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P :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ERCP :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1.정의
2. 적응증
3.금기
4.검사 전 준비 & 간호
6. 검사과정
6.검사 후 간호


<내시경적 담석 제거술>
1.적응증
2. 시술 전 준비사항
3.방법

<내시경적 비담관 배액술> ENBD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1.적응증
2. 시술전 준비사항
3.수기
3. 시술 후 관리
4. 합병증

본문내용

ERCP :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1.정의
ERCP는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측시내시경을 사용하여 시행하여 직접 vater 유두부에 도관을 삽입한 후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담도와 췌관을 관찰할 수 있도록 고완된 술기로 담관 및 췌관의 병변을 관찰하고 생검, 세포진 검사를 병행할 수 있다.

2. 적응증
췌담도계에 형태학적 이상을 가져오는 질환
1)담도 폐쇄에 의한 황달이 의심될 때
2)췌장 및 담도계의 질환이 의심될 때
3)담도 손상
4)췌장암, 췌종양이 의심될 때
5)원인 미상의 반복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6) 췌장 가성낭종 및 췌장염 합병증의 평가
7) 유두괄약근의 기능 부전
8) 췌담도의 선천성 기형

 ≪ 그 림 ≫




3.금기
-혈액응고장애 환자, 출혈가능성이 있는 환자
(plt 60000/mm3, PT 60%이하인 경우: 가급적 혈소판 수혈이나 신성 혈장을 보충한후 시술할 것을 권장한다.)
-상부소화관 협착 환자, 협조 불가능 환자
4.검사 전 준비 & 간호
1) 설명과 동의서
시술의 성격과 목적 , 위험성,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 합병증의 대처방안 등.
2) 과거력상 약물, 조영제에 대한 과민반응여부 ,현재 복용중인 약물,
심폐질환유무, 가임기 여성이라면 임신 여부 등 확인.
* 아피스린, 항소염제, 항소판 응집억제제 혹은 항응고제
 일주일전 중단, 시술 중 EST시행한 경우 48~72시간 경과 후에 투약을 시작.
3) 일반혈액 검사 , 생화학 검사. 혈액 응고 검사 등 확인.
4) 전날 밤 12시부터 금식(8시간 이상)
5) IV route확보(18G)
6) 전처치 약물을 확인하고 준비한다.지시에 따라 투여한다.
①hispan 1@ (항콜린제): 검사 5~10분전에 IM 혹은 IV
②gasocol 10cc (simethicone )
③pethidine 50mg IM
④midazolam 1@(5mg)
⑤anexate 0.5mg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12.23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22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