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사의 내용과 관련 고사(古事)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샤-’의 형태로 실현된 것을 ‘나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중세 국어의 연결 어미로 ‘衰나’의 ‘-’와 ‘中興시릴’, ‘奇偉실’의 ‘-ㄹ’ ‘救호려’의 ‘-오려’, ‘나샤’에서 탈락된 ‘-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돕니’, ‘奇偉실’에서는 용언의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 음소적 표기법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