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원문 해석
1. 개괄
2. 정월령(正月令)
3. 사월령(四月令)
4. 팔월령(八月令)
Ⅱ. 작품론 요약
1. 서론
2. 구성에서의 특징
3. 작가 의식
4. 결론
Ⅲ. 교과서 실재
1. 작품 수록 교과서 개관
2. 비교하기
3. 디딤돌
4. 교학사
◆참고 문헌◆
1. 개괄
2. 정월령(正月令)
3. 사월령(四月令)
4. 팔월령(八月令)
Ⅱ. 작품론 요약
1. 서론
2. 구성에서의 특징
3. 작가 의식
4. 결론
Ⅲ. 교과서 실재
1. 작품 수록 교과서 개관
2. 비교하기
3. 디딤돌
4. 교학사
◆참고 문헌◆
본문내용
「농가월령가」파헤치기
서영숙 교수님
고전시가론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093055
진 소 영
목 차
Ⅰ. 원문 해석
1. 개괄
2. 정월령(正月令)
3. 사월령(四月令)
4. 팔월령(八月令)
Ⅱ. 작품론 요약
1. 서론
2. 구성에서의 특징
3. 작가 의식
4. 결론
Ⅲ. 교과서 실재
1. 작품 수록 교과서 개관
2. 비교하기
3. 디딤돌
4. 교학사
◆참고 문헌◆
Ⅰ. 원문 해석
1. 개괄
월
해야 할 일
서사
일월 성신의 운행과 역대의 월령 및 그 당시에 쓰이는 역법의 기원을 설명함
정월령
맹춘(孟春)인 정월의 절기와 일 년 농사 준비, 정초의 세배와 풍속, 보름날의 풍속 등을 소개함
2월령
중춘(仲春)인 2월의 절기와 춘경(春耕)과 가축 기르기, 약재 캐기 등을 묘사함
3월령
모춘(暮春)인 3월의 절기와 논농사 및 밭농사의 파종, 과일 나무 접붙이기, 장담기 등을 노래함
4월령
맹하(孟夏)인 4월의 절기와 이른 모내기, 간작(間作), 분봉(分蜂), 팔일 현등, 천렵 등을 노래함
5월령
중하(中夏)인 5월의 절기와 보리타작, 고치따기, 그네뛰기, 민요, 화답 등을 소개함
6월령
계하(季夏)인 6월의 절기와 간작, 복돋우기, 유두의 풍속, 장 관리, 삼 수확, 길쌈 등을 노래함
7월령
맹추(孟秋)인 7월의 절기와 칠월 칠석의 견우직녀의 이별과 비, 김매기, 피 고르기, 선산의 벌초하기, 겨울을 위한 야채 준비 및 김장할 무·배추의 파종을 노래함
8월령
중추(中秋)인 8월의 절기와 백곡의 무르익음과 수확, 중추절을 위한 장흥정, 며느리의 친정 근친 등을 노래함
9월령
계추(季秋)인 9월의 절기와 늦어지는 가을 추수의 이모저모, 그리고 풍요함 속에서 피어나는 이웃 간의 온정을 노래함
10월령
맹동(孟冬)인 10월의 절기와 무·배추 수확, 겨울 준비, 가내 화목, 한 동네의 화목 등을 권함
11월령
중동(仲冬)인 11월의 절기와 메주 쑤기, 동지의 풍속, 가축 기르기, 거름 준비 등을 노래함
12월령
계동(季冬)인 12월의 절기, 새해 준비, 묵은 세배 등을 묘사함. 결사에서는 농업에 힘쓰기를 권장함
2. 정월령(正月令)
원문
正月(정월) 24절기의 첫째.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로 양력 2월 4일경.
은 孟春(맹춘)이라 立春 雨水(입춘 우수) 24절기의 하나.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음. 양력 2월 18일경.
節氣(절기)로다.
山中 澗壑(산중 간학) 산 속의 물이 흐르는 골짜기.
에 氷雪(빙설)은 남아시니,
平郊(평교) 들 밖. 또는 시외에 있는 넓은 뜰.
廣野(광야)에 雲物(운물) 하늘 모양과 천지간의 경물(景物). 또는 경치.
이 變(변)도다.
