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낙동강>은 ‘무엇을’이야기하고 있는가
Ⅲ. <낙동강>은 ‘어떻게’이야기하고 있는가
Ⅳ. <낙동강>의 ‘가치’는 어떠한가
<참고문헌>
Ⅱ. <낙동강>은 ‘무엇을’이야기하고 있는가
Ⅲ. <낙동강>은 ‘어떻게’이야기하고 있는가
Ⅳ. <낙동강>의 ‘가치’는 어떠한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일성을 깨고 있으며, 이선옥, 「조명희 문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9, pp.60~63.
구체적인 리얼리티의 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아가,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체구사 방법에서 현실에 대한 문장 주체의 태도를 추정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국 문장 주체가 현실보다 우위에 서서 현실을 인식하고 그것에 접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작가의 관념이 현실성을, 주관이 객관을 앞지른 결과인 것이다. 변경화,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pp.217~218.
또한 정한숙은 시적 문체가 많이 작용하고 소설적인 단 하나의 사건도 없는 점을 들어서 <낙동강>을 프로문학이 문학으로서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대표작으로 이해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정한숙, 「현대한국소설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7, pp.72~73.
하지만 <낙동강>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활발해지고, 사상운동이 급속히 발전해가던 1920년대의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포착하고 있다. 주인공 박성운의 귀향은 현실에 눈뜬 한 인물의 개인적 실천에 머무르지 않고 나아가 그것을 매개로 한 시대의 역사적 현실성을 전형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박재승, 「조명희 문학의 변모 과정」, 개선어문연구 12집, 1995, p.398.
따라서, 카프가 개인적자연발생적인 투쟁에서 조직적목적 의식적인 투쟁으로 노선을 수정하던 시기에 신경향파 문학과 본격적인 프로 문학을 연결해 주는 작품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정덕준, 「포석 조명희의 생애와 문학」,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박종홍, 《현대소설선집》, 영남대학교, 2001
변경화,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김형수, 「포석 조명희 문학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9
이강옥,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 『한국 근대 리얼리즘 작가 연구』, 김윤식정호웅 편, 문학과 지성사, 1988
임영환, 「일제 시대 한국 농민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76
신춘호, 「조명희소설론」,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이선옥, 「조명희 문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9
정한숙, 「현대한국소설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7
박재승, 「조명희 문학의 변모 과정」, 개선어문연구 12집, 1995
구체적인 리얼리티의 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아가,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체구사 방법에서 현실에 대한 문장 주체의 태도를 추정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국 문장 주체가 현실보다 우위에 서서 현실을 인식하고 그것에 접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작가의 관념이 현실성을, 주관이 객관을 앞지른 결과인 것이다. 변경화,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pp.217~218.
또한 정한숙은 시적 문체가 많이 작용하고 소설적인 단 하나의 사건도 없는 점을 들어서 <낙동강>을 프로문학이 문학으로서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대표작으로 이해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정한숙, 「현대한국소설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7, pp.72~73.
하지만 <낙동강>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활발해지고, 사상운동이 급속히 발전해가던 1920년대의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포착하고 있다. 주인공 박성운의 귀향은 현실에 눈뜬 한 인물의 개인적 실천에 머무르지 않고 나아가 그것을 매개로 한 시대의 역사적 현실성을 전형적으로 반영하는 것이다. 박재승, 「조명희 문학의 변모 과정」, 개선어문연구 12집, 1995, p.398.
따라서, 카프가 개인적자연발생적인 투쟁에서 조직적목적 의식적인 투쟁으로 노선을 수정하던 시기에 신경향파 문학과 본격적인 프로 문학을 연결해 주는 작품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정덕준, 「포석 조명희의 생애와 문학」,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박종홍, 《현대소설선집》, 영남대학교, 2001
변경화, 「포석 조명희의 낙동강」,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김형수, 「포석 조명희 문학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9
이강옥,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 『한국 근대 리얼리즘 작가 연구』, 김윤식정호웅 편, 문학과 지성사, 1988
임영환, 「일제 시대 한국 농민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76
신춘호, 「조명희소설론」, 『조명희』, 정덕준 편, 새미, 1999
이선옥, 「조명희 문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9
정한숙, 「현대한국소설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7
박재승, 「조명희 문학의 변모 과정」, 개선어문연구 12집, 1995
추천자료
북한의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에 대하여
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의 중요성
국어 지도안 (7학년(중1) 국어 1학기 1. 문학의 즐거움)
화답시조를 통한 시조 교육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초등학교 1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3...
[북한문학][소설문학][애국주의][주체사상][소설 백두산]북한문학의 역사, 북한문학의 이론, ...
문학교육을 위한 좋은 제재 선정하기
교육 내용 상세화 [작품에 표현된 말에서 재미를 느낀다][입문기 문학 언어의 지도 방법][실...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황순원의 ‘소나기’을 중심으로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문학 영역 &#8228; 문학 과목
[국문학개론] - 文學創作敎育論,문학창작교육론의 성격,문학창작교육론의내용,문학창작교육론...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6-2-셋째 마당. 삶의 무늬(618) (문학 작품을 활용한 창의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