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 박인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철, 박인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1. 가사문학에 대하여 1) 배경으로서의 생애
1) 갈래로서의 가사 2) 문학세계
2) 가사의 시적 담화 양식 ① 장르의식
① 주제적 양식 ② 작품세계
② 서정적 양식 가. 현실지향
③ 서사적 양식 나. 탈현실
④ 극적 양식 3. 노계 박인로의 생애와 문학
3) 가사의 시학과 문학사적 의미 1) 생애와 작품
2) 노계의 문학생활
4. 송강가사와 노계가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는 의병으로서 가정을 잊고 나라를 위해 신명을 바치다 가 전쟁이 끝난 후에 고향으로 돌아와서 유학자들이 지향하는 충효와 안빈낙도를 몸소 실천하며 살았다. 가사「누항사」와 「경전가(耕田歌)」 등 일부 한시에 가난으로 겪게 된 현실적 어려움과 갈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점으로 볼 때, 노계는 의식 지향 적인 측면에서는 사대부에 속했으나 현실 생활적인 측면에서는 몸소 농사를 지을 수밖에 없었던 향반(鄕班)계층으로서 전쟁 후의 극심한 궁핍으로 인하여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다소의 심적 갈등을 일으킨 것 같다. 그러나 노계는 가난이라는 현실 문제를 유교적 이 상인 안빈낙도 사상으로써 극복하고 자연을 안식처로 삼아 초탈한 삶을 영위하였다.
그는 67수의 시조와 9편의 가사를 남기고 있는데 시조는 「오륜가」와 같이 교훈적인 내용을 주로 관념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가사는 고사성어와 한문 어구를 많이 사용하여 참신성이 다소 떨어지는 감이 없지 않으나 구체적인 경험을 일상어를 사용하여 묘사함으 로써 사실성을 보일 뿐 아니라 작품 전체의 구상이 웅장하면서 문체가 질박(質朴)하고 유려(流麗)하기 때문에 정철과 윤선도와 함께 3대 시가 작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2) 노계의 문학생활
그의 시가에 대한 재능과 감각은 남다르게 뛰어나서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보는 가객 의 풍이 있고, 풍물에 접하고 감흥이 용솟음칠 때면 곧 붓을 당기어 작품을 즉석에서 이 루어 놓기도 하였다 한다. 그의 행장에 보면 일찍이 말하기를, “시(詩)는 언지(言志)요 가(歌)는 영언(永言)이니 사람의 선심을 감발(感發)하는 것은 가(歌)가 가장 으뜸이라” 하 였으니 이 부분에서도 그의 시관과 시가적 생활을 엿볼 수 있다.
그의 일생을 놓고 보면 그의 전반생은 일개의 무부에 지나지 않더니, 후반생은 독서 수행의 유관(儒冠)이요 가객(歌客)이었다고 할 수 있으니, 말하자면 가작(歌作)이 본격적 으로 진보하게 된 것은 벼슬을 물러나 산림에 은퇴하여 독서 삼매경에 취하게 된 40세 이후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일생의 전반기에 무인으로 활동하던 시기에도 그는 작가로서의 역량을 보이고 있다. 앞서 생애 부분에서 밝힌 어릴 적 명석함을 제외하더라도, 30대에 지은「태평사」의 경 우에서 볼 때, 그는 문학적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후반기에 들 어 당대의 유생들과 교류하며 다작을 하였는데, 그 작품의 깊이나 완성도가 후기의 작품 이 더 뛰어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4. 송강가사와 노계가사
송강과 노계는 고산 윤선도와 더불어 조선조 3대 시인으로 거론될 정도로 우리 국문학 사에서 그 역량을 높이 인정받고 있다. 송강의 경우 사대부의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국문 의 사용(특히 「속미인곡」에서)은 작품을 대중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장치가 되었으며 작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송강은 국문의 사용 외에도 연군의 정을 여인 화자를 등장시켜 교묘하게 자신의 임금에 대한 마음을 알림 과 동시에 남녀간 애정이라는 면에서 작품이 생명력을 가지고 오랫동안 인구에 회자될 길 을 열어둔 것이다.
노계의 작품은 송강의 그것과 다소 다른 양태를 보인다. 비록 가화(家禍)를 입었으나 어 릴적부터 유학의 세계에 살아온 송강과, 인생의 전반기를 무부로 보낸 노계의 작품이 차이 가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노계의 경우 전반기의 작품인 「태평 사」를 지음에 있어 우리의 오랜 역사를 예찬하고, 병사들을 위로하기 위함 이었다 전한 다.
송강가사와 노계가사의 차이는 가사를 직접 부른 가창계층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속 미인곡」의 경우 국문의 사용과 창작 후 기녀 혹은 아이들에게 가르쳐 부르게 하여 작품이 사회 전반에 자연스럽게 뿌리를 내렸던 반면, 노계의 「태평사」는 병사들을 위로한다는 차원에서 창작되어 그 병사들에게 직접 부르게 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즉 작품의 전파가 능동과 피동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속미인곡」이 인류의 영원한 테마인 ‘남녀간의 사랑’을 내세워 지속적인 사랑을 받았던 반면, 「태평사」는 작품과 향유 계층의 특수성으로 인해 「속미인곡」에 비해 널리 애송되지는 못한 듯 하다.
송강의 「관동별곡」과 노계의 「누항사」를 보면 두 작가의 차이를 보다 쉽게 알 수 있 다. 송강은 「관동별곡」을 통해 자연을 두루 살피고 노니는 곳으로 이해하며 경쾌하게 노 래하고 있다. 노계도 「누항사」를 통해 자연 속에서 살아가고자 함을 노래하고는 있지만, 노계의 자연은 송강의 자연처럼 풍요로운 곳은 아니다. 전란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자연 속에서 한가로이 소일하겠다는 「누항사」의 목소리는 현실의 빈궁함을 생생히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송강의 자연을 완상의 대상으로 여김과, 노계의 자연관은 차이 를 보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Ⅲ. 結論
지금까지 가사의 특질과 담화 양식 그리고, 송강과 노계의 생애 및 작품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널리 알려진 두 작가에 대한 자료를 찾기는 쉬웠으나, 자료를 정리하는 부분에서 상당히 애를 먹어 결국 용두사미의 결론을 도출해 낸 듯 하여 부끄럽다.
이전의 연구결과들을 통해 살펴볼 때, 송강의 작품과 노계의 작품을 분석함에 있어 표현 기법이나 양식에 집중한 듯한 느낌을 받았다. 각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보다 폭넓게 연구한다면 작가의 문학사적 위치를 더욱 곤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문기, 『국역 노계집』, 역락, 1999.
김영수, 『조선시가 연구』, 새문사, 2004.
김하명, 『정철 박인로 윤선도 작품집』, 문예출판사, 1990.
김학성 권두환, 『신편 고전시가론』, 새문사, 2002.
박성의, 『노계가사』, 정음사, 1977.
박성의, 『송강 노계 고산의 시가만학: 한국 근대 삼대시가인의 대비적 연구』, 현암사, 1966.
이상보, 『노계가사 연구』, 이우출판사, 1980.
정병욱, 『한국고전시가 작품론2』, 집문당, 2000.
최태호, 『송강문학논고』, 역락, 2000.
허경진, 『송강정철시선』, 평민사, 1993.
황충기, 『노계 박인로 연구』, 국학자료원, 1994.

키워드

정철,   박인로,   송강,   노계,   가사문학,   가사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1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