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병동 checklist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성장측정-성장곡선 판독
DDST(Denver ǁ)
간호과정 적용
검사 및 수술 전 교육
안전교육(침상난간이용)
심첨맥박/호흡측정
체온측정
폐음측정
두위측정
복위측정
냉찜질적용
더운물 찜질적용
간호력 조사
환아이동법
억제대
분무요법
가습기 사용
폐물리요법
치료적 놀이
체위조절
침상목욕
GTT 계산법
수액준비
무균조작법
경구투약
검사물 채취
산소요법
수분섭취 배설량측정

본문내용

치료제 안에 약을 넣어 드렸다.
경구투약
O
투약을 할때는 투약처방의 확인을 꼼꼼하게 해야 하고 투약카드를 작성한다음 용량의 정확한 계산과 측정을 해야 하고 정확한 투약을 위해 투약을 하기전 대상자의 이름을 확인하고 대상자가 차고 있는 팔찌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투약내용을 기록해야 한다. 그리고 아동에게 경구투약을 할때는 얼음을 잘게 섞어서 마시면 탄산음료에 오심이 감소될 수가 있고, 가루약의 경우에는 물을 이용하여 개어서 주는것이 좋다. 또, 물약의 양을 측정할 때에는 컵이나 숟가락 보다는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면 정확한 양을 준비할 수 있다.
2011년 1월 18일, 아침 인계가 끝난 후 오전 8시 30여분쯤, 간호사 선생님은 각 병실을 돌아다니시며 환자들에게 약을 주셨다. 선생님들께서는 병실을 들어가기전에 손 소독을 하시고, 투약 카드를 보시면서 알약을 주어야 하는 환자들에겐 알약을 먼저 주고, 가루약의 경우는 시럽통에 가루를 넣은 다음에 oo와 섞어서 환자의 이름을 말하게 한 후 팔찌까지 확인하고 나서 약을 환자나 보호자에게 주었다. 약을 싫어하는 김OO아기에게는 쓴 약을 먹고나서 어머니는 아기에게 주스를 마시게 했다. 김OO아기는 약을 먹고 쓴 맛에 불쾌해 했지만, 약 먹은 후에 주스를 마시게 했더니 금새 기분 좋아진 표정을 지었다.
검사물 채취
O
O
혈액검사, 소변검사, 대변검사등이 있으며, 먼저 혈액검사는 대상자의 혈액학적 체계와 신체체계의 많은 부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CBC(complete blood count),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혈액응고검사등이 있다. 또한, 혈액을 이용한 당뇨검사도 있다. 혈당은 식후 30분에서 1시간이 지나면 최고 혈당치를 나타낸다. 정상치는 100 ~ 140mg이다. 모세혈관을 천자하여 하는 혈당검사는 손가락 말단 가까이에 있는 측면을 천자하여 한 방울의 혈액만으로도 검사할 수 있다.
2011년 1월 24일, DM으로 입원한 이OO환자는 입원한 직 후 BST로 혈당을 측정한 결과 97mg(정상100~140mg)이 나왔다. 4시간 후에 담당 선생님의 지시로 오후 8시경에 BST로 혈당을 측정한 결과 390mg 나왔다. 환자는 1시간전에 식사를 하고 군것질을 해서 높은 수치가 나왔다고 이야기 했다. 담당 선생님께 가서 환자가 식사로 인해 높은 수치가 나왔다고 말씀드렸다.