어와 우리 聖上(성상) 愛民重農(애민 중농) 오시니,
懇側(간측) 진정으로 측은히 여김. 지극히 간절함.
신 勸農綸音(권농 윤음) 농사를 장려하는 임금님의 말씀.
坊曲(방곡)의 頒布(반포)니,
슬푸다 農夫(농부)들아 아므리 無知(무지)들,
네 몸 利害(이해) 姑舍(고사)고 聖意(성의) 임금의 뜻.
를 어
서영숙 교수님
고전시가론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093055
진 소 영
목 차
Ⅰ. 원문 해석
1. 개괄
2. 정월령(正月令)
3. 사월령(四月令)
4. 팔월령(八月令)
Ⅱ. 작품론 요약
1. 서론
2. 구성에서의 특징
3. 작가 의식
4. 결론
Ⅲ. 교과서 실재
1. 작품 수록 교과서 개관
2. 비교하기
3. 디딤돌
4. 교학사
◆참고 문헌◆
Ⅰ. 원문 해석
1. 개괄
월
해야 할 일
서사
일월 성신의 운행과 역대의 월령 및 그 당시에 쓰이는 역법의 기원을 설명함
정월령
맹춘(孟春)인 정월의 절기와 일 년 농사 준비, 정초의 세배와 풍속, 보름날의 풍속 등을 소개함
2월령
중춘(仲春)인 2월의 절기와 춘경(春耕)과 가축 기르기, 약재 캐기 등을 묘사함
3월령
모춘(暮春)인 3월의 절기와 논농사 및 밭농사의 파종, 과일 나무 접붙이기, 장담기 등을 노래함
4월령
맹하(孟夏)인 4월의 절기와 이른 모내기, 간작(間作), 분봉(分蜂), 팔일 현등, 천렵 등을 노래함
5월령
중하(中夏)인 5월의 절기와 보리타작, 고치따기, 그네뛰기, 민요, 화답 등을 소개함
6월령
계하(季夏)인 6월의 절기와 간작, 복돋우기, 유두의 풍속, 장 관리, 삼 수확, 길쌈 등을 노래함
7월령
맹추(孟秋)인 7월의 절기와 칠월 칠석의 견우직녀의 이별과 비, 김매기, 피 고르기, 선산의 벌초하기, 겨울을 위한 야채 준비 및 김장할 무·배추의 파종을 노래함
8월령
중추(中秋)인 8월의 절기와 백곡의 무르익음과 수확, 중추절을 위한 장흥정, 며느리의 친정 근친 등을 노래함
9월령
계추(季秋)인 9월의 절기와 늦어지는 가을 추수의 이모저모, 그리고 풍요함 속에서 피어나는 이웃 간의 온정을 노래함
10월령
맹동(孟冬)인 10월의 절기와 무·배추 수확, 겨울 준비, 가내 화목, 한 동네의 화목 등을 권함
11월령
중동(仲冬)인 11월의 절기와 메주 쑤기, 동지의 풍속, 가축 기르기, 거름 준비 등을 노래함
12월령
계동(季冬)인 12월의 절기, 새해 준비, 묵은 세배 등을 묘사함. 결사에서는 농업에 힘쓰기를 권장함
2. 정월령(正月令)
원문
正月(정월) 24절기의 첫째.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로 양력 2월 4일경.
은 孟春(맹춘)이라 立春 雨水(입춘 우수) 24절기의 하나.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음. 양력 2월 18일경.
節氣(절기)로다.
山中 澗壑(산중 간학) 산 속의 물이 흐르는 골짜기.
에 氷雪(빙설)은 남아시니,
平郊(평교) 들 밖. 또는 시외에 있는 넓은 뜰.
廣野(광야)에 雲物(운물) 하늘 모양과 천지간의 경물(景物). 또는 경치.
이 變(변)도다.
어와 우리 聖上(성상) 愛民重農(애민 중농) 오시니,
懇側(간측) 진정으로 측은히 여김. 지극히 간절함.
신 勸農綸音(권농 윤음) 농사를 장려하는 임금님의 말씀.
坊曲(방곡)의 頒布(반포)니,
슬푸다 農夫(농부)들아 아므리 無知(무지)들,
네 몸 利害(이해) 姑舍(고사)고 聖意(성의) 임금의 뜻.
를 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