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수사학과 미학의 대립 영역에서의 다큐멘터리
3. 다큐멘터리에 관한 기존 관점정리
2. 수사학과 미학의 대립 영역에서의 다큐멘터리
3. 다큐멘터리에 관한 기존 관점정리
본문내용
실세계와 관계를 맺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사적 텍스트나 문장을 이해하는 것이 그것의 적합성이나 진실성을 믿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비 허구가 거짓말을 한다고 해서 허구가 되지 않는 것도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허구와 비 허구를 가르는 것은 그것이 수사학의 방법을 사용했거나 진실하다고 주장하기 때문(다큐멘터리 처럼!)이 아니다. 그리고 서사의 구조를 취한다고 허구며, 비 서사의 구조를 취한다고 해서 비 허구인 것은 아닌 것이다. 우리가 극영화라고 부르는 것은 정보의 배열에서 서사의 구조를 취하고 지시내용이 특정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구적이다. 비 서사의 구조를 취하는 허구 역시 존재할 수 있다. 우리가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다큐멘터리는 당연히 비 허구의 지시내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허구와 비 허구를 가르는 것은 그것이 수사학의 방법을 사용했거나 진실하다고 주장하기 때문(다큐멘터리 처럼!)이 아니다. 그리고 서사의 구조를 취한다고 허구며, 비 서사의 구조를 취한다고 해서 비 허구인 것은 아닌 것이다. 우리가 극영화라고 부르는 것은 정보의 배열에서 서사의 구조를 취하고 지시내용이 특정하지 않다는 점에서 허구적이다. 비 서사의 구조를 취하는 허구 역시 존재할 수 있다. 우리가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다큐멘터리는 당연히 비 허구의 지시내용을 가지고 있다.
추천자료
츠치모토 노리아키의 영화운동과 [미나마타] 시리즈
다큐멘터리 영화의 사실성에 대한 고찰
MBC 다큐멘터리 ‘아마존의 눈물’을 보고서
다큐멘터리와 헐리우드 영화 분석 - <의지의 승리 Triumph Des Willens>와 <현기증 Vert...
잠수 [다큐멘터리 감상문] 침묵의 세계
다큐멘터리 돈의힘 6부작 감상문
기록영화론 -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 울지마톤즈 감상문
‘DMZ영화제’에 비치는 DMZ 모습 탐구
BBC 자연 다큐멘터리 『위대한 야생』 방송 구성 대본 취재
2013년에 방영된 EBS 다큐프라임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6부작(노동, 의료, 주거, 보...
[다큐멘터리 감상문] 아이콘을 찾아서
다큐멘터리와 극영화의 관계 - 영화 워낭소리를 통해서
더 차일드 - 다큐멘터리와 극영화의 관계 The Child <2005 / 35mm, color> - Jean pierre Dar...