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근경색 ( STEMI )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치료
6) 간호
1)간호사정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결과
(3) 약물 치료 현황
★간호과정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치료
6) 간호
1)간호사정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결과
(3) 약물 치료 현황
★간호과정
본문내용
~
50mg 투여
비선택성 α,β차단제(β1차단 효과가 7배 더 강함)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 협심증, 심부정맥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오심, 설사, 복통, 구토, 고혈당
Lipitor
1일 1회 10 mg ~ 80 mg
HMG-CoA reductase 경쟁적 저해제: 고지혈증 치료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위험성감소
무력감, 소화불량, 오심, 변비, 설사, 복통, 두통, 불면증, 근육통
tridol
1회 50mg을 경구투여
중추적으로 작용하는 합성 진통제로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동통 억제
(각종 암등), 진단 및 수술후 동통
호흡억제, 심계항진, 냉한, 혈관확장,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tritace
1일 1회 2.5㎎ 경구투여
ACE의 상경적 저해제 (혈압강하제)
고혈압, 심근경색후 심부전
마른기침, 핍뇨, 빈맥, 흉통, 심계항진, 미각부전, 복통, 오심, 설사
★간호과정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1
간호문제 : 초기 심전도상 complete AV block으로 일시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간호진단 : 심장의 전도장애와 관련된 부정맥
2
간호문제 : 대상자 통증으로 인해 불안해하고 걱정함.
간호진단 :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3
간호문제 : 침상안정으로 욕창의 위험성 있음.
간호진단 :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10/28
입원시 EKG상 complete AV block 있어 일시적 pacemaker(인공심박조율기)삽입 시행함.
10/29
enoxaparin유지, VPC(심실조기수축) 반복적으로 확인되며 Sinus bradycardia 소견보여 일시적으로 인공심박조율기 유지.
EKG HR
10/28
10/29
40
52
41
54
10/28 BP:130/90
PR:18
BT:37.8
10/29 BP:130/90
PR:20
BT:36.7
간호진단
심장의 전도장애와 관련된 부정맥
간호목표
1.맥박과 혈압이 정상이다.
2.대상자는 정상 동성리듬으로 돌아옴으로써 부정맥보이지 않을것이다.
간호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맥박의 횟수와, 강도, 리듬을 사정한다.
③ 맥박결손의 유무를 사정한다.
④ 계속적으로 심전도 감시한다.
(심장리듬, 심박동수 ,VPC출현·양상 계속 살핀다.)
⑤ 심실성 조기수축이 분당 5회 이상, 또는 연속해서 3개이상 나타날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심박출량의 감소를 가져오는 심실성 부정맥의 전조증상이므로)
⑥ 필요시 항부정맥제를 투여한다.
⑦ 혈역학 감시를 통해 심기능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혈중 칼륨치를 모니터한다.
⑧응급상태에 대비해 항상 정맥을 확보해 둔다.
간호수행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맥박의 횟수와 강도, 리듬, 결손유무를 사정하였다.
-계속적인 감시의 필요에 대해 대상자의 가족에게 교육하였다,항상 경보장치를 켜놓도록하였다.
-부정맥 발생시 심전도에서 맥박수, QRS,PR,ST분절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어떠한 변화라도 보고하고 기록하였다.
- 혈청 K 수준을 감시하였다.
- 정맥 주입경로의 개통을 확인하였다.
간호평가
EKG HR
10/30
10/31
11/1
11/2
64
62
64
66
-맥박과 혈압이 정상이다.
BP:120/80
PR:20
BT:36.5
BP:120/90
PR:20
BT:36.2
BP:100/60
PR:20
BT:36.2
BP:110/70
PR:20
BT:36.5
10/28
10/29
10/30
10/31
K
3.7
4.1
3.6
3.9
-VPC 관찰되지 않았다.
10/30
반복적으로 보이던 VPC(심실조기수축)는 오후 호전, vital 안정.
10/31
일시적 심박조율기 제거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쓰리듯이 계속 아파요”
흉통, 현기증 호소
객관적 자료
nature) 답답하게 쓰리듯이
duration)1시간 이상
radiation) 등
통증강도) 8
diaphoresis(+) / dyspnea(+)
간호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1. 안위와 통증완화를 표현한다.
