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클라이언트의 문제
면접내용
몇 일후
상담 후 소감
면접내용
몇 일후
상담 후 소감
본문내용
도 상처를 받는 청소년인데, 부모님의 이혼이라는 것은 동생분들에게 가장 큰 상처이고, 정서적으로 가장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자친구와 성훈씨가 보살펴주고 사랑해주고 한다면 동생들은 원래 모습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클라이언트 : 아 그렇군요. 저보다는 여자친구를 더 좋아하니까 여자친구의 도움이 가장 시급하다는 말이죠?
상담자 : 네, 그렇습니다. 지역사회의 있는 복지기관에서 하는 청소년 상담과 청소년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여자친구분과 동생분들이 함께 오셔서 참가하셔서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클라이언트 : 그렇군요. 빨리 동생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었으면 좋겠네요.
상담자 : 성훈씨와 여자친구, 그리고 동생분의 믿음이 있다면 정서적으로 안정될 것입니다. 그럼 복지관에서 하는 프로그램의 일정을 보시고 그때 복지관에서 뵙는 걸로 할까요?
클라이언트 : 네, 감사합니다. 이렇게 도움을 주시니.,. 그럼 그때 뵙는걸로 하겠습니다.
상담자 : 네, 그럼 그때 뵙겠습니다. 오늘 상담에 협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상담 후 소감
사실 이 상담은 실제 남자친구의 집안 문제입니다. 이혼이라는 사실에 입각하여 조금만 내용을 바꾼 것입니다. 남자친구의 사전 동의를 받고 한 것이기는 하지만, 남자친구에게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상담을 하면서 느낀 점은 상담이 어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사회복지실천론을 배우기 전까지는 상담이라는 것이 쉽게만 보였는데, 사회복지실천론을 배우고 이렇게 연습을 해보니 상담이 어렵고 힘든 이유를 알았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상담자간의 라포형성이 잘 되어야 상담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라도 연습을 하지 않고 현장에서 부딪히면 상담을 할 수 없을 것만 같았습니다.
이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얼마나 잘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이론과 실제의 상황은 다르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아직 상담의 기술을 다 기억하지 못해, 사용하지는 못했지만, 이 연습으로 인해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하겠고, 실습, 경험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존중을 생각해야하고, 상담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배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담이라는 것은 어느 무엇보다도 가장 힘든 사회복지실천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그만큼 사회복지현장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습니다.
클라이언트 : 아 그렇군요. 저보다는 여자친구를 더 좋아하니까 여자친구의 도움이 가장 시급하다는 말이죠?
상담자 : 네, 그렇습니다. 지역사회의 있는 복지기관에서 하는 청소년 상담과 청소년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여자친구분과 동생분들이 함께 오셔서 참가하셔서 정서적으로 안정을 찾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클라이언트 : 그렇군요. 빨리 동생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었으면 좋겠네요.
상담자 : 성훈씨와 여자친구, 그리고 동생분의 믿음이 있다면 정서적으로 안정될 것입니다. 그럼 복지관에서 하는 프로그램의 일정을 보시고 그때 복지관에서 뵙는 걸로 할까요?
클라이언트 : 네, 감사합니다. 이렇게 도움을 주시니.,. 그럼 그때 뵙는걸로 하겠습니다.
상담자 : 네, 그럼 그때 뵙겠습니다. 오늘 상담에 협조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상담 후 소감
사실 이 상담은 실제 남자친구의 집안 문제입니다. 이혼이라는 사실에 입각하여 조금만 내용을 바꾼 것입니다. 남자친구의 사전 동의를 받고 한 것이기는 하지만, 남자친구에게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상담을 하면서 느낀 점은 상담이 어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사회복지실천론을 배우기 전까지는 상담이라는 것이 쉽게만 보였는데, 사회복지실천론을 배우고 이렇게 연습을 해보니 상담이 어렵고 힘든 이유를 알았습니다.
클라이언트와 상담자간의 라포형성이 잘 되어야 상담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라도 연습을 하지 않고 현장에서 부딪히면 상담을 할 수 없을 것만 같았습니다.
이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얼마나 잘 적용하고, 실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이론과 실제의 상황은 다르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아직 상담의 기술을 다 기억하지 못해, 사용하지는 못했지만, 이 연습으로 인해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하겠고, 실습, 경험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존중을 생각해야하고, 상담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배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담이라는 것은 어느 무엇보다도 가장 힘든 사회복지실천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그만큼 사회복지현장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