 수 있는 비만 해소 대책을 세워 놓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비만아의 증가를 반영한 것인지 비만아 교실을 만들어 특별 체조를 시키는 학교가 많아졌다.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긴 하지만 심리적인 면에서 봤을 때는 오히려 더 곤혹스러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별 체조를 싫어하는 어린이는 벌을 받고 잇는 기분이 들어 학교에 가는 것마저 싫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아이와 구별되어 ‘비만아’라는 특별 취급을 받는 것이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비만인 아이들은 특별 취급을 받는 것 자체가 콤플렉스를 조장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어쨌든 아이가 심신이 모두 건강한 상태로 비만을 극복하려면 가정, 학교, 의사가 상호 협력해야 한다. 비만아가 증가 일로를 걷고 있는 현재, 비만 예방과 극복을 위해서라도 주위의 이해와 적절한 대응이 강력히 요구된다.
3) 비만의 사회적 문제
유의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 q지만아동을 대상으로 학습활동을 조사한 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정상아와 차이가 없으나 학습과정에 있어서는 비만아들이 주의집중 행동이 부족하며 이는 체력이 정지상태에서 오래 버티기 어렵고 몸을 가누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학습태도에 있어서도 정상아에 비하여 태도점수가 낮다고 보고하였다.
4. 설문지
안녕~~~
언니(누나)들이 우리 꼬마친구들의 식습관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하려고 해요~~
솔직하게 대답해주면 고맙겠어요. づ^0^)づ~☆
남자야!?( ) 여자야!?( )
1.하루에 3끼를 다 챙겨 먹니???^^
① 응! ② 아니~ ③ 챙겨먹으려고 노력해요~
2.밥 먹을 때 TV를 보니??^^
① 응! ② 아니~~
3.저녁밥 먹고 밤늦게 야식(간식)을 먹니?
① 응! ② 아니~~~
1)먹는다면 주로 무엇을 먹니??^^ ( )
4.군것질을 주로 무엇으로 하니??^^ 3가지만 적어주세요!!)
(1. ) (2. ) (3. )
5.좋아하는 음식을 골라주세요!
① 밥(한식종류) ② 라면, 자짱면(중식류) ③피자, 햄버거(빵 및 패스트푸드)
④ 치킨. 삼겹살 (고기류) ⑤떡볶이, 순대(분식류) ⑥ 과자, 아이스크림
⑦기타( )
6. 1주일에 외식은 몇 번 정도 하니??^^
① 전혀 하지 않는다. ② 1~2번 ③ 3~4번 ④ 5~6번 ⑤ 매일!!
☆ 설문지에 답해줘서 Thank you!
추천자료
사회복지 문제론-빈곤문제
한국 여성 정치의 현실과필요성, 문제점 그리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
교육통계 설문지조사
인종갈등의 실태와 문제점및 발전방향에 대하여 조사와 분석(A+발표)
스포츠 스타의 광고효과 (설문지 별첨)
동구시장의 실태조사
햅틱폰 설문지
한부모가족지원결과보고서(2006년)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펴낸 “위기가정 아동 청소년의 문제와 복지지원방안 연구”...
3_본인의 관심사에 대한 조사
욕구조사 방법 중 인상주의적 접근방식의 개념, 종류, 방식을 설명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동거에 대한 인식조사
학생주차장 유료화 만족도 조사 분석
담배꽁초 무단투기에 대한 단국대 학생들의 생각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