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종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 종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추 전국 시대.

2.진나라

3.한나라

4.위진 남북조

*중국사상

중국철학사

본문내용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종교사상을 형성했는데, 이 경천(敬天)과 숭조(崇祖)의 종교사상이 윤리화되고 '덕' '효'의 도덕관념이 생겨나자, 이것들을 인간(君子)의 자각적인 도덕, 그 정치사상으로 완성한 것이 춘추 중기(B.C. 6~5세기)에 나온 공자이다.
②전국시대(戰國時代 : B.C. 4~3세기)에는 제자백가가 나타났으며, 이 시기의 맹자는 도덕을 더욱더 발전시켜 성선설, 사단설(四端說)을 주장하여 유가의 관념론적인 골격을 만들었다. 같은 시기에 몰락귀족층 속에서 무위자연을 주장하는 도가가 나타나 '도'와 '무'(無)를 '천'(天), '유'(有)보다 근원적이라고 하고, 관념론적 세계관을 체계화하고 내면화했다. 유물론적 세계관으로 묵자, 순자, 한비자 등의 이론이 전개되었고, 특히 천(天)ㆍ인(人)을 분리하여 인간의 천(자연)에 대한 능동성을 설명한 순자의 자연관과, 묵자의 제자들이 세운 논리학은 후세의 유물론 사상에 영향을 끼쳤다.
③한대(漢代, B.C. 3세기~A.D. 3세기)는 무제(武帝) 때 국가교학으로서 유교 경학(經學)가 성립하여, 이것은 역(易) 사상이나 음양오행사상과의 결합에 의한 원시 유교의 비합리적 종교화 및 공자의 권위의 절대화를 초래했다(讖緯說). 이 경향에 대해 왕충(王充)이 공자, 맹자 등의 성현 및 참위설(讖緯說) 등 한대의 관념론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④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에 들어서면(3~6세기), 노장사상의 유행, 사후 세계의 실재를 설명하는 불교철학의 유입에 의해, 관념론이 힘을 얻었지만, 불교의 유신론을 부정하는 무신론의 조류도 형성되고 남조의 범진(范鎭, 450~515)은 『신멸론』(神滅論)을 저술했다.
⑤수당(隨唐, 6~10세기)에는 불교의 유식종(唯識宗)이나 화엄종(華嚴宗)이 번성하고, 또한 한유(韓愈)와 이고(李)가 관념론의 새로운 전개를 보여 송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유물론에는 유종원(柳宗元)의 『천설』(天說), 유우석(劉禹錫, 772~842)의 『천론』(天論)이 있다. 당의 귀족층에 대신하여 신흥지주층이 송대(宋代, 북송ㆍ남송을 합하여 10~13세기)의 지배계급이 되면서 전호(田戶 : 농노) 지배의 철학으로서, 북송의 많은 학자를 거쳐 주자(朱子)가 주자학을 수립하고, 이것은 봉건사상의 완성된 형태를 갖추어 이후 명(明)ㆍ청(淸) 시대에까지 군림했다.
⑥명대(明代, 14~17세기)에 이르러 봉건사회의 중앙집권화가 더욱 강화되고, 여기에 왕양명(王陽明)이 양명학을 수립하면서, 관념론은 맹자 이래, 최고의 단계에 이른다. 그러나 양명학 좌파인 이탁오(李卓吾)의 '동심설'(童心說)을 낳게 되었듯이 유교 교학의 해체과정도 나타났다. 또한 명대에는 송대의 장횡거(張橫渠)가 확립한 기(氣)철학이 나흠순(羅欽順), 왕정상(王廷相, 1619~92)에게 전수되고, 후에 방이지(方以智), 왕선산(王船山), 대진(戴震)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⑦청조(17~20세기 초)에 들어서면, 왕선산, 고염무(顧炎武), 황종희(黃宗羲) 등 명의 도노(道老) 3대학자가 그 사상을 통하여 만청조(滿洲朝)의 중국 지배에 저항하여 민족주의 민주주의 사상을 주창했다. 그들에 의해 실증적 연구가 선구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학문의 세계에 틀어박히는 고증학을 낳았다. 아편전쟁(1839~42)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과 함께 서구사상이 유입되어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기독교 영향 하의 태평천국운동은 봉건사상 일소의 일환으로서 공자묘의 파괴를 불러오기도 했다.
청조 지배자의 무능, 열강 침략의 확대라고 하는 중국의 위기 상황에서, 강유위(康有爲), 담사동(譚嗣同), 양계초(梁啓超) 등 개량파와 손문, 장병린(章炳麟) 등 혁명파의 격렬한 사상투쟁과 그것에 기초한 운동이 진행되었다. 신해혁명(1911~1912) 이후, 반제 반봉건의 투쟁에서 5ㆍ4운동(1914) 전야인 문화혁명기에, 가족제도와 그 정신적 지주인 유교주의와의 투쟁을 인텔리, 학생이 중심이 되어 전개하고, 노신은 그 철저한 사상적 지도자였다. 동시에 이대교의 지도 하에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고, 5ㆍ4운동 시기를 거쳐 1921년에 중국공산당이 성립되었다.
이것은 사상사(思想史)에 있어서 과학적인 유물론에 의한 관념론 세계관에 대한 결정적 비판의 시기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을 경험하고 있는 중국인민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과학적 세계관을 확립하는 과제와 자본주의 열강과의 대결이라는 와중에 개방정책을 선택하면서 세계자본주의에 편승하는 듯한 모험에 당면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2.2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2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