2. 정상적 심전도와 리듬을 회복한다.
간호계획
① 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 요인 사정한다.
② 산소를 공급한다.
③ 통증 경감될 때까지 환자와 같이있어 준다.
④ 심전도를 관찰한다.
⑤ 처방된 morphine, nitrate 투여한다.
⑥ 약물치료 반응 감시한다.
⑦ 통증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간호수행
-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 요인 사정하였다.
-비강카테터를 이용하여 분당2~4/L의 산소를 공급하였다.
-대상자 곁에 있으면서 안심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위해 침착하고 능숙한 태도로 간호제공하였다.
- 흉통발생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처방된 morphine, nitrate 투여후 약물치료 반응을 감시하였다.
- 흉통후 심전도를 관찰하였다.
간호평가
- 약물치료 후 (15~20분) 통증을 계속 호소하였다.
통증 강도: 7
130/90-40-18-37.8
- 의사에게 보고하였다
: STEMI로 PCI 시행.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허리가 쑤시듯이 아파요”
“ 좀 움직이고 싶은데...”
객관적 자료
통증척도: 5
(양상:쑤시듯이/빈도:간헐적/위치:허리)
욕창위험 평가
: 18점(18점 이하일 경우 욕창예방간호 시행)
엉덩이 부분이 약간 붉어져있음을 사정
간호진단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발적 및 피부손상부위를 근거로 하여 대상자는 피부 손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2시간마다 체위변경한다.
③체위 변경시 욕창 생기기 쉬운 부위 마사지 한다.
④능동적,수동적 ROM운동을 도와준다.
⑤통증이 심할시 처방된 진통제 투여한다.
⑥필요시 공기칟대를 제공하여 조절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피부를 시진하였다.
(뼈의 돌출부위,부종,순환변화,색소침착등을 관찰함)
-2시간 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고 허리부위를 마사지 해주었다.
-욕창예방을 위해 공기침대를 제고하고 사정하였다.
-능동적,수동적 ROM운동을 도와주었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이제 아프지 않아요”
통증척도: 0
-욕창위험 평가
: 20점
- 발적 및 피부손상이 없다.
50mg 투여
비선택성 α,β차단제(β1차단 효과가 7배 더 강함)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 협심증, 심부정맥
피로감, 두통, 어지러움, 저혈압,오심, 설사, 복통, 구토, 고혈당
Lipitor
1일 1회 10 mg ~ 80 mg
HMG-CoA reductase 경쟁적 저해제: 고지혈증 치료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위험성감소
무력감, 소화불량, 오심, 변비, 설사, 복통, 두통, 불면증, 근육통
tridol
1회 50mg을 경구투여
중추적으로 작용하는 합성 진통제로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동통 억제
(각종 암등), 진단 및 수술후 동통
호흡억제, 심계항진, 냉한, 혈관확장,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tritace
1일 1회 2.5㎎ 경구투여
ACE의 상경적 저해제 (혈압강하제)
고혈압, 심근경색후 심부전
마른기침, 핍뇨, 빈맥, 흉통, 심계항진, 미각부전, 복통, 오심, 설사
★간호과정
우선순위별 간호진단
1
간호문제 : 초기 심전도상 complete AV block으로 일시적 인공심박동기 삽입
간호진단 : 심장의 전도장애와 관련된 부정맥
2
간호문제 : 대상자 통증으로 인해 불안해하고 걱정함.
간호진단 :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3
간호문제 : 침상안정으로 욕창의 위험성 있음.
간호진단 :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10/28
입원시 EKG상 complete AV block 있어 일시적 pacemaker(인공심박조율기)삽입 시행함.
10/29
enoxaparin유지, VPC(심실조기수축) 반복적으로 확인되며 Sinus bradycardia 소견보여 일시적으로 인공심박조율기 유지.
EKG HR
10/28
10/29
40
52
41
54
10/28 BP:130/90
PR:18
BT:37.8
10/29 BP:130/90
PR:20
BT:36.7
간호진단
심장의 전도장애와 관련된 부정맥
간호목표
1.맥박과 혈압이 정상이다.
2.대상자는 정상 동성리듬으로 돌아옴으로써 부정맥보이지 않을것이다.
