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의 상호작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약물의 상호작용

1. 약물과 음식과의 상호작용
1) 화학적 혹은 물리적 상호작용
2) 약동학적 상호작용
3) 약물과 음식의 임상적 중요성
4) 약물이 음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
5) 음식이 약물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
6) 약물과 음식물과의 상호작용


2. 약물과 약물의 상호작용
1) 병용 금기 약물
2) 약물 흡수와 관련된 중요한 약물의 상호작용
3) 단백질 결합 장소의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약물의 상호작용
4) 간 대사의 유도와 관련된 중요한 약물의 상호작용
5) 신 배설 감소와 관련된 중요한 약물의 상호작용
6) 간대사 억제와 관련된 중요한 약물의 상호작용
7) 노인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주의해야 할 약물간 상호작용


Ⅲ. 낙상을 유발하는 약물들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991), Lowlor(2003), Stolze(2004)등은 항우울제가 낙상을 일으키는 약물로 보았는데, 항우울제는 기립성 저혈압을 일으켜 낙상을 일으킨다고 하였다(Lowlor, 2003).
그러므로 Benzodiazepine계 약물과 항우울제 약물의 사용은 흔하게 낙상을 일으키며, 이 약들의 역효과인 체위성 저혈압, 인지의 변화 그리고 어지러움은 낙상을 일으키는 위험요소가 된다(Agostini et al, 2002). 실제로 Tanner 등(2003)의 60세 이상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61%가 매일 약물 복용으로 어지러움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 밖에 낙상자들의 39%에서 고혈압치료제, 16%에서 이뇨제, 15%는 신경차단제, 7%가 디지탈리스제, 6%가 알코올 남용을 하였다(Stolze et al, 2004).
그러나 약의 종류뿐 아니라 복용하는 약의 수와도 낙상의 위험은 관련이 있으며, Honeycutt등(2002)의 연구에서 낙상을 경험한 노인에서 평균 8가지의 약물을 복용했으며, 여성 노인의 70%이상이 적어도 한 가지의 약물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15.4%가 5가지 이상의 약물을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낙상의 위험은 복용하는 약물의 수와 가지고 있는 만성 질병의 수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약의 수와 낙상이 더 강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Lowlor, 2003). 국내의 연구에서도 염태형 등(2001)의 연구에서 3개 이상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노인이 낙상을 1회 경험한 군은 32%, 2회 이상 경험한 군에서 60%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상 약물과 낙상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노인 환자를 사정할 때는 복용하고 있는 약의 종류와 약의 개수, 그리고 내재된 약의 부작용에 대해서 평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노인과 보호자에게 약물의 남용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는 것도 낙상 예방을 위한 한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Benzodiazepine계 약물과 항우울제 약물의 사용은 흔하게 낙상을 일으키며, 이 약들의 역효과인 체위성 저혈압, 인지의 변화 그리고 어지러움은 낙상을 일으키는 위험요소가 된다(Agostini et al., 2002). 실제로 Tanner 등(2003)의 60세 이상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61%가 매일 약물 복용으로 어지러움이 일어난다고 한다.
이 밖에 낙상자들의 39%에서 고혈압치료제, 16%에서 이뇨제, 15%는 신경차단제, 7%가 디지탈리스제, 6%가 알코올 남용을 하였다(Stolze et al, 2004).
<노인의 낙상 위험 요소로 알려진 약물>
효 능
계 열
성 분 명
Antianxiety
Benzodiazepine
Alprazolam
Bromazepam
Chlordiazepoxide/Clidinium bromide
Chlordiazepoxide HCL
Diazepam
Flurazepam
Lorazepam
Midazolam
Triazolam
BDZ receptor
agonist
Etizolam
Zolpidem
Antidepressants
SSRI
Escitalopram
Paroxetine
Triazolodipine
Trazodone
Tricyclic
Amitriptyline
Adrenergic
inhibitor
Alpha blocker
Alfuzosin
Doxazosin
Tamsulosin
Terazocine
Beta blocker
Atenolol
Betaxolol
Carteolol
Carvedilol
Celoprolol
Esmolol
Labetalol
Propranolol
Alpha&beta
blocker
Lanetalol
Analgesics
Synthetic opioid
Tramadol
Opioid
Codeine phosphate
Codeine/ibuprof/AAP
Fentanyl
Meperidine HCL
Morphine HCL
Morphine sulfate
Oxycodone HCL
Inotropes
Cardiac
glycoside
Denopamine
Digoxin
Diuretics
Chlorthalidone/atenolol
D-mannitol
Furosemide
Hydrochlorothiazide
Hydrochlorothiazide/losartan
Hydrochlorothiazide/spironolactone
Indapamide
Metolazone
Spironolactone
Ⅳ. 참고문헌
. 홍경자, 이석용(2003). 약물상호작용의 이해. 도서출판 신일상사
. 강원구 외(2006). 약물치료학 적정약물사용과 복약지도를 위한 약물요법. 한국임상약학 회
. 신동민 (2008). 응급의료체계를 위한 노인전문응급처치학. 한미의학. 서울.
. 한영숙 (2008).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인순 (2007). 경북지역 재가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노인간호학회지, 9(1): 40-50.
. 남진선, 신완균, 오정미 (2005). 한국의 외래노인환자에서 약물사용의 경향 및 explicit criteria에 의한 적절성 평가. 한국임상약학회지, 15(2): 149-159.
. 김정란 (2003). 노인에서 정신과 약물의 부작용. 생물치료정신의학, 9(1): 9-17.
. 이혜숙 (2000). 노인약학. 병원약사회지, 17(2): 295-311.
. 신완균(1998), 약물과 음식의 상호작용, 병원약사회지, VOL15, NO2 160~163(1998)
. 서순림외(2006), 노인건강증진, 현문사
. 이희민(2008), 입원환자의 낙상에 미치는 약물의 영향에 대한 연구
. 이은주.김춘길(2003), 일병원 노인환자의 낙상요인 및 골절부위에 대한 조사
. 홍영실(2009년), 일 공립병원 이용 노인의 약물정보인식, 약물사용 및 오용실태에
관한 연구
. 최영희, 신경림외(2007). 노인과 건강. 현문사.
. 식품의약품 안정청(2009). 노인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
. 식품의약품 안정청(2009). 병용금기 및 연령금기 성분 공고(제2008-56호).
. 조진환(2005). 종합병원 외래환자의 처방전에 기초한 약물 상호작용 검토
  • 가격4,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01.2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