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사의 내용과 관련 고사(古事)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2. 국어학적 분석
3. 정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나가 위기에서 벗어 났다고 한다.
2. 국어학적 분석
‘:뒤헤는’는 ‘뒤ㅎ’에 부사격 조사 ‘-에’와 보조사 ‘-는’이 결합했다. 허웅(1975:311)에 따르면 중세 국어에는 ‘ㅎ’으로 끝나는 특수한 체언이 약 80개가량 있었다고 한다. <용비어천가> 제30장에는 ‘뒤ㅎ’와 ‘길ㅎ’, ‘하ㅎ’ 등이 사용되었다. ‘:모딘’은 ‘모딜다’의 어간 뒤에 관형사형 전성 어미 ‘-ㄴ’이 결합되었다. 고영근(2010:127)에서는 중세 국어에서 용언 어간의 /ㄹ/은 ‘ㄷ, ㄴ, ㄹ, ㅿ’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선어말 어미 ‘--’앞에서는 탈락했는데, 현대 국어와 유사하다고 한다. 현대 국어와 다른 점은 ‘ㄷ,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ㄹ’가 탈락되며, ‘-시-’ 앞에서는 유지된다는 점이다. ‘알’은 명사 ‘
2. 국어학적 분석
‘:뒤헤는’는 ‘뒤ㅎ’에 부사격 조사 ‘-에’와 보조사 ‘-는’이 결합했다. 허웅(1975:311)에 따르면 중세 국어에는 ‘ㅎ’으로 끝나는 특수한 체언이 약 80개가량 있었다고 한다. <용비어천가> 제30장에는 ‘뒤ㅎ’와 ‘길ㅎ’, ‘하ㅎ’ 등이 사용되었다. ‘:모딘’은 ‘모딜다’의 어간 뒤에 관형사형 전성 어미 ‘-ㄴ’이 결합되었다. 고영근(2010:127)에서는 중세 국어에서 용언 어간의 /ㄹ/은 ‘ㄷ, ㄴ, ㄹ, ㅿ’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선어말 어미 ‘--’앞에서는 탈락했는데, 현대 국어와 유사하다고 한다. 현대 국어와 다른 점은 ‘ㄷ,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ㄹ’가 탈락되며, ‘-시-’ 앞에서는 유지된다는 점이다. ‘알’은 명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