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목적
3. 이론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오차원인
8. 고찰
2. 목적
3. 이론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오차원인
8. 고찰
본문내용
떨어졌다. 만약, 방음벽을 모터 전체적으로 설치를 하였다면 실험의 목적을 더욱 더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실험인 모터의 회전수 측정실험에서는 두가지 방법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한가지는 스트로보스코프로 모터의 회전축에 표시한 지점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잔상이 하나에서 두 개가 되는 지점을 알아내어 모터의 회전수를 정하는 방법이다. 우선 스트로보스코프의 점멸속도를 저속에서부터 시작하여 모터 회전축의 표시지점의 잔상이 하나가 될는 지점을 찾는다. 그 다음 점점 점멸속도를 올리면서 점멸시점이 두 개가되어 정지하는지점을 찾는다. 만약 잔상이 두 개가 나타났다면, 바로 이전에 측정했던 값이 모터의 회전수가 된다. 실험에서는 대략 1800rpm 지점까지 하나가 되었고 대략3600rpm 지점에서는 잔상이 두 개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략 1800rpm지점이 모터의 회적속도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실험의 특성상 일상생활에서 접해 볼 수 없는 기계들을 이용하여 측정했었는데, 그런점에서 매우 흥미로웠다.
또 한 우리들 귀에 유쾌하지 않거나, 불쾌하게 들리는 소리들을 소음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소음들은 인간에게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소음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실험을 통해서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하는데 좋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할 때 항상 오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오차를 줄이는 것이 어느 실험에서든지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두 번째 실험인 모터의 회전수 측정실험에서는 두가지 방법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한가지는 스트로보스코프로 모터의 회전축에 표시한 지점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잔상이 하나에서 두 개가 되는 지점을 알아내어 모터의 회전수를 정하는 방법이다. 우선 스트로보스코프의 점멸속도를 저속에서부터 시작하여 모터 회전축의 표시지점의 잔상이 하나가 될는 지점을 찾는다. 그 다음 점점 점멸속도를 올리면서 점멸시점이 두 개가되어 정지하는지점을 찾는다. 만약 잔상이 두 개가 나타났다면, 바로 이전에 측정했던 값이 모터의 회전수가 된다. 실험에서는 대략 1800rpm 지점까지 하나가 되었고 대략3600rpm 지점에서는 잔상이 두 개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략 1800rpm지점이 모터의 회적속도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실험의 특성상 일상생활에서 접해 볼 수 없는 기계들을 이용하여 측정했었는데, 그런점에서 매우 흥미로웠다.
또 한 우리들 귀에 유쾌하지 않거나, 불쾌하게 들리는 소리들을 소음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소음들은 인간에게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소음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실험을 통해서 방음벽을 설치하는 것이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차단하는데 좋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할 때 항상 오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오차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오차를 줄이는 것이 어느 실험에서든지 중요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