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점 연습을 하면서 재미를 붙이고, 대련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어서 점점 더 높은 수준을 추구한다면, 여기에 여러 가지 지능이 개입하게 된다. 신체운동지능은 물론이고, 공간 상에서 상대와 나의 위치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사용 가능한 작전을 검토하는 것은 공간지각지능과 논리수리지능을 사용하며, 패배의 원인을 분석하는데서 자기성찰지능을 사용하게 된다. 어쩌면 흐르듯 움직이는 태극권의 움직임과 음악과의 관계를 찾아내고 음악을 태극권의 투로로 분석하는데서 음악지능을 사용하게 될 수도 있고, 토론을 하면서 서로 공격과 방어를 주고 받는 모습이 마치 태극권의 추수와 같다는 생각에 착안해서 언어지능과 대인 친화지능을 발달 시킬 기회를 찾을 수도 있다. 정답은 아마 그 둘 사이에 어느쯤에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다중지능의 측정도구, 적용 사례, 다중지능이론의 평가와 미래
지능과 이데올로기
‘자기만의 방’과 ‘버지니아 울프의 양성성’
지능지수의 교육적 시사점 - 지능을 위한 교육인가
다중지능이론
지능, 성격검사의 하위척도와 측정요인
통합교과적 교수와 학습지도
다중지능이론(MI이론) 의미와 요소, 다중지능이론(MI이론) 교육적 가치, 다중지능이론(MI이론...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의 교육적 의미와 적용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A+, 교육심리) 지능이론 및 기억발달
인간의 지능에 대한 고찰 - 지능지수를 유지하거나 발달 시킬 수 있는 방법
영화 감상문 - ‘플래툰’을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