간호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맥박의 횟수와, 강도, 리듬을 사정한다.
③ 맥박결손의 유무를 사정한다.
④ 계속적으로 심전도 감시한다.
(심장리듬, 심박동수 ,VPC출현·양상 계속 살핀다.)
⑤ 심실성 조기수축이 분당 5회 이상, 또는 연속해서 3개이상 나타날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심박출량의 감소를 가져오는 심실성 부정맥의 전조증상이므로)
⑥ 필요시 항부정맥제를 투여한다.
⑦ 혈역학 감시를 통해 심기능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혈중 칼륨치를 모니터한다.
⑧응급상태에 대비해 항상 정맥을 확보해 둔다.
간호수행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맥박의 횟수와 강도, 리듬, 결손유무를 사정하였다.
-계속적인 감시의 필요에 대해 대상자의 가족에게 교육하였다,항상 경보장치를 켜놓도록하였다.
-부정맥 발생시 심전도에서 맥박수, QRS,PR,ST분절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어떠한 변화라도 보고하고 기록하였다.
- 혈청 K 수준을 감시하였다.
- 정맥 주입경로의 개통을 확인하였다.
간호평가
EKG HR
10/30
10/31
11/1
11/2
64
62
64
66
-맥박과 혈압이 정상이다.
BP:120/80
PR:20
BT:36.5
BP:120/90
PR:20
BT:36.2
BP:100/60
PR:20
BT:36.2
BP:110/70
PR:20
BT:36.5
10/28
10/29
10/30
10/31
K
3.7
4.1
3.6
3.9
-VPC 관찰되지 않았다.
10/30
반복적으로 보이던 VPC(심실조기수축)는 오후 호전, vital 안정.
10/31
일시적 심박조율기 제거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쓰리듯이 계속 아파요”
흉통, 현기증 호소
객관적 자료
nature) 답답하게 쓰리듯이
duration)1시간 이상
radiation) 등
통증강도) 8
diaphoresis(+) / dyspnea(+)
간호진단
심근허혈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1. 안위와 통증완화를 표현한다.
2. 정상적 심전도와 리듬을 회복한다.
간호계획
① 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 요인 사정한다.
② 산소를 공급한다.
③ 통증 경감될 때까지 환자와 같이있어 준다.
④ 심전도를 관찰한다.
⑤ 처방된 morphine, nitrate 투여한다.
⑥ 약물치료 반응 감시한다.
⑦ 통증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간호수행
-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방사유무, 촉진 또는 완화 요인 사정하였다.
-비강카테터를 이용하여 분당2~4/L의 산소를 공급하였다.
-대상자 곁에 있으면서 안심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위해 침착하고 능숙한 태도로 간호제공하였다.
- 흉통발생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처방된 morphine, nitrate 투여후 약물치료 반응을 감시하였다.
- 흉통후 심전도를 관찰하였다.
간호평가
- 약물치료 후 (15~20분) 통증을 계속 호소하였다.
통증 강도: 7
130/90-40-18-37.8
- 의사에게 보고하였다
: STEMI로 PCI 시행.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허리가 쑤시듯이 아파요”
“ 좀 움직이고 싶은데...”
객관적 자료
통증척도: 5
(양상:쑤시듯이/빈도:간헐적/위치:허리)
욕창위험 평가
: 18점(18점 이하일 경우 욕창예방간호 시행)
엉덩이 부분이 약간 붉어져있음을 사정
간호진단
침상안정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발적 및 피부손상부위를 근거로 하여 대상자는 피부 손상이 없을 것이다.
간호계획
①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2시간마다 체위변경한다.
③체위 변경시 욕창 생기기 쉬운 부위 마사지 한다.
④능동적,수동적 ROM운동을 도와준다.
⑤통증이 심할시 처방된 진통제 투여한다.
⑥필요시 공기칟대를 제공하여 조절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피부를 시진하였다.
(뼈의 돌출부위,부종,순환변화,색소침착등을 관찰함)
-2시간 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고 허리부위를 마사지 해주었다.
-욕창예방을 위해 공기침대를 제고하고 사정하였다.
-능동적,수동적 ROM운동을 도와주었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이제 아프지 않아요”
통증척도: 0
-욕창위험 평가
: 20점
- 발적 및 피부손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