소변검사 수집방법으로는 수시방출뇨, 아침첫소변, 두 번째소변, 깨끗한 중간뇨, 24시간 수집뇨등이 있는데, 수시방출뇨는 시간에 상관없이 깨끗한 용기에 수집한 소변물로 15~60ml 이면 검사하기에 충분한 양이다. 대상자로 하여금 지정된 용기나 다른 깨끗한 용기에 직접 소변을 받도록 한다. 아침 첫소변은 소변의 농축도가 높은 것으로 임신검사와 운동부하의 영향을 없이한 체위성 단백뇨 검사를 할 때에 아침 첫 소변을 이용한다. 두 번째 소변은 첫 번째 소변후 가능하다면 물을 섭취하도록 한 후 30분 정도 경과후 다시 소변을 보도록 하여 얻은 것이고, 깨끗한 중간뇨는 소변의 미생물과 세포학적 분석을 할 때에 사용하며, 24시간 수집뇨는 24시간 동안에 나오는 모든 소변을 모은 것을 의미한다. 소변으로 배출된 성분을 정량분석 하는데 사용한다.
2011년 1월 24일, Bronchitis로 입원한 신 아기환자의 소변을 검사하기 위해 간호사 선생님께서는 소독솜을 멸균포에 싸서 소변을 담을 주머니를 준비하신 후 병실에 가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기가 귀저귀를 갈 때 소변을 모을 수 있는 주머니를 끼워 두셨다. 그리고, 같은날 신 환자가 입원을 했는데 스스로 소변을 받을 수 있어서 간호사 선생님께서 용기에 직접 소변을 받아 오라고 하셨다.
산소요법
O
산소요법은 폐의 각 분절을 환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가스교환에 문제가 있거나, 심장 기능이 감소된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저산소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소공급을 위한 기구로는 비강캐뉼라, 단순마스크, 산소텐트등이 있다. 비강 캐뉼라는 간단하고 가장 많이 쓰이고 보통 2~4L/min 속도로 투여를 한다. 단순 마스크는 얼굴에 대어주고 산소가 새지 않게 하는 것으로 완전재호흡마스크, 부분재호흡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 벤트리마스크가 있는데, 완전재호흡마스크는 5~8L/min 의 속도이며 측면의 배기구가 호기시에 CO₂를 배출한다. 부분재호흡마스크는 산소보유백을 마스크에 부착한 것이며, 비재호흡마스크는 6~15L/min 의 속도로 실내공기와 호기시 공기가 저장백에 들어오는걸 막고, 저장백에 있는 산소만 흡기하게 되어 고농도의 CO₂를 줄 수 있는 장점이있다. 벤트리마스크는 산소농도를 정확하게 공금할 수 있는 것으로 4~8 liter/min 속도로 투여하며, CO₂정체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 쓰인다. 마지막으로 산소텐트는 산소농도의 분석을 최소한 3-4시간 마다 실시한다.
수분섭취 배설량측정
O
수분 섭취량 측정 방법
- 식사시 섭취한 각 음식의 종류와 양을 수분섭취 배설량 기록표에 기입하고 이 때 시간과 수분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적는다.
- 식간에 마신 수분량도 정확하게 기록하고 약과 함께 마신 물도 포함시켜야 한다.
배설량 측정 방법
- 소변의 경우 : 배뇨시 소변을 소변기에 담아 양을 측정하여 수분섭취 배설량 기록표에 양과 시간을 기입하고 소변기와 변기는 세척해 놓는다.
- 대변의 경우 : 횟수를 적고 설사는 측정 가능한 경우 양을 기록한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는 기저귀의 중량을 측정하여 마른기저귀의 무게를 뺀 수치를 기록한다.
- 유치도뇨를 하고 있는 경우 : 소변백을 비울때마다 소변양을 측정한 후 기록한다. 소변백에는 측정 가능한 눈금이 있으나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경우 소변기에 따라서 측정한다.
- 구토는 양을 기록하고 측정 불가능한 경우는 횟수를 기록한다.
- 소변량을 측정하지 못하였거나 실습을 했을 경우는 횟수로 기입한다. 발한이 심한 경우는 발한의 정도나 환의 및 홑이불의 교환 횟수를 기록한다.
2011년 1월 24일, hematuria로 병원에 온 신OO환자는 24시간동안 첫소변을 제외한 소변을 450ml 정도 받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01.03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3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