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 십이지장 유두 팽대부까지 배액도관(internal-external drainage cathetr)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3~4일 동안
은 외부적 배액을 허용하고 그 이후는 십이지장으로 배액 되도록 유도 하는 방법
3) 내류법 : 배액도관을 이용해 협착부위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고 배액도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능한 재협착(restenosis)을 방지할 수 있는 시술이다.
①-③은외류법과 동일함.
④ 조영제 2~3cc주입하여 급속히 유입되면 혈관이고 서서히 진행되면 담관임을 알수있다.
⑤ Chiba Needle을 통해 안내철심을 삽입하고 dilator번갈아가면 삽입해 internal external
drainage catheter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스텐트삽입할 경우 배액도관 삽입하고
협착 된 부위에 스텐트 설치한다.
⑥ internal external drainage catheter 또는 내강을 확보한 스텐트에 조영제 주입하여 유출이
잘되는지 확인한다. 스텐트 설치시 이용한 배액도관 제거한다.
3. 검사준비
1) 시술 8시간 전부터 금식
2) 천자부위 소독 및 국소마취
3) line 확보
4) 검사 15분전 진경제 IM
5) 출혈성 검사 시행
4. 합병증
1) 간 출혈(hepatic bleeding)
2) 담즙 누출성 복막염(peritonitis bile juice leakage)
3) 간내 동정맥루 형성(intrahepatic A-V fistula)
4) 기흉(pneumothorax)
5) 횡격막하 농양(subphrenic abscess)
6) 우상복부 통증(RUQ pain)
은 외부적 배액을 허용하고 그 이후는 십이지장으로 배액 되도록 유도 하는 방법
3) 내류법 : 배액도관을 이용해 협착부위에 스텐트(stent)를 삽입하고 배액도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능한 재협착(restenosis)을 방지할 수 있는 시술이다.
①-③은외류법과 동일함.
④ 조영제 2~3cc주입하여 급속히 유입되면 혈관이고 서서히 진행되면 담관임을 알수있다.
⑤ Chiba Needle을 통해 안내철심을 삽입하고 dilator번갈아가면 삽입해 internal external
drainage catheter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스텐트삽입할 경우 배액도관 삽입하고
협착 된 부위에 스텐트 설치한다.
⑥ internal external drainage catheter 또는 내강을 확보한 스텐트에 조영제 주입하여 유출이
잘되는지 확인한다. 스텐트 설치시 이용한 배액도관 제거한다.
3. 검사준비
1) 시술 8시간 전부터 금식
2) 천자부위 소독 및 국소마취
3) line 확보
4) 검사 15분전 진경제 IM
5) 출혈성 검사 시행
4. 합병증
1) 간 출혈(hepatic bleeding)
2) 담즙 누출성 복막염(peritonitis bile juice leakage)
3) 간내 동정맥루 형성(intrahepatic A-V fistula)
4) 기흉(pneumothorax)
5) 횡격막하 농양(subphrenic abscess)
6) 우상복부 통증(RUQ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