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도서관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시작하는 말
Ⅱ학교도서관의 정의
Ⅲ학교도서관의 목적
Ⅳ사서교사의 역할과 필요성
Ⅴ외적 문제점
Ⅵ내적 문제점
Ⅶ나아갈 방향
Ⅷ맺는 말
Ⅸ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문제가 아니라, 알고 있지만 선 듯 한 목소리를 내지 않고 선·후 무시하거나 방관하는 사람들의 의식의 문제로 보고 배경학문 공동체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말한다.
둘째, 사서교사 맞춤형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들고 있는데, 사서교사가 지도하는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별 교과 교육과정에 시의 적절하게 반영 되서 학생의 학습능력 신장에 기여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메타 교육과정으로 편제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로, 자기평가 강화로서, 사서교사는 자기평가를 통해, 전문가로서 갖추어야할 전문지식과 개인 역량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용자 요구에 따른 학교도서관 경영 전략을 개발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현실에 안주하지 않도록 자기비판적인 생각을 갖고 발전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넷째, 사서교사 전문 단체의 활동력 강화를 들 수 있다, 사서교사 전문단체로는 한국학교도서관협회가 있는데, 사서교사 1인이 학교도서관을 운영하는데서 오는 업무과중과 자격증 소지자의 다양성으로 학교도서관 문제를 선도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송기호.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 2010. p. 330-334.
사서교사의 전문단체의 활동력 강화의 필요성은 대한영양사협회가 단적으로 보여준다. 대한영양사협회는 학교에서 영양사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영양교사의 필요성을 인식시켰고, 협회에서 활동력을 강화를 통해, 학교에 영양교사의 필수적 배치를 할 수 있도록 법 개정까지 힘썼다. 이는 전문단체 활동력 강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Ⅷ맺는 말
앞서, 학교도서관에서 인적자원의 문제점을 외적 내적으로 알아보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에 추가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자면,
얼마 전, 인하대학교 정석학술정보관의 리서치 헬프(Research help) 담당사서 선생님과 인터뷰한 적이 있는데, 그곳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문헌정보학과 선배들이 현장에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좋은 바탕을 깔아놓고 많은 업적을 달성해야 문헌정보학과의 전문성을 펼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간단한 말이 있었다.
이를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교사에게 적용해서 말해보면, 단순히 책을 대여해주는 책대여점의 역할에서 안주할 것이 아니라, 한 달에 한 시간이라도 협력수업을 하고, 교수-학습활동 지원하기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 역할을 꾸준히 실행하고자 노력한다하면 그것이 발판이 되어서, 다음에 학교도서관에서 근무하게 될 사서교사는 한 달에 한 시간하던 협력수업의 필요성을 인정받아 이 주에 한번, 한 주에 한번이라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는 사서교사의 끝없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의 필요인 것이다.
또한, 사서교사의 배치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수치들을 연구 활동을 통해, 계량화되어지고, 가시적으로 보여줘서 학교장이나 보다 나아가 정부에 어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Ⅸ참고문헌
내일신문, 김성배,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6.5% 불과. 2011-03-14. 최종검색일:2011-11-26.
IFLA/유네스코. ‘IFLA/유네스코 학교도서관 선언’ 교육 및 학습을 위한 만인의 학교도서관. p. 1-3. (http://archive.ifla.org/VII/s11/pubs/schoolmanif.htm) 최종검색일 2011-11-27.
한겨례. 진명선. 학교엔 ‘사서’ 아닌 ‘사서교사’가 필요하다. 2008. 최종검색일: 2011-11-27.
권은경.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 2007. p.247-276.
송기호.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 2010. p.317-337.
이병기. [토론문] 홀대받는 학교도서관 업무의 전문성.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2010. p.109-113.
권은경. 미국 학교도서관 전문직 자격제도와 배치기준.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 2006. p.67-90.
이병기.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2011. p.127-149.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1.1